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중.일 전통 복식색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Colors of Korea.China.Japa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6 no.8 = no.108, 2006년, pp.35 - 44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colors of Korea China Japan with quantitative methods. The rang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costume colors from 16th to 19th century. For this study 1333 color samples were collected by measu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 . 일 삼국의 문화적 특질을 모색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가시적 문화요소이며 한국가 또는 문화권의 사상과 이념, 제도, 관습 등의기호 역할을 하는 복식의 색채1)를 통하여 삼국 문화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중.일 삼국의 전통 복식색채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국, 일본과 차별화되는 한국 전통 복식색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중.일 전통 복식색채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중국, 일본과 차별화되는 한국의 색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삼국의 색채 특성 및 기호 경향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한국의 색채 정체성을 반영하는 전통 문화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이지현 (2005).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 

  2. 마우란 . 유창훈 (1975). 中國 哲學史,서울: 세음사, p. 193 

  3. 유환희 (1988). 조선철학. 서울: 장원, pp. 40-42 

  4. 김지영 (2002). 한국 기층문화에 나타난 복식의 색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p. 43 

  5. 김지영 (2002). 한국 기층문화에 나타난 복식의 색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p. 45 

  6. 쓰지 노부오 (2000).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시공사. p. 134 

  7. 우서혜 (2001). 한국적 색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정선 (1998). 복식에 나타난 전통색의 비교연구. 동의대 석사학위논문 

  9. 조희래 (1995). 한국적 복식디자인을 위한 색동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강병희 . 조희래 . 김영인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분석,한국의류학회지, 22 (3) 

  11.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1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995). 담인 복식미술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3.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1993). 숙명여대 박물관 도록. 서울: 용지인쇄 

  14. http://museum.dankook.ac.kr 

  15. 고려대학교 박물관 (1990). 고려대학교 박물관 도록. 인촌 김성수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집. 서울: 삼화 인쇄 

  16. 국립현대미술관 (1991,1992),한국 전통 표준색명 및 색상 국립현대미술관 

  17. Yuan Jieying (2002). Traditional Chinese costumes.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8. 韋榮慧 (1992), Chinese national culture of costume and adornment. 北京: 結織工業出版社 

  19. Valerie Steele & John S. Major (1999). China chic: East meets West. New Haven. Conn.: Yale University Press 

  20. 引自 (1984). 中國歷代服節. 上海: 學林出版社 

  21. 長崎盛輝 (1988). 日本の傳統色彩. 京都事院 

  22. Alan Kennedy (1990). Japanese costume: history and tradition, Konecky & Konecky 

  23. Amanda Mayer Stinchecum (1984). Kosode: 16th-19th Century Textiles from the Nomura Collection Japan Society and Kodansha International 

  24. Hugo Munsterberg (1996). The Japanese kimono, Hong Kong: Oxford University Press 

  25. Dale Carolyn Gluckman & Sharon Sadako Takeda (1992). When art became fashion: kosode Edoperiod Japan, Los Angeles,Calif: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New York. N.Y.: Weatherhill 

  26. 이수웅. 김경일 (1995) 중국문화의 이해. 대한교과서 

  27. 이상업 (1998),일본문화와 그 마음 도서출판 보고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