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혼 양육모가 체험하고 있는 양육결정 경험을 이해하고 그 체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꼴라쥐(Cola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혼양육모를 위안 '미혼모 중간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20대 초반에서 30대 초반의 미혼 양육모 7명이었으며, 2003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평균 2차례에 걸쳐 "당신이 체험한 양육 결정 경험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대상자를 만나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기술을 읽어서 구, 문장으로부터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한 후 이를 좀더 일반적인 형태로 제 진술하고 구성된 의미를 주제(Theme), 주제묶음(Theme clusters), 범주(Categories)로 분석한 결과, 22개의 주제와 '임신으로 인해 혼란스러워 짐', '홀로 겪는 현실이 모질게 느껴짐', '아이에게 정을 느낌', '아이 양육에 대해 갈등', '아이 양육을 마음으로 정', '스스로의 결정을 다짐함', '회생의 희망을 가짐'의 7개의 주제 묶음을 통해서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미혼모의 양육 결정 체험의 의미가 '회생(回生)'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상학적 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도 미혼모 모자세대들을 하나의 가족 형태로 받아들여 바르게 이해하고 그들의 권리를 되찾아 주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혼 양육모에 대한 개입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미혼 양육모가 체험하고 있는 양육결정 경험을 이해하고 그 체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꼴라쥐(Cola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혼양육모를 위안 '미혼모 중간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20대 초반에서 30대 초반의 미혼 양육모 7명이었으며, 2003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평균 2차례에 걸쳐 "당신이 체험한 양육 결정 경험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대상자를 만나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기술을 읽어서 구, 문장으로부터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한 후 이를 좀더 일반적인 형태로 제 진술하고 구성된 의미를 주제(Theme), 주제묶음(Theme clusters), 범주(Categories)로 분석한 결과, 22개의 주제와 '임신으로 인해 혼란스러워 짐', '홀로 겪는 현실이 모질게 느껴짐', '아이에게 정을 느낌', '아이 양육에 대해 갈등', '아이 양육을 마음으로 정', '스스로의 결정을 다짐함', '회생의 희망을 가짐'의 7개의 주제 묶음을 통해서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미혼모의 양육 결정 체험의 의미가 '회생(回生)'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상학적 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도 미혼모 모자세대들을 하나의 가족 형태로 받아들여 바르게 이해하고 그들의 권리를 되찾아 주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혼 양육모에 대한 개입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in deciding for childcare of unmarried lone mother and searching for intervention methods through in-depth examination of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o achieve this, the Colazzi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applied. The subjects of st...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in deciding for childcare of unmarried lone mother and searching for intervention methods through in-depth examination of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o achieve this, the Colazzi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appli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7 unmarried lone mothers in early age of the twenties and thirties, who resided in an institution for unmarried lone mothers. An in-depth interview was held individually with them with question of "What is the experience in deciding for childcare as a unmarried lone mother" twice on the average from Nov. 2003 to Feb. 2005. The results found that a unmarried lone mothers' experience in childcare meant 'resurrection' through analyzing 22 themes and 7 theme clusters(confusion due to pregnancy, harsh feeling for reality suffering alone, feeling of love for a baby, mental conflict about childcare, decision toward childcare, firm in decision, hope for resurrect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due to phenomenological study, it will contribute to accepting and understanding mother-and-child families as one type of family rather than regarding them as being difficult or alienated in family and society, to recognizing the need of taking back their rights, and to suggesting intervention methods for unmarried lone mothers.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in deciding for childcare of unmarried lone mother and searching for intervention methods through in-depth examination of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o achieve this, the Colazzi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appli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7 unmarried lone mothers in early age of the twenties and thirties, who resided in an institution for unmarried lone mothers. An in-depth interview was held individually with them with question of "What is the experience in deciding for childcare as a unmarried lone mother" twice on the average from Nov. 2003 to Feb. 2005. The results found that a unmarried lone mothers' experience in childcare meant 'resurrection' through analyzing 22 themes and 7 theme clusters(confusion due to pregnancy, harsh feeling for reality suffering alone, feeling of love for a baby, mental conflict about childcare, decision toward childcare, firm in decision, hope for resurrect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due to phenomenological study, it will contribute to accepting and understanding mother-and-child families as one type of family rather than regarding them as being difficult or alienated in family and society, to recognizing the need of taking back their rights, and to suggesting intervention methods for unmarried lone mothers.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