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조염료 분해균 Citrobacter sp. MB2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itrobacter sp. MB2, Azo Dyes Decolorizing Bacterium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9 no.3, 2006년, pp.165 - 169  

권대준 (아시아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지원대 (대구전략산업기획단 평가기획실) ,  권오준 (경북전략산업기획단 평가기획실) ,  이태종 (경북전략산업기획단 평가기획실) ,  이난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동화 (대구산업정보대학 조리계열) ,  최웅규 (아시아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색공단 주변의 토양과 하수로부터 아조염료 분해 탈색능이 우수한 MB2균을 분리하여 Citrobacter sp.로 동정하였다. Citrobacter sp. MB2의 성장 최적배지 및 배양조건은 sucrose 0.5%, yeast extract 1.0%, $K_2HPO_4$ 0.1%, $NaHCO_3$ 0.1%, pH 7.0, 배양온도 $30^{\circ}C$에서 호기적 진탕배양이었으며, 최적배지에서의 균성장은 분리용 배지나 nutrient broth에서의 균성장보다 각각 7배 및 50배 이상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Citrobacter sp MB2는 금속염에 대해 강한 내성을 보였으며, 항생제 ampcillin과 penicillin G에 대해서 강한 내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itrobacter sp. MB 2, azo dyes decoloriz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wastewater and soil and identified as Citrobacter sp.. It was examined that optimum conditions for culture media were 0.5% of sucrose, 1.0% of yeast extract, 0.1% of $K_2HPO_4$, 0.1% of $NaHCO_3$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균 분리원으로 사용하였다. 균분리용 시료를 1백금이량 취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염료가 각각 100ppm 농도로 첨가된 분리용 배지(1.0% 임ucose, 0.5% peptone, 0.1% KH2PO4, 0.2% K2HPO4, 0.02% NaCl, 0.002% CaCl2 . H2O, 0.02% MgSO4 . 7H2O, pH 7.0)에 접종하여 30P에서 3일간 증 균 배양하여 탈색을 확인하였다. 탈색이 확인된 배양액 0.
  • 균주인 Citrobacter sp.를 분리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 준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아조 염료가■ 최고 흡광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파장(AO6 425 nm, AO10 475 nm, RR4 522nm, RO16 490nm, RB5 596nm, MB1 487nm, BB1 442 nm, DB71 570nm)에서 spectrophotometer(UV-1601,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탈색율은아래의 식 (1)과 같이 계산되었으며, 대조구로는 멸균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 1 ml를 각 염료가- 200 ppm의 농도로 첨가된 분리용 배지 20 m/에 혼합 분주 배양하여 clear zone을 기준으로 순수분리하였으며, 형성된 집락을 평판배지에 획선배양하여 순수분리를 재확인하였다. 순수분리된 균들은 염료가 200 ppm의 농도로 첨가된 분리용 액체배지에 배양하여 탈색여부를 확인한 후 각각의 염료에 대해 탈색이 재확인된 균들에 대해 성장률과 탈색율을 조사하고 아울러 다른 아조계 염료에 대해서도 탈색능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 0)에 접종하여 30P에서 3일간 증 균 배양하여 탈색을 확인하였다. 탈색이 확인된 배양액 0.1 ml를 각 염료가- 200 ppm의 농도로 첨가된 분리용 배지 20 m/에 혼합 분주 배양하여 clear zone을 기준으로 순수분리하였으며, 형성된 집락을 평판배지에 획선배양하여 순수분리를 재확인하였다. 순수분리된 균들은 염료가 200 ppm의 농도로 첨가된 분리용 액체배지에 배양하여 탈색여부를 확인한 후 각각의 염료에 대해 탈색이 재확인된 균들에 대해 성장률과 탈색율을 조사하고 아울러 다른 아조계 염료에 대해서도 탈색능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대상 데이터

  • .각종 아조계 염료를 분해하는 약 80여종의 균을 순수분리하였으며, 이들 분리균중 사용한 모든 균주에 대해 탈색 능이 확인된 균주는 Table 2에서와 같이 6종이었으며, 이들 중 사용한 아조염료 모두에 대해 가장 높은 탈색율을 보인 MB2균을 본 실험의 공시균으로 최종선정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 MB2 아조염료에 대한 탈색효과는 Fig.
  • 대구 염색공단 폐수처리장의 활성오니, 폐수 및 폐수가 유출되는 달서천 주위의 물과 토양 시료로부터 .각종 아조계 염료를 분해하는 약 80여종의 균을 순수분리하였으며, 이들 분리균중 사용한 모든 균주에 대해 탈색 능이 확인된 균주는 Table 2에서와 같이 6종이었으며, 이들 중 사용한 아조염료 모두에 대해 가장 높은 탈색율을 보인 MB2균을 본 실험의 공시균으로 최종선정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아조계 염료는 Sigma사(St Louis,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이들의 특성은 Table 1에서와 같다. 산성 염료인 acid orange 6(AO6)은 brownish yellow 색을 띠는 식용 색소로서 food yellow 8로 사용되고 있으며, acid orange 10(AO10)은 brownish yellow 색을 띠는 식용색소로써 food omage 4로 사용되고 있다 .
  • 아조 염료 분해균의 분리를 위하여 대구 염색공단 폐수처리장의 활성오니, 폐수 및 폐수가 유출되는 달서천 주위의 물과 토양시료를 20여점 채취하여 균 분리원으로 사용하였다. 균분리용 시료를 1백금이량 취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염료가 각각 100ppm 농도로 첨가된 분리용 배지(1.

이론/모형

  • 선별된 아조염료 분해균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방법에 따라 배양학적,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영양학적 특성들을 기초로 동정하였다.
  • 아조 염료의 탈색율은 Dubin과 Wright의 방법 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아조 염료가■ 최고 흡광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파장(AO6 425 nm, AO10 475 nm, RR4 522nm, RO16 490nm, RB5 596nm, MB1 487nm, BB1 442 nm, DB71 570nm)에서 spectrophotometer(UV-1601,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ark, E. H., M. S. Jang, I. H. Cha, Y. L. Choi, Y. S. Cho, C. H. Kim, and Y. C. Lee. (2005) Decolorization of a sulfonated azo dye, congo red, by Staphylococcus sp. EY-3. J. Microbiol. Biotechnol. 15, 221-225 

  2. An, S. Y., S. K. Min, I. H. Cha, Y. L. Choi, Y. S. Cho, C. H. Kim, and Y. C. Lee. (2002) Decolorization of triphenylmethane and azo dyes by Citrobacter sp. Biotechnol. Lett. 24, 1037-1040 

  3. Ji, W. D., Choi, U. K., Son, D. H. and Chung, Y. G. (1996) Inhibitory effect of azo dyes on microbial growth. J. Korean Soc. Hygien. Sci. 2, 29-37 

  4. Jenkins, C. L. (1978) Textile dyes are potential hazards. J. Environ. Health. 40, 256-260 

  5. Goszczynski, S., Paszczynski, A., Sasti-Grigsby, M. B., Crawford, R. L. and Crawford, D. L. (1994) New pathway for degradation of sulfonated azo dyes by microbial peroxidases of Phanerochate chrysosporium and Streptomyces chromofuscus. J. Bacteriol. 176, 1339-1347 

  6. Spadaro, J. T., Gold, M. H. and Renganathan, V. (1992) Degradation of azo dyes by the lignin-degrading fungus Phanerochate chrysosporium. Appl. Environ. Microbiol. 58, 2398-2401 

  7. Gregory, P. (1993) Dyes and dyes intermediates, Encyclopedia of chemical Tehcnology, vol. 8. pp. 544-545.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8. Ryu, B. H. and Weon, Y. D. (1992) Decolorization of azo dyes by Aspergillus sojae B-10. J. Microbiol. Biotechnol. 2, 215-219 

  9. Walker, R. and Gingell, R. (1971) Mechanisms of azo reduction by Streptococcus faecalis. II. the role of soluble flavins. Xenobiotica. 1, 231-239 

  10. Walker. R., Gingell, R. and Murrells, D. F. (1971) Mechanisms of azo reduction by Streptococcus faecalis I. Optimization of assay conditions. Xenobiotica. 1, 221-229 

  11. Dubin, P. and Wright, K. L. (1975) Reduction of azo food dyes in cultures of Proteus vulgaris. Xenobiotica 5, 563-571 

  12. Chizuko, T., Ogawa, T., Koga, D. and Idaka, E. (1981) Biodegradability of azo and triphenylmethane dyes by Pseudomonas pseudomallei 13NA. Coloration Technol. 97, 166-169 

  13. Chung K. T., Fulk, G. E. and Egan, M. (1978) Reduction of azo dyes by intestinal anaerobes. Appl. Environ. Microbiol. 35, 558-562 

  14. Ogawa, T., Tatome, C., and Idaka, E. (1981) Biodegradation of p-aminoazobenzene by continuous cultivation of Pseudomonas pseudomallei 13NA. Coloration Technol. 97, 435-438 

  15. Ogawa, T., Tatome, C., Idaka, E. and Kamiya, H. (1986) Biodegradation of azo dyes by continuous cultivation of Pseudomonas cepacia 13NA. Coloration Technol. 102, 12-14 

  16. Rafii. F., Franklin, W. and Cerniglia, C. E. (1990) Azoreductase activity of an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intestinal microflora. Appl. Environ. Microbiol. 56, 2146-2151 

  17. Ryan, A. J., Roxon, J. J. and Sivayavirojana, A. (1968) Bacterial azo reduction - a metabolic reaction in mammals. Nature. 219, 854-855 

  18. Holt, J. G., Krig, N. R., Sneath, P. H. A., Staley, J. T. and Williams, S. T. (1994)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9th ed.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USA 

  19. Dubin, P. and Wright, K. L. (1975) Reduction of azo food dyes in cultures of Proteus vulgaris. Xenobiotica 5, 563-571 

  20. Ji, W. D., Son, D. H., Jeong, M. S., Choi, U. K., Chung, H. C., Choi, K. Y. and Chung, Y. G. (1996) Characteristics of monoazo dye-decolorizing bacterium Klebsiella pneumoniae DB51. J. Korean Soc, Hygien. Sci. 2, 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