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회복지실천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Centering Effect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between the Social Worker Empowerment and Social Work Self-Efficacy in Social Work Practice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8 no.4, 2006년, pp.341 - 369  

박봉길 (그리스도대학교) ,  전선영 (서울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변혁적 리더십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는 서울의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39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사회복지사 역량강화,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변혁적 리더십 척도 등이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강화와 변혁적 리더십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량강화 하위요소 가운데 전문적 활동과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사람들보다는 낮은 집단의 사람들에게서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활동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how the social-worker empowerment in the field of social work relates to social-work self-efficacy and whether or not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leade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Data from 390 social workers working with public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정도가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발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이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 사회복지전공을 이수하고 실천현장에 투입된 사회복지사의 전문가로서의 역량강화 요소들 즉, 지식추구와 정체성, 가치에 대한 판단력, 전문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동적인 성향, 전문직 유지를 위한 활동, 전문직 공통의 정체성 추구, 그리고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 등이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발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에 있어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자기관리와 팀접근에 유용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런데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독립 변수로 투입한 사회복지사 역량강화 하위차원 중 가치 판단력 변수는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역량강화 하위요인 가운데 가치판단력과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은 생략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아래 표에서 제시하는 3단계 회귀모형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정도가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발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이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주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 중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변혁적 리더십 척도는 총합의 개념으로 단일차원으로 분석 처리 되었지만, 5개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분석된 사회복지사 역량강화 척도는 선행연구에서 이미 측정도구의 신뢰성 그리고 그 타당성이 이미 입증된 바가 있지만, 문화적 혹은 환경적 차이에 따라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지각 반응이 다를 수 있으므로 타당도 분석을 다시 시행하였다.
  •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에서는 자료를 표준화시킨 후에 독립변수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평가하는 회귀계수(β)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분석에서의 유의수준은 <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두라(Bandura, 1986: 391)에 의해 제안된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반두라(Bandura, 1986: 391)에 의해 제안된 자기효능감은 부여된 업무수행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행동과정을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우드와 반두라(Wood and Bandura, 1989: 408)는 자기효능감을 상황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행위의 과정, 동기, 인지적 자원을 동원하는 개인의 능력의 개념과 관련 있다는 것을 첨가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의 정의를 확장하였다.
사회복지실천 방법은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 역사적으로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개입하는데 있어서 사회복지 가치, 지식 및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사회복지실천 방법은 일반적인 실무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것과 특정 상황에 따라 특정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것을 함께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해 미국사회복지교육위원회 교과과정 정책에서는 사회복지 교육의 내용은 일반적인(general) 것으로부터 특정한 전문적인(special) 것으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했다(Anderson, 1985).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마지막 단계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실제 업무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러 실천 분야에서 사회복지는 미시적 측면에서 개인과 가족, 거시적 측면에서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여 개입의 효과를 나타내야 하는 전문직의 책임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측면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량은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역량이 자신의 삶을 규제하여 타인(클라이언트 혹은 동료 사회복지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지식, 기술, 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Zastrow, 1995: 522). 따라서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마지막 단계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실제 업무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