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grobacterium larrymoorei와 A. tumefaciens에 의한 벤자민고무나무 뿌리혹병
Crown Gall of Weeping Fig Caused by Agrobacterium larrymoorei and A. tumefacien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2 no.3, 2006년, pp.189 - 196  

이영기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식물병리과) ,  황혜경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식물병리과) ,  황태호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식물병리과) ,  명인식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식물병리과) ,  구한모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자원과) ,  차재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3년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벤자민고무나무의 줄기에 뿌리혹병이 발생하였다. 혹은 15cm정도의 크기로 표면이 거칠고 갈변된 타원형이었다. 혹 조직으로부터 Agrobacterium과 유사한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벤자민고무나무의 유묘에 접종하여 혹을 형성한 5개 균주 중에서 2가지 계통에 대하여 분류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0.5% $CaCO_3$가 첨가된 PDA 배지에서 생장된 병원성 세균들은 둥글고 볼록하면서 광택이 나는 크림색 계통이었다. 모든 균주는 다수의 편모를 가진 간상의 세균으로 그람음성이었으며 호기적으로 생장하면서 D1M agar에서도 생장하였다. 병원성 세균들은 대조균주와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주요 생리 생화학적특성, 탄소원 이용양상, 지방산조성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A. larrymoorei와 A. tumefacien로 동정되었다. A. larrymoorei와 A. tumefaciens는 포도를 제외한 타 기주식물에서도 병원성이 있었다. 국내에서 A. larrymoorei와 A. tumefaciens에 의한 벤자민고무나무의 뿌리혹병은 본 연구에서 처음 보고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own gall on lower stem of weeping fig(Ficus benjamina Roxb.) was first observed at Daejon in 2003. Tumors were about 15 cm in size and semi-round with rough surface texture of dark brown color. Two virulent isolates among ten bacteria isolated from the tumor tissues were characterized. Their col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3년 저자들은 대전광역시 유성 구에 소재 하는 화훼판매 점 의 벤자민고무나무에서 뿌리혹병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벤자민고무나무에서 분리된 병원성종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고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현재 Agrobactefinn의 분류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uzar, H. and Jones, J. B. 1992. Distinction of biovar 2 strains of Agrobacterium from other chromosomal groups by differential acid production. Lett. Appl. Microbiol. 15: 83-85 

  2. Bouzar, H. and Jones, J. B. 2001. Agrobacterium larrymoorei sp. nov., a pathogen isolated from aerial tumours of Ficus benjamina. Int. J. Syst. Evol. Microbiol. 51: 1023-1026 

  3. Bouzar, H., Chilton, W. S., Nesme, X., Dessaux, Y., Vaudequin, V., Petit, A., Jones, J. B. and Hodge, N. C. 1995. A new Agrobacterium strain isolated from aerial tumors on Ficus benjamina L. Appl. Environ. Microbiol. 61: 65-73 

  4. Bouzar, H., Jones, J. B. and Hodge, N. C. 1993. Differential characterization of Agrobacterium species using 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and fatty acid profiles. Phytopathology 83: 733-739 

  5. Chase, A. R. 1987. Compendium of ornamental foliage plant diseases. APS Press, St. Paul, Minn 

  6. DeCleene, M. and De Ley, J. 1976. The host range of crown gall. Bot. Rev. 41: 389-466 

  7. Galloway, B. T. 1919. Giant crown galls from the Florida Everglades. Phytopathology 9: 207-208 

  8. Kersters, K. and De Ley, J. 1984. Genus Agrobacterium.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1. by Krieg, N. R. and Holt, J. G., eds., pp. 244-254. The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9. Miller, L. T. 1982. Single derivatization method for routine analysis of bacterial whole-cell fatty acid methyl esters, including hydroxy acids. J. Clin. Microbiol. 16: 584-586 

  10. Perry, K. L. and Kado, C. I. 1982. Characteristics of Ti plasmids from broad-host-range and ecologically specific biotype 2 and 3 strains for Agrobacterium tumefaciens. J. Bacteriol. 151: 343-350 

  11. Sawada, H., Ieki, H., Oyaizu, H. and Matsumoto, S. 1993. Proposal for rejectio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revised descriptions for the genus Agrobacterium and for Agrobacterium radiobacter and Agrobacterium rhizogenes. Int. J. Syst. Bacteriol. 43: 694-702 

  12. Schaad, N. W., Jones, J. B. and Chun, W. 2001. Laboratory guide for identification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3rd ed. APS Press, St. Paul, Minn. 373 pp 

  13. Young, J. M., Kuykendall, L. D., Martinez-Romero, E., Kerr, A. and Sawada, H. 2001. A revision of Rhizobium Frank 1889, with an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and the inclusion of all species of Agrobacterium Conn 1942 and Allorhizobium undicola de Lajudie et al. 1998 as new combinations: Rhizobium radiobacter, R. rhizogenes, R. rubi, R. undicola and R. vitis. Int. J. Syst. Evol. Microbiol. 51: 89-103 

  14. 윤평섭. 1989. 한국원예식물도감. 지식산업사. pp. 658-659 

  15. Zoina, A., Raio, A., Peluso, R. and Spasiano, A. 2001. Characterization of agrobacteria from weeping fig (Ficus benjamina). Plant Pathology 50: 620-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