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환경, 품종 및 가공 방법에 따른 고추와 고춧잎 중 농약의 잔류 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ome Pesticides in/on Pepper Fruits and Leaves by Different Types, Growing and Processing Condition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0 no.2, 2006년, pp.99 - 106  

이희동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유오종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임양빈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권혜영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진용덕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진배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윤한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승순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오경석 (농촌진흥청 연구관리과) ,  고성림 ((주)랩프런티어) ,  김태화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과학부) ,  노재관 (충북농업기술원 농업환경과) ,  경기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농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지와 시설하우스에 재배중인 고추에 살포한 chlorothalonil과 imidaclopid는 시설하우스보다 노지에서 분해가 빨랐는데 시험기간 중 강우가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는 주로 이슬에 의한 세척과 광분해에 의한 영향으로 추측되었다. 고추품종별 농약 잔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고추가 연속수확작물이고 또한 고추가 고춧잎 속에서 생육하여 농약이 골고루 묻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풋고추를 절였을 경우에는 농약에 따라 약 $30{\sim}71%$의 잔류량 경감효과가 있었으며, 꽈리고추를 볶았을 경우에는 $20{\sim}41%$의 경감효과가 있었다. 또한 esfenvalerate와 imidacloprid를 살포한 홍고추를 이용하여 고추장을 담가 2개월간 발효시켰을 경우에는 고추장에서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수확한 고춧잎 중 잔류농약은 물세척에 의해 $22{\sim}37%$, 데침에 의해 $74{\sim}95%$, 데침 후 건조에 의해 $17{\sim}55%$의 고춧잎 중 잔류농약 경감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othalonil and imidacloprid sprayed onto the green peppers were degraded more faster at outdoor than in greenhouse. These results were affected by dew and photodegration, considering no rai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hlorothalonil, esfenvalerate and imidacloprid in green pepper, green t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시험에서는 고추의 재배환경, 고추류 품종별 및 고추와 고춧잎의 가공방법별 잔류량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노지와 시설하우스에서 생육중인 고추에 농약을 살포하고 경시적 잔류량 및 가공방법별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rbas, P. (1997) Persistence of insecticide residues in olives and olive oil. J. Agric. Food Chem. 45:2244-2247 

  2. Carbas, P. (2000) Acephate and buprofezin residues in olives and olive oil.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17(10):855-858 

  3. Christensen, H. B. and K. G. Granby (2002) Processing factor and variability of pyrimethanil, fenhexamid and tolyfluanid in strawberries. Europe Pesticide Residue Workshop 

  4. Elkins, E. R., R. P. Farrow and E. S. Kim (1972) The effect of heat processing and storage on pesticide residues in spinach and apricots. J. Agric. Food Chem. 20:286-291 

  5. EPA (2002) Mamual on the submission and evaluation of pesticide residue data. pp.58-85 

  6. Fuhr, F. (1982) Agrochemicals : Fate in food and the environment, Fate of herbicide chemical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nuclear techniques.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ienna, pp.99-106 

  7. Krol, W. J. (2000)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 on produce by rinsing. J. Agric. Food Chem. 48:4666-4670 

  8. Lee, M. K. and S. R. Lee (1995) Removal of EPN residues in washing and cook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Food Biotech. 4(3):207-211 

  9. Soliman, K. M. (2001) Changes in concentr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potatoes during washing and home preparation. Food and Chem. Toxicol. 39:887-891 

  10. Tomlin, C. D. S. (2000) The Pesticide Manual. BCPC 

  11. 김남형 (1996) 쌀의 취반중 phenthoste 농약잔류분의 제거. 한국식품과학회지 28(3):490-496 

  12. 이미경 (1999) 감귤과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기준 설정. 한국환경농학회지 18(4):349-354 

  13. 이미경, 이서래 (1997) 국내 식품 중 유기인계 잔류농약의 위해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29(2):240-248 

  14. 이미경 (1999) 감귤과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기준 설정. 한국환경농학회지 18(4):349-354 

  15. 임양빈 (1993) 생식과채류 중 잔류농약 경감기술 개발. 농약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pp.398-418 

  16. 정영호, 김장억, 김정한, 이영득, 임치환, 허장현 (2000) 최신 농약학. 시그마프레스. pp.272-276 

  17. 최규일, 성기용, 정태균, 이주환, 허장현, 고광용, 이규승 (2002) 방울토마토 중 dichofluand 및 iprodione의 생산단계별 잔류농약 경시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1(4):231-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