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산지 고추와 유통 고춧가루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eppers from farmgate and pepper powder from wholesale market in Chungbuk area and their risk assessment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0 no.1, 2006년, pp.15 - 21  

김광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김흥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경기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진충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정찬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안명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심석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윤상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김윤정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이광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이기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이원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임정빈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지 포장에서 채취한 풋고추와 홍고추, 열풍건조한 건고추 및 유통중인 고춧가루 중 농약 잔류량을 조사하고 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충북지역의 10 농가에서 채취한 풋고추와 9 농가에서 채취한 홍고추, 청주시내 6개소의 대형유통마켓에서 채취한 8점의 고춧가루를 GLC-NPD/ECD와 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건조에 따른 홍고추 중 농약잔류량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채취한 홍고추를 건조한 후 마쇄하여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였다. 풋고추에서 9종, 홍고추와 건고추에서 12종 및 고춧가루에서 17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10종 농약(살균제 1성분과 살충제 9성분)이 잔류허용기준(MRL)을 초과하였다. MRL 초과율은 풋고추와 홍고추보다 건고추와 고춧가루에서 높았다. 일부 농약이 고추와 고춧가루에서 MRL을 초과하였으나 추정식이섭취량(EDI)은 ADI의 1.6%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홍고추를 건조할 때 중량은 $5.9{\sim}7.8$배 감소하였으나 농약 잔류량은 $1.7{\sim}8.2$배 증가하여 고춧가루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적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monitor the pesticide residues in/on peppers and pepper powder and to assess their risk, pesticides in/on green pepper from 10 farmgates and fresh red pepper from 9 farmgates in Chungbuk area and pepper powder from 6 wholesale markets in Cheongju city were analyzed with a GLC and an HPL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건고추에서 잔류농약허용기준 초과 빈도가 높게 나타난 원인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고추 생산농가의 농약안전사용지도 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는 안전한 농산물 생산•공급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un, Ock-Kyung, Kee-Young Shin, Jib-Ho Lee, Ju-Sung Bak, Tae-Hee Cho, Tae-Rang Kim, Ouk-Hee Kim, Min-Su Chang, In-Suck Hong, Te0-Jun Son, Sung-Ae Cho, Young-Hee Choi, Young-Ho Sea, Bok-Soon Kim and Hee-Gon Kang (2002)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2001, Food Sci. Biotechnol. 11(6):602-607 

  2. EPA (1992) Guidelines for exposure assessment. Anticipated residues fot chronic dietary exposure assessment for chroropyrifos RED 

  3. The Pesticide Manual (2003) C. D. S. Tomlin ed., Thirteenth edition, p 648 

  4.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3c) 농산물 중 잔류농약 스크리닝 표준분석법 

  5.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3b) 농산물품질관리연보. pp.42-43 

  6.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3a) 작물통계. pp.108-109 

  7. 농약공업협회 (2004) 농약사용지침서 

  8. 농촌진흥청 (2001) 고추재배. pp.23-26 

  9. 보건복지부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영양조사부문), pp.101-111 

  10.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품의 농약잔류허용기준, pp.271-273 

  11. 이상미, 육동현, 박성규, 김은정, 황영숙, 양혜란, 김성단, 김동규, 김미선, 박영애, 이재규, 한선희, 최성민, 강희곤 (2004) 서울시 강북지역 유통 농산물 중 농약잔류실태조사(VI),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보, 40:117-126 

  12. 한국식품공업협회 (2002) 식품공전, 제 7. 일반시험법중 9. 식품 중 농약잔류시험법, pp.357-805 

  13. 한국식품공업협회 (2002) 식품공전, 제 7. 일반시험법중 9. 식품 중 농약잔류시험법, pp.357-805 

  14. 한국탁, 박혜진, 이규승, 김일중, 김규섭, 조성민 (2002) 대전시 유통 과실류의 농약잔류실태 및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1(4):279-285 

  15. 한국탁, 이규승, 이은경, 이용재, 고광용, 원동준, 이정원, 권순덕 (2003)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한국환경농학회지 22(3):210-2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