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만덕산과 미륵봉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Studies on Resource Plants of the Mireukbong and Manduksan in Jeollabuk-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4, 2006년, pp.447 - 458  

김영하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덕산과 미륵봉주변의 자원식물의 분포현황과 활용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만덕산과 미륵봉주변의 자원식물을 조사한 결과, 107과 339속 481종 1아종 65변종 3품종으로 총 550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이중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에는 323종류(58.7%), 약용식물에는 384종류(69.8%), 관상용식물에는 267종류(48.5%), 기타용 식물에는 268종류(48.7%)로 분석되었다. 희귀식물에는 말나리(Lilium distichum; 보존우선순위 159번), 뻐꾹나리(Tricyrtis dilatata; 97번),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151번),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110번)가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에는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털중나리(Lilium amabile),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키버들(Salix purpurea var. japonica), 다화개별꽃(Pseudostellaria multiflora),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개나리(Forsythia koreana), 오동(Paulownia coreana),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등의 11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V등급에 해당되는 식물로 식재종인 왕벚나무, IV등급에는 등나무, III급에는 꼬리조팝나무, 단풍나무, 갈퀴아재비 3종류, II등급에는 돌양지꽃, 민둥뫼제비꽃, 층꽃나무 3종류, 그리고 I등급에는 잣나무(식재), 일월비비추, 홀아비꽃대, 왕버들, 가래나무 등 22종류로 분석되어 총 30종류(5.5%)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은 외래식물 식재나 야생화 채취 및 토양 답압등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ource plants at the Manduksan and Mireukbong was listed 550 taxa: 107 families, 339 genera, 481 species, 1 subspecies, 65 varieties and 3 forms. Among 550 taxa listed was confirmed 323 taxa of edible plants (58.7%), 384 taxa of medicinal plants (69.8%), 267 taxa of ornamental plants (48.5%) a...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길봉섭. 1991.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 제5차년도(전북의식생). 환경처. pp. 85-147 

  2. 김경식. 1988. '88자연생태계전국조사. 제3차년도(전북의녹지자연도). 환경청. pp. 123-143 

  3.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pp. 247-351 

  4. 김영식. 1991.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 제5차년도(전북의식생). 환경처. pp. 181-231 

  5. 김철환, 한미경. 1998. 만덕산(전북진안?전주)의식물상.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2차년도). 환경부. pp. 1-28 

  6. 김철환. 2000. 자연환경평가-I. 식물군의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7. 박광우,권영한,최경,오승환,김동갑,도재화,태경환,김주환.2005. 덕유산 국립공원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32-56 

  8. 박선주, 박성준. 2004. 소록도의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18(4):392-398 

  9. 박완근, 백원기, 이우철, 안상득. 1997.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1): 64-85 

  10. 백원기, 이우철, 박완근, 안상득. 1996. 한석산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 121-142 

  11.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5-84 

  12.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현황과21세기우리의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13.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140 

  14. 송주택, 정현배, 김병우, 진희성, 김계영.1990. 한국식물보전(자원편). 한국자원식물연구소. pp. 858 

  15. 안상득, 김수철, 이상래. 1994. 백두산자원식물조사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7(1): 53-61 

  16.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 충청북도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17.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pp. 1269 

  18.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624 

  19.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분포에관한연구. 한국식물학회지 8(부록): 1-33 

  20. 이창복. 1983. 우리나라특산식물개관. 한국의희귀및멸종위기식물에 관한 워크샵-. 한국식물학회. pp. 34-41 

  21.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22. 이철희. 2000. 자생식물의산업적가치극대화를위한방안. 농업산학협동 학술심포지움. pp. 3-21 

  23. 이해복. 1988. '88자연생태계전국조사. 제3차년도(전북의녹지자연도). 환경청. pp. 13-31 

  24. 임양재. 1991.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 제5차년도(전북의식생). 환경처. pp. 15-82 

  25. 전승훈. 1997.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pp. 216 

  26. 정규영, 정형진, 남기흠, 박재호. 2005.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131-147 

  27. 정진철, 전경수, 장규관, 최정.1994.TWINSPAN과 DCCA에의한 만덕산의 삼림군락과 환경의상 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 262-269 

  28. 정흥락, 양금철. 1998. 만덕산과인근산지(전북진안?전주) 일대의식생.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2차년도). 환경부. pp. 1-23 

  29. 조창구, 백원기, 이우철. 1999. 청옥산-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 240-252 

  30. 진안군. 1996. 통계연보. 진안군청 

  31.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pp. 62-89 

  32.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제2조 관련)-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I-급. pp. 환경부 

  33.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Wien University. pp. 314 

  34.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Tokyo. 31: 1-52 

  35. Yim, Y.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J.Ecol. 25: 77-88 

  36. Takhtajan, A. 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 California Press. pp. 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