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심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뇌졸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술 후 사망이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경동맥 협착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수술의 합병증을 줄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경동맥 협착증으로 한 명의 술자에 의해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 받은 74명(76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64명, 여자가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63.6세($40{\sim}77$세)였다. 경동맥 내막절제술만을 시행한 경우가 63예, 내막절제술과 함께 패취를 이용하여 경동맥 성형술을 시행한 경우가 8예, 내막절제술과 함께 경동맥의 일부를 절제한 후 단단 문합한 경우가 5예였다. 수술 중 동맥내 션트는 29예에서 사용되었다. 총경동맥과 외경동맥을 겸자한 후의 평균 내경동맥 역류압은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있었던 25예(A군)의 경우 $23.48{\pm}10.04$ mmHg이었고,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없었던 51예(B군)의 경우 $47.16{\pm}16.04$ mmHg이었다. 두 군 간의 내경동맥 역류압의 평균치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p=0.095)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환자의 내경동맥 역류압은 모두 40 mmHg 이하였다. 내경동맥 역류압에 관계없이 뇌파의 허혈성 변화가 없으면 동맥내 션트를 시행하지 않고 수술하였다. 합병증은 일시적인 설하신경 마비 4예, 기존의 뇌경색 부위에 발생한 뇌출혈 2예, 경미한 뇌경색 1예, 봉합 부위의 혈액 누출에 의한 혈종 1예, 술 중 과도한 견인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생각되는 후두 부종에 의한 상기도 폐쇄 2예였다. 기존의 뇌경색 부위에 발생한 뇌출혈 2예 중 1예는 응급 수술을 시행한 경우로 뇌출혈이 심해 보존치료 도중 사망하였다. 결론: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수술 사망률이 낮은 비교적 안전한 수술 방법이다. 허혈성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맥내 션트는 내경동맥 역류압보다는 뇌파의 허혈성 변화 여부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후두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중 과도한 견인을 피하고 수술 직후 혈압을 엄격히 관리해야 하며, 후두 부종이 의심되면 작은 구경의 튜브를 이용한 기관 삽관이나 응급 기관절개술 등을 통하여 신속하게 기도를 확보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arotid endarterectomy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in patients with severe carotid artery stenosis, but it may result in se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arotid endarterectomy performed in our institution to reduce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과성 허혈 발작을 가진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 후 동측의 후기 뇌졸중 발생률은 매년 1~2% 감소하고 뇌졸중 과거력을 가진 환자에서 2차 뇌졸중 발생률은 매년 2 — 3% 감소하여 경동맥 내막절제술이 뇌졸중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입증되었다[1, 3]. 저자들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경동맥 내막절제술의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수술의 합병증을 줄이고 자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IS, Park JC, Chung KC, Jang DI. Clinical experience of carotid edarterectomy for carotid stenosis. Korean J Cardiovasc Surg 1999;32:1087-92 

  2. Bornstein NM, Beloev ZG, Norris JW. The limitation of diagnosis of carotid occlusion by doppler sound. Ann Surg 1998; 207:215-7 

  3. Whittemore AD, Ruby ST, Couch NP, Mannick JA. Early carotid 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small, fixed neurologic deficits. J Vasc Surg 1984;1:795-9 

  4. Sacco RL, Wolf PA, Kannel WB, McNamara PM. Survival and recurrence following stroke: framingham study. Stroke 1982; 13:290-5 

  5. Naylor AR, Rothwell PM, Bell PR. Overview of the principal results and secondary analyses from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randomised trials of endarterectomy for symptomatic carotid stenosis. Eur J Vasc Endovasc Surg 2003; 26:115-29 

  6. Sbaragia E, Toni D, Speziale F, et al. Emergency and early carotid 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selected with a predefined protocol. A prospective pilot study. Int Angiol 2003;22:426-30 

  7. Eckstein HH, Schumacher H, Klemm K, et al. Emergency carotid endarterectomy. Cerebrovasc Dis 1999;9:270-81 

  8. Ferguson GG, Eliasziw M, Barr HW, et al. The North American symptomatic carotid endarterectomy trial: surgical results in 1,415 patients. Stroke 1999;30:1751-8 

  9. Bond R, Narayan SK, Rothwell PM, Warlow CP. Clinical and radiographic risk factors for operative stroke and death in the European carotid surgery trial. Eur J Vasc Endovasc Surg 2002;23:108-16 

  10. McCleary AJ, Maritati G, Gough MJ. Carotid endarterectomy: local or general anaesthesia. Eur J Endovasc Surg 2001;22: 1-12 

  11. McKinsey JF, Desai TR, Bassiouny HS, et al. Mechanisms of neurologic deficits and mortality with carotid endarterectomy. Arch Surg 1996;131:526-31 

  12. Yastrebov K. Intraoperative management: carotid endarterectomies. Anesthesiol Clin North America 2004;22:265-87 

  13. Ouriel K, Green RM. Clinical and technical factors influencing recurrent carotid stenosis and occlusion after carotid endarterectomy. J Vasc Surg 1987;5:727-31 

  14. Forrsell C, Krrzing P, Bergqvist D. Cranial nerve injuries after carotid surgery. A prospective study of 663 operations. Eur J Vasc Surg 1995;10:445-9 

  15. Munro FJ, Makin AP, Reid J. Airway problems after carotid endarterectomy. Br J Anaesth 1996:76;156-9 

  16. O'Sullivan JC, Wells DG, Wells GR. Difficult airway management with neck swelling after carotid endarterectomy. Anaesth Intensive Care 1986;14:4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