$\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장단계별 배 과육에서 추출된 펙틴의 이화학 특성 및 포도당 흡수 저해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lucose Transport Retarding Effect of Pectin from Flesh of Asian Pear at Different Growth St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491 - 496  

장선 (연변대학교 농학원 식품과학계.식품과학연구소) ,  이범수 (연변대학교 농학원 식품과학계.식품과학연구소)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품성이 낮은 배의 부가가치 증대와 배 펙틴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 생장시기에 따라 배 과육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처리법에 의한 펙틴의 추출수율은 배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과로부터 추출한 펙틴의 $L^*$값은 미숙과나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L^*$값에 비하여 낮았고 $a^*$값과 $b^*$값은 더 높았다. 순도는 22.77-43.07%로 비교적 낮았고 메톡실함량은 3.44-6.73%, DE값은 21.08-41.25%로 저메톡실펙틴이었으며 품종내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메톡실함량이 가장 높았다. 고유점도는 1.90-3.81 dL/g이었고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는 약 30% 혹은 그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효과를 보였다. 메톡실함량과 DE값은 고유점도와 5% 수준에서,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와는 1% 수준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고 고유점도는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과육에서 산처리법으로 추출한 펙틴은 저칼로리 식품 생산에 그리고 기능성 식품 개발에서 좋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펙틴 추출 시 순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더 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Asian pear in 3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 extraction yields of pectin by the acidic treatment decreased during the growth. The $L^*$ value of young fruit was lower than unripe and ripe fruit,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생장시기에 발생하는 상품성이 낮은 배의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전보(7)의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 이어서 배 펙틴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생장단계별로 배 과육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포도당 흡수 저해 효과를 조사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상품성이 낮은 배의 부가가치 증대와 배 펙틴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 생장시기에 따라 배 과육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처리법에 의한 펙틴의 추출수율은배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과로부터 추출한 펙틴의 L*값은 미숙과나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L*값에 비하여 낮았고 a*값과 b*값은 더 높았다.

가설 설정

  • 2)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p <0.05).
  • 2)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p <0.05).
  • 포도당은 투석막을 투과하지 못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 투석 외액을 취하여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투석막(Sigma D7884, 32 mm, Mw cut-off>1200, S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펙틴이란 무엇인가? 펙틴은 주로 과채류의 중엽과 1차 세포벽에 존재하며 수용성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로서 작용하여 식품에서 점증제, 겔화제, 안정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펙틴은 젤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체내 에서 영양소의 이동을 늦추고 당질의 흡수를 저해하여 식후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1,2).
펙틴의 젤 매트릭스 형성은 어떤 것에 영향을 받는가? 또한 펙틴은 젤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체내 에서 영양소의 이동을 늦추고 당질의 흡수를 저해하여 식후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1,2). 펙틴의 젤 형성 성질은 펙틴의 구조나 성분, 메톡실 함량, 분자량 등의 영향을 받으며(3) 이러한 펙틴의 자체 성질은 과실의 성숙도에 따라 좌우된다(4). 한편 국내 배 재배생산도 자연재해, 재배기술 등의 영향으로 신선과일로 소비하기엔 상품성이 낮은 과실의 발생량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펙틴의 젤 매트릭스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펙틴은 주로 과채류의 중엽과 1차 세포벽에 존재하며 수용성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로서 작용하여 식품에서 점증제, 겔화제, 안정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펙틴은 젤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체내 에서 영양소의 이동을 늦추고 당질의 흡수를 저해하여 식후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1,2). 펙틴의 젤 형성 성질은 펙틴의 구조나 성분, 메톡실 함량, 분자량 등의 영향을 받으며(3) 이러한 펙틴의 자체 성질은 과실의 성숙도에 따라 좌우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IFT's Expert Panel on Food Safety & Nutrition. Dietary fiber. Food Technol.-Chicago 43: 133-139 (1989) 

  2. Tsuji K. Nutritional role of dietary fiber. J. Food Hyg. Saf. 7: 261-264 (1992) 

  3. Kwon YJ, Kwon JH, Park KH, Park YK, Yang HC. Food Chemistry. Youngchi Press, Seoul, Korea. pp. 77-85 (1998) 

  4. Moon SJ, Sohn KH, Yoon S, Lee MH. Chemical and gelation characteristics of pectins obtained from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J. Korean Home Econ. Assoc. 19: 33-39 (1981) 

  5. Zhang X, Lee FZ, Eun JB.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and pectin in Asian pear fruit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7-13 (2007) 

  6. Lee SC, Yuk HG. Enzymatic study for the value increase of the pear pomace. Daesan Foundation for Rural Culture and Society, Korea. 7: 165-173 (1999) 

  7. Zhang X, Lee FZ, Eun JB.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sources from peel of Asian pear fruit at different growth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05-911 (2005) 

  8. Moon SJ, Sohn KH, Lee MH, Lee MH. The content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tangerine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63-66 (1982) 

  9. Park SM, Lee HH, Chang HC, Kim IC. Extraction and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citron pe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67-573 (2001) 

  10. Blumenkrantz N, Asboe-llansen G.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s. Anal. Biochem. 54: 484-489 (1973) 

  11. Kintner PK, Van Buren JP. Carbohydrate interference and its correction in pectin analysis using the m-hydroxydiphenyl method. J. Food Sci. 47: 756-759 (1982) 

  12. Owens HS, mcCready RM, Shepherd AD, Schultz TH, Pipen EL, Swenson NA, Miers JC, Erlander FR, Maclay WD. Methods used at western regional research laboratory for extraction and analysis of pectic materials. AIC Report 340, Western Regional Research, Albany, CA, USA (1952) 

  13. Hwang JK. Rheological properties of citrus pectin solu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99-806 (1995) 

  14. Manabe M, Naohara J. Properties of pectin in Satsuma mandarin fruits (Citrus unshiu Marc.) J. Jpn. Food Ind. 33: 602-608 (1986) 

  15. Adiotomre J, Eastwood MA, Edwards CA, Brydon WG. Dietary fiber: In vitro methods that anticipate nutrition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s. Am. J. Clin. Nutr. 52: 128-134 (1990) 

  16. Joo HK, Cho HY, Park CK, Cho KS, Chai JK, Ma SJ. Food Analysis. Hakmun Press, Seoul, Korea. pp. 288-289 (2000) 

  17. Kim JH. Studies on the fractors of skin browning during storage and its control method in 'Imamura-aki' pear (Pyrus serotina Rehder). J. Korean Soc. Hort. Sci. 16: 1-25 (1975) 

  18. Kim DH, Kim DG, Lee DY, Kim KE, Kim CW.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ectin extracted from Cheju mandarin (Citrus unsiu) peels with citric acid. Food Sci. Biotechnol. 9: 95-98 (2000) 

  19. Hwang J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15-719 (1996) 

  20. Choi JS, Cho YJ. Characteristics of apple pectins extracted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od Eng. Prog. 4: 70-75 (2000) 

  21. Kim YJ, Kim CS. Changes in the pectic substance during maturity of ap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 63-68(1988) 

  22. Yuk HG, Choi JH, Cho YJ, Ha JU, Hwang YI, Lee SC. Investigation of reactive conditions to extract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pear poma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971-976 (1999) 

  23. Lee HJ, Kim MK.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isolated from persimmon peels and jujubes on in vitro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Korean J. Nutr. 31: 809-822 (1998) 

  24. Lee KS, Lee SR.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on the glucose and bile acid movement across a dialysis membrane in vitro. Korean J. Nutr. 29: 738-746 (1996) 

  25. Kim MK, Yang YJ.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isolated from tangerine peels on glucose, bile acid, cadmium transport in vitro. Korean J. Nutr. 30: 210-219 (1997) 

  26. Schneeman BO. Soluble vs. insoluble fiber-different physiological responses. Food Technol. 41: 81-82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