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잔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선발과 효력 검정
Development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 for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Blight of Turfgras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2 no.3, 2006년, pp.260 - 266  

정우철 ((주)그린바이오텍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  신택수 ((주)그린바이오텍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  도기석 ((주)그린바이오텍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  김원극 ((주)그린바이오텍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  이재호 ((주)그린바이오텍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  최기현 ((주)그린바이오텍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ythium spp. 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은 골프장 퍼팅 그린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Pythium aphanidermatum를 피시움마름병 병원균으로 하여 생물학적 방제법에 이용할 수 있는 길항 미생물을 1차 선발하였고, 선발된 길항 미생물에 대해 폿트 수준의 생물 검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실험을 동해 선발된 미생물 중에서 Relative Performance Indies 값을 기준으로 가장 우수한 것을 선별하여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길항 미생물로 최종 선발하였고,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밝혀졌다. 최종 선발된 미생물은 B. subtilis GB-0365라 명명하였고, 화학 농약에 대한 내성 실험과 혼용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여 화학 농약과 시간의 차이를 두고 교호 살포할 경우 방제효과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골프장의 간이 묘포장에서 자연 발생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B. subtilis GB-0365의 방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무처리 대비 방제가는 56.4%, 화학 농약 대비 방제가는 60.9%로 우수한 방제 효과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ythium blight caused by Pythium spp. is one of major diseases in putting green of golf course.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which are anatgonistic to Pythium aphanidermatum, a pathogen of pythium blight, were selected primary through in vitro tests, dual culture method and triple layer agar diff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골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화학 농약과의 혼용성 여부를 검정함으로써 IPM 소재로써의 여부를 검증해 보았다. 최종 선발 미생물을 LB 배지 (yeast extract 0.
  • 이는 길항 미생물이 plate가 아닌 실제 현장이나 외부 토양에선 다른 미생물에 의한 간섭과 환경 요인에 의해 처리 지역에 정착할 수 없어서 병원균에 대해 억제력을 보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상에서 길항 작용을 보인 균주에 대해 생물 검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앞서 P.
  • 본 연구를 통해 골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학농약 제품 중 살균제 43종, 살충제 11종, 제초제 22종, 생장조절제 1종에 대하여 B. subtilis GB-0365의 농약 혼용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Table 4에 나와 있는 결과에는 살균제의 경우, 카바메이트계, 피리미딘계, 이족사놀계, 카르복시아니라이드계, 아실아라닌계, 요소계 등 22종, 살충제는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등 6 종이 혼용 가능하였고, 제초제에 있어서는 디니트로아니린계, 설포닐우레아계, 카바메이트계 등 4종이 가능하였다.
  • 미생물에 대해 피시움마름병을 일으키는 Pythium spp. 의길항균을 in vitro에서 활성 검증하여 선발하였고, 폿트와간이 묘포장 수준에서 생물 검정 시험을 통해 피시움마름병 방제제로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개발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ker, R. 1968. Mechanism of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athogens. Annu. Rev. Phytopathol. 6: 263-294 

  2. Burges, H. D. 1998. Formulation of Microbial Biopesticides. 412p.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Netherlands 

  3. Nelson, E. B. 1997. Biological control of turfgrass disease. Golf Course Management 60-69 

  4. Harmon, G. E. and Hardar, Y. 1983.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species. Seed Sci. Technology 11: 893-906 

  5. Shurtleff, M. C., Fermanian, T. W. and Randell, R. 1987. Controlling turfgrass pests. 449 p. In: A reston book.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6. Uddin, W. and Viji, G. 2002. Biological control of turfgrass disease. pp. 313-314. In: Biological control of crop disease. Marcel Dekker, Inc. Barsel, New York 

  7. 이용세, 전하준, 이창호, 송치현. 1997. 잔디 토양전염성병원진 균에 대한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길항효과, Kor. J. Org. Agric. 6: 133-149 

  8. 안용태. 1992. Golf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한국잔디연구소. 유 천문화사 

  9. 염주립. 1999. Trichoderma harzianum ABGC-95를 이용한 골 프그린에 발생하는 Pythium 마름병의 생물적 방제. 한국잔디학회지 13: 223-234 

  10. 황연성, 최준수, 김영호. 1996. Creeping Bentgrass에서 미생물 제에 의한 Pythium Blight, Brown Patch 및 Dollar spot 방제 효과.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2: 237-244 

  11. 황연성, 최준수. 1999. 유용미생물의 사용이 잔디의 질과 이용 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3: 202-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