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The Level of Support in Parents' Childcare and Work in 21 OECD Countries: Parental Leave and Childcare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8 no.3, 2006년, pp.341 - 370  

윤홍식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 모 노동력의 탈상품화 가족화와 상품화 탈가족화 정도를 반영하는 부모권과 노동권 지원수준을 통해 OECD 21개국을 비교분석하여 몇 가지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는 남성생계 부양자에 근거한 주류 복지국가 논의에 대한 대안적 논의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는 점이고, 둘째는 사민주의 4개국은 구사회위험 뿐만 아니라 신사회위험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부모권의 지원 문제, 즉 가족정책의 가족화 수준이 반드시 탈가족화 수준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프랑스, 오스트리아의 예에서 보듯 두 국가 부모휴가제도의 탈상품화 수준은 낮지만 가족화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한국가족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주요한 함의를 정리하였다. 첫째, 가족정책과 관련된 정책목표의 달성은 단순히 제도도입 여부와 같은 형식적 문제가 아니라 부모휴가(육아휴직)제도 등이 실제적으로 부 모의 실제적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는 수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가족정책에서 높은 수준의(탈)상품화 (탈)가족화를 제도화할 수 있는 힘은 한국사회의 여성유급노동에 대한 객관적 필요에 의해 결정될 것이므로, 여성의 유급고용 확대를 위한 시장과 비시장부분에서의 충분한 정책적 노력이 진행되어한다. 셋째, 임신, 출산, 양육이라는 신사회위험에 대한 가족정책의 대응을 위해 계급과 계층을 가로지는 새로운 사회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and compare 21 OECD countries in regard to the level of support in parents' childcare and work.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suggested. First, examining the level of support in parents' childcare and work, 21 OECD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clus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부모휴가(Parental leave)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child care)을 중심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 21개국의 가족정책을 비교ㆍ분석하고자 한다. 여러 가지 가족정책 중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OECD 21개국을 비교 분석하는 이유는 복지체제 재편의 핵심적 과제가 사적영역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대응을 제도화하는 것이고, 이러한 제도화는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로 대표되는 일-가족양립정책으로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Gregory and Windebank, 2000; Aust and Bönker, 2004; Taylor-Gooby and Larsen, 2004).
  • 다음으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와 유형화의 방법으로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에 대해 간략히 검토하고, 이어서 일-가족 양립 지원 수준을 준거로 OECD 21개국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것이다. 정리 및 정책함의를 위한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비교분석 결과가 한국사회에 전달하는 함의에 대해 정리했다.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이 모든 일-가족양립정책을 포괄했다고 할 수는 없다.
  • 또한 에스핑-앤더슨4)(Esping-Andersen, 1990: 46)의 지적처럼 진정한 탈상품 화는 임금노동자가 (재)교육을 받거나, 여가를 즐기거나, 자녀를 돌보거나, 가족에 대한 의무 등을 수행하기 위해 임금노동을 중단해도 소득보장이 이루어지는 것(탈상품화)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근거로 OECD 21개국 비교분석의 주요한 준거인 일-가족양립정책의 핵심적 개념(노동권과 부모권)의 전제가 되는 (탈)상품화와 (탈)가족화의 쟁점을 가족정책의 영역, 구체 적으로 일-가족양립정책 중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과 관련된 정책 영역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 장 마지막에는 부모권과 노동권의 양립정책(일-가족양립정책)을 젠더역할 통합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근거로 OECD 21개국 비교분석의 주요한 준거인 일-가족양립정책의 핵심적 개념(노동권과 부모권)의 전제가 되는 (탈)상품화와 (탈)가족화의 쟁점을 가족정책의 영역, 구체 적으로 일-가족양립정책 중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과 관련된 정책 영역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 장 마지막에는 부모권과 노동권의 양립정책(일-가족양립정책)을 젠더역할 통합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고자 한다.
  • ⑦ 순보육비용: 부ㆍ모 각각의 임금소득이 남녀노동자의 평균임금소득에 해당할 경우에 지출되는 순 보육비용을 실질구매력(PPP)기준 2001년 미국 달러화(USD)로 표시하였다. 분석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OECD 21개국의 부모휴가 제도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모휴가의 권리성격과 아버지할당제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하였다.
  • 부모휴가의 기간은 아일랜드가 가장 짧은 22주를 보장해 주고 있으며 프랑스, 독일이 가장 긴 156주를 보장해 주고 있다. 부모 휴가 사용의 유연성 여부는 부모휴가 기간 중 시간제 노동을 할 수 있는지와 부모휴가를 분할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점검해 보았다. 그리스, 네덜란드 등 10개국이 시간제와 분할사용이 모두 가능하도록 제도화되어 있어, 부ㆍ모가 일-가족양립 과제에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제도화되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지국가 위기의 주요한 원인으로 이해되는것은? 1970년대의 두 차례 석유파동으로 촉발된 경제위기는 복지국가 위기의 주요한 원인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위기로부터 촉발된 복지국가의 위기는 남성생계부양자에 기반한 복지체제의 구조적 재편을 요구하고 있으며, 일부 논자들은 전통적 복지국가의 종언을 주장하기도 한다.
탈상품화 개념을 에스핑-앤더슨은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탈상품화 개념의 상당 부분은 에스핑-앤더슨의 정의에 의존하고 있다. 에스핑-앤더슨(1990: 37)은탈상품화를 “개인 또는 가족이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도 적절한 수준의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더 나아가 에스핑-앤더슨(1990: 46)은 탈상품화 정책들을 언급하면서 임금노동자가 여가를 즐기거나, (재)교육을 받거나, 자녀를 돌보거나, 가족책임 등을 수행하기위해 임금노동을 중단해도 소득보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진정한 탈상품화(truly de-commodification)라고 지적하고 있다.
일-가족양립정책이 복지국가 재편에서 핵심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 이유는? 일-가족양립정책이 복지국가 재편에서 핵심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 이유는 복지국가 위기의 출발이 현상적으로는 경제위기로 인한 복지국가의 재정압박에 기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남성 생계부양자에 기반 한 전통적 복지체제가 ‘가족’의 변화와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족정책의 영역에서 보면 복지국가의 위기는 전통적 남성생계부양자에 기반 한 복지국가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로 대표되는 후기산업사회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Aust and Bönke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