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료의 색도 제거를 위해 개발된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특성
Charateristics of Akalophilic Microorganism Developed for Color Removal of Dye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2 no.2, 2010년, pp.145 - 154  

이현욱 ((주)윌텍) ,  임동준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lkalophilic microorganism capable of degrading dyes was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alkaline dye solution.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ecies. Using this microorganism, biological treatment of dye was studied in Erlenmeyer flask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icroorganism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polyester 염색가공폐수의 처리공정으로부터 중화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안 개발의 일환으로, 강알칼리성 영역에서 색도를 제거하는 호알칼리성 미생물을 개발하고, 개발한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특성과 염료에 대한 색도제거효율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색폐수 처리공정은 어떤 공정이 사용되고 있는가? 현재 사용되는 염색폐수 처리공정은 중화공정, 응집침전공정, 화학적 산화공정, 활성오니공정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처리공정들을 적절히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여러가지 공정을 사용하므로 대규모 처리시설과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유지관리가 어렵고, 운전이 복잡하며, 약품비, 전력비, 2차폐기물처리비 등 처리비용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중화공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폴리에스테르 종합 염색가공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강알칼리성을 산으로 중화하여 색도를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중화공정이 필요한 이유는 현재 방류수 수질기준이 중성영역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처리공정인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현재 사용하는 미생물군이 중성영역에서 활성을 가지는 미생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폴리에스테르 염색가공폐수가 생물학적 처리공정으로 유입되기 전에 중화되지 않으면 생물학적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염색폐수 처리공정의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사용되는 염색폐수 처리공정은 중화공정, 응집침전공정, 화학적 산화공정, 활성오니공정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처리공정들을 적절히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여러가지 공정을 사용하므로 대규모 처리시설과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유지관리가 어렵고, 운전이 복잡하며, 약품비, 전력비, 2차폐기물처리비 등 처리비용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처리시설이 단순하고 간단하며, 유지관리가 쉽고, 처리비용이 저렴한 처리공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K. Glenn and M. H. Gold, Decolorization of Several Polymeric Dyes by the Lignin - Degrading Basidiomycete Phanerochaete chrysosporium, Appl. Environ. Microbiol., 45(6), 1741-1747(1983). 

  2. M. W. Platt, Y. Hadar and I. Chet, The Decolorization of the Polymeric Dye Poly-Blue(polyvinylamine sulfonate-anthraquinone) by lignin degrading fungi, Appl. Microbiol. Biotech., 21, 394-396(1985). 

  3. S. Ohmomo, I. Aoshima, Y. Tozawa, N. Sakurada and K. Ueda,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Melanoidin Decolorizing Enzymes, P-III and P-IV, from Mycelia of Coriolus versicolor Ps4a, Agric. Biol. Chem., 49(7), 2047-2053 (1985). 

  4. C. Yatome, T. Ogawa, D. Koga, and E. Idaka, Biodegradability of Azo and Triphenylmethane dyas by Pseudomonas pseudomallei 13NA, J. Soc. Dyers Colour, 97, 166-169(1981). 

  5. T. Ogawa, C. Yatome, E. Idaka and H. Kamiya, Biodegradability of Azo Acid Dyes by Continuous Cultivation of Pseudomonas pseudomallei 13NA, J. Soc. Dyers Colour, 102, 12-14(1986). 

  6. J. Liu and H. Liu, Degrading of Azo Dyes by Algae, Environ. Pollu., 75, 273-278(1982). 

  7. A. S. Ball, W. B. Betts and A. J. Mccarty, Degradation of Lignin-Related Compounds by Actinomycetes, Appl. Environ. Microbiol., 55(6), 1642-1644(1989). 

  8. W. Zhou and W. Zimmermann, Decolorization of Industrial Effluents Containing Reactive Dyes by Actinomycetes, FEMS Microbiology Letters, 107, 157-162(1993). 

  9. A. Reife and H. S. Freeman, "Environmental Chemistry of Dyes and Pigment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3-31, 1996. 

  10. C. G. Namboodri, W. S. Perkins and W. K. Walsh, Decolorizing Dyes with Chlorine and Ozone : Part I, American Dyestuff Reporter, March, 17-22(1994). 

  11. C. G. Namboodri, W. S. Perkins and W. K. Walsh, Decolorizing Dyes with Chlorine and Ozone : Part II, American Dyestuff Reporter, April, 17-26(1994). 

  12. T. Kudo and K. Horikoshi, Effect of pH and Sodium Ion on Germination of Alkalophilic Bacillus species, Agric. Biol. Chem., 47(4), 665-669(1983). 

  13. K. Horikoshi, "Microorganisms in Alkaline Environments", Kodansha, Tokyo, pp.6-31,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