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현대에 있어서 한.중.일 삼국의 복식색채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Colors of Korea. China. Japan in the 20th Centur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6 no.9 = no.109, 2006년, pp.98 - 111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김희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stume colors of modern and present ag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dern China and Japan had quick influx speed of Western culture. Dissimilarly, modern Korea kept conception of ...

주제어

참고문헌 (43)

  1. 현대패션 100년 편찬위원회 (2002).'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46 

  2. 이지현 (2005).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31 

  3. 현대패션 100년 편찬위원회 (2002).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46 

  4. Steel, V. & Major, J. S. (1999). China Chic: East meets West. Yale University Press. pp. 17-18 

  5. 李素植 (1999) 日中文化比較硏究, 동경: 文化書房博文社, pp. 196-204 

  6. Harrison, Herrietta (2000). The Making of the Republican Citizen. Oxford: Oxford Univ Press, pp. 50-51 

  7. Sun Lung-kee (1997). The Politics of Hair and Issue of the Bob in Modern China. Fashion Theory 1 no.4, pp. 353-366 

  8. 김세나 (2002) 일본전통문양을 응용한 현대패션 텍스타일 디자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12 

  9. 井筒雅風 (2004), 일본여성복식사, 서울: 경춘사. pp. 155-156 

  10. 안병찬 (1978), 중공,중공인,중공사회. 서울 : 다락원, p. 154 

  11. Bao Mingxin (1999). 중국의 복식.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제 7호, p. 735 

  12. Clair, Roberts (1997), The Way of Dress, Evolution & Revolution: Chinese Dress 1700-1990s, Sydney: Powerhouse Publishing, p. 22 

  13. 성희진 (2001). 근대 이후 한국과 중국의 문화접변에 따른 전통복식 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118 

  14. 조규화 (1985), 선진국의 패션 및 패션산업. 한국섬유산업연합호, p. 148 

  15. 정연자 (1993). 현대패션에 나타난 민속풍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4호, p. 221 

  16. 황혜란 (2003). 현대패션과 텍스타일에 나타난 저패니즘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1 

  17.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 2천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18. 숙명여대 박물관 (1993). 숙명여대 박물관 도록. 서울: 용지인쇄 

  19. 고려대학교 박물관 (1990). 고려대학교 박물관 도록: 인촌 김성수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집. 서울: 삽화 인쇄 

  20.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995). 담인 복식미술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1. 신혜순 (1995), 한국패션 100년. 서울: 한국현대의상 박물관 

  22. Clark, Hazel (2000). The Cheongsam, Hong Kong: Oxford University Press 

  23. Bajon, Jean-Yves (2001). Les Annes Mao. Les Editions du Pacifique 

  24. NG Chun Bong외 3인(1996), Chinese Woman and Modernity. Hong Kong: Joint Publishing 

  25. Garrett, Valerie M. (1987).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Hong Kong: Oxford Univ Press 

  26. Yuan Jieying (2000), China Qipao. Beijing: Jing Mei Printing Co. Ltd 

  27. Zhou Xun & Gao Chunming (1987), 5000 Years of Chinese Costumes. Hong Kong: Commercial Press 

  28. Wu Hai Yan. 자료검색일 2004. 10. 19, http://www.china -pictorial.com/chpic/htdocs/rmhb/english/e2001-l/wuhaiyan.htm 

  29. Zhang Zhaoda. 자료검색일 2004. 10. 19, http://news.xinh uanet.com/english/2004-03/30/content_1390986.htm 

  30. Chris Lui. 자료검색일 2004. 10. 19. http://english. people.com.cn/200409/23/eng20040923_ 158019.html 

  31. Douglas Bullis (2000). Fashion Asia. New York: Thames & Hudson. p. 194 

  32. Douglas Bullis (2000). Fashion Asia. New York: Thames & Hudson. pp. 190-199 

  33. Bunka Gakuen Costume Museum (2003). 名品選. Kowa Printing Co. Ltd 

  34. 文化學園服飾博物館 (2001). 世界の?流服飾. Traditional Costumes of the World 

  35. Gross. Alex (2004), Japanese Beauties. Taschen 

  36. Dietz. Matthis & Monninger, Micheal (1992), Japan Design. Taschen 

  37. Shinji Kohmoto외 5인 (1999). Visions of the Body: Fashion or Invisible Corset. Kyoto: Nissha Printing Co. Ltd 

  38. Holborn, Mark (1995), Issey Miyake. Taschen 

  39. Penn, Irving (1988), Issey Miyake. New York Graphic Society Books 

  40. Issey Miyake (1999). Making Things. Scalo 

  41. 이지현 (2005).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71 

  42. 이지현.김영인 (2006). 한국복식의 색채특성과 문화기 호적 해석에 관한 연구(1). 복식 56(2) pp.59-60 

  43. 김영인 외 5인 (2004). 한,중,일 색채의 기호학적 비교 분석과 색채공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1). 한국색채학회지, 18(1), pp. 97-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