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DAR 자료에 의한 지형해석
Analysis of Terrain by LIDAR Dat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4 no.5, 2006년, pp.389 - 397  

강준묵 (충남대 토목공학과) ,  윤희천 (충남대 토목공학과) ,  민관식 (충남대 토목공학과) ,  위광재 (성균관대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라이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형에 대한 3차원 해석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다 측량은 항공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지표의 정량 및 정성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획득된 라이다 데이터를 사용해 불규칙 삼각망, 수치표면모형 및 수치표고모형 등의 지형 데이터를 만들어 지형의 가시성, 음영기복, 경사방향 및 경사도와 같은 요소들을 조사했다. 각 항목으로부터 얻은 해석 결과들은 지형해석에 있어서 주요한 요소로 사용되어지며, 라이다 측량이 지형해석을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offer an analysis of LiDAR data processing and three dimensional terrain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IS) applications. Generally, LiDAR survey is the method which obtain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of the terrain using airborne laser sca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차원적인 지형해석을 수행하기위해 이러한 LiDAR 데이터를 활용해 구릉지 및 산악의 지형해석에 있어서 좀 더 정밀한 DEM 및 대상지역을 포함한 주변의 DSM을 만들어 연구대상 지역의 지형을 표고, 경사(slope), 경사방향(aspect), 음영기복(shaded relief) 및 가시성(visibility)분석과 더불어 식생분포를 해석하고 기존의 축척 1:5000인 수치지형도에서의 지형해석과 비교하여 신기술인 LiDAR 측량을 이용한 지형해석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강준묵, 강영미, 이형석 (2004), 도심의 정밀 모니터링을 위한 LiDAR 자료와 고해상영상의 융합,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383-388 

  2. 서정헌, 조우석 (2000), 항공레이저 측량을 이용한 지형정보 제작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pp. 1-43 

  3. 유환희, 안충현, 오성남, 성민규 (1999), 3차원 지형정보분석을 위한 수치사진측량시스템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제17권 1 호 pp. 11-19 

  4. 윤재준, 김채승 (2001), 지리정보체계, 대영사, p. 33 

  5. 이영진, 조우석 (2003), LIDAR 데이터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471-477 

  6. Michael E. Hodgson, George Raber. (2005), An Evaluation of Lidar-derived Elevation and Terrain Slope in Leaf-off Conditions. ASPRS Photogrammetry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71, No 7, July, pp. 817-823 

  7. Sithole, G. and Vosselman, G. (2003), Test on extracting DEMs from point clouds: a comparison of existing automatic filters, ISPRS Technical Report, pp. 93-99 

  8. Wehr, A. and Lohr, U. (1999), Airborne Laser Scanning an introduction and overview. ISPRS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54 (NOS. 2-3), PP. 68-82 

  9. Yong Hu and C. Vincent Tao. (2005), Hierarchical Recovery of Digital Terrain Models from Single and Multiple Return Lidar Data. ASPRS Photogrammetry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71, No 4, April, pp. 425-43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