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산·묘봉(태백시, 삼척시, 봉화군)의 식물상
A Floristic Study of Mt. Myeonsan·Myobong (Taebaek-si, Samcheok-si, Bonghwa-gun)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5, 2014년, pp.501 - 517  

남보미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정선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김민근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정규영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 삼척시,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면산(1,245 m) 및 묘봉(1,168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자원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2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96과 314속 489종 3아종 54변종 5품종의 총 5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17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멸종위기종이 2분류군, 위기종이 3분류군, 취약종이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5등급이 2분류군, 4등급이 22분류군, 3등급이 2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식물 215분류군, 목초용 184분류군, 약용식물 163분류군, 관상용 59분류군, 목재용 17분류군, 염료용 6분류군, 섬유용 5분류군, 산업용 5분류군,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38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25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4.5%, 도시화지수는 7.8%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Myeonsan (1,245 m) and Myobong (1,168 m)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15 times from April 2012 to October 2013 consisted a total of 551 taxa; 96 f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면산 및 묘봉 일대는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다수 분포하나, 이에 대한 기초 정밀 조사 자료는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식물목록을 바탕으로 본 연구와 비교 검토하고, 체계적인 현지조사를 통하여 확보된 증거표본에 기초하여 식물목록을 작성함으로서 본 지역의 전반적인 관속식물 및 희귀식물의 분포 파악을 통하여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 삼척시,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 하는 면산(1,245 m) 및 묘봉(1,168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자원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2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96과 314속 489종 3아종 54변종 5품종의 총 5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산 및 묘봉을 비롯하여 백병산 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면산 및 묘봉을 비롯하여 백병산 등 일부 지역은 야생동물의 개체수와 종 다양성이 높으며, 희귀식물 자생지로서 안정적인 산림생태계의 서식지로 인정되어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된 바, 산림 내 식물의 유전자, 종 또는 산림 생태계 등을 보전하기 위해 법률로 지정하여 보호 · 관리되고 있다. 조사지역에 대한 선행 연구로는 Bae et al.
면산 일대에 대한 추가조사가 필요한 이유는? 또한 면산 일대는 (사)한국교사식물연구회(2009)에 의해 총 583분류군으로 발표된 바 있으나, 황기, 팥, 개나리, 황금, 꽈리, 불두화, 큰금계국 등 다수의 식재 또는 재배종이 포함되어 있고, 면산 및 묘봉 이외에 인근의 백병산 아래부터 토산령, 구랄산 및 삼방산을 포함한 다소 넓은 지역의 조사가 이루어져 본 조사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수송나물, 해당화 등은 분포 재확인을 위하여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외에 면산 지역의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Lee et al.
면산(1,245 m)과 묘봉(1,168 m)의 위치는? 면산(1,245 m)과 묘봉(1,168 m)은 백두대간에서 뻗은 낙동정맥의 북단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북쪽으로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삼척시 하장면과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의 분기점에 위치하며(북위 37° 09′~37° 06′, 동경 129° 05′~129° 09′), 두 봉우리 사이로 삼척시와 봉화군을 연결하는 석개재가 가로 지른다. 조사대상지는 지리적으로 북쪽에 낙동정맥의 시작인 매봉산(1,307 m), 백병산(1,259 m), 구랄산(1,071 m), 남쪽에는 백병산(1,154 m), 진조산(908 m) 등의 1,000 m 이상인 산들이 연결되고 산세가 가파르며 험준하여 인적이 드물지만, 정맥을 종주하는 등산객들의 출입이 빈번해 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K.H., J.S. Kim, J.K. Hong, S.H. Oh, H.J. Cho and C.W. Yoon. 2009. A study on vascular plants in Mt. Myo-bong, Seokpo-ri, Bonghwa-Gun.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3:35-44 (in Korean). 

  2. Bonhwagun. 2013. Statistical Year Book of Bonghwa. Bonghwagun office, Bonghwa, Korea (in Korean). 

  3.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in Korean). 

  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5. Lee, B.C., C.W. Yun, J.H. Shin and J.S. Oh. 2001.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san. Jour. Korean For. Soc. 90(4):548-557 (in Korean). 

  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7.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1-137 (in Korean). 

  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9.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0.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11.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12.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elin-Nikolass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Guide to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14.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5.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16. Samcheoksi. 2009. Statistical Year Book. Samcheoksi office, Samcheok, Korea (in Korean). 

  17. Taebaeksi. 2013. Statistical Year Book. Taebaeksi office, Taebaek, Korea (in Korean). 

  18. (사)한국교사식물연구회. 2009. (사)한국교사식물연구회 식물조사 보고서 제5권 낙동정맥 면산 식물. (사)한국교사식물연구회, 서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