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부편위자의 하악골상행지 경사에 관한 정모두부방사선학적 연구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6 no.5, 2006년, pp.380 - 387  

은춘선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황현식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본 연구는 이부편위자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교정환자의 임상검사 시 비대칭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뚜렷한 이부편위를 보이는 성인 30명을 이부편위군으로, 좌우 대칭적인 외모를 보이는 성인 3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하악골상행지 경사도를 측정하고 좌우 차이를 산출, 비교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좌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이부편위자에서는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를 보였다. 이부편위자에서 비편위측의 하악골상행지의 경사도는 편위측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차이는 이부편위 정도 및 상악고경의 좌우차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부편위자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차이를 규명한 본 연구 결과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ight and left differences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Methods: Thirty adult patients with clinically apparent chin deviation were selected as the chin-deviated group, and 30 adult patients with symmetric fac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이부편위자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한편 이와 연관이 있는 상악골 및 하악골 비대칭 계측항목과의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안면 비대칭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이부편위자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 유무 및 인접 구조물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eck H, Peck S. A concept of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1970;40:284-318 

  2. Adams R. A Treatise on rheumatic gout or chronic rheumatic arthritis of all the joints. 2nd Ed. London: Churchill; 1873. p. 237 

  3. Vig PS, Hewitt AB. Asymmetry of the human facial skeleton. Angle Orthod 1975;45:125-9 

  4. Shah SM, Joshi MR. An assessment of asymmetry in the normal craniofacial complex. Angle Orthod 1978;48:141-8 

  5. Grayson BH, McCarthy JG, Bookstein F. Analysis of craniofacial asymmetry by multiplane cephalometry. Am J Orthod 1983;84:217-24 

  6. Ahn JS, Lee KH, Hwang HS. A study on the 3-D standard value of mandible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Korean J Orthod 2005;35:91-105 

  7. Hwang HS. Maxillofacial 3-D image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J Kor Dent Assoc 2004;42:76-83 

  8. Kim EH, Hwang HS.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Korean J Orthod 2000;30:543-52 

  9. Simon PW. Fundamental principles of a systematic diagnosis of dental anomalies. Boston: Stratford; 1922. p. 54 

  10. Letzer GM, Kronman JH. A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evaluation of craniofacial asymmetry. Angle Orthod 1967;37:205-11 

  11. Grummons DC, Kappeyne van de Coppello MA. A frontal asymmetry analysis. J Clin Orthod 1987;21:448-65 

  12. Hwang HS, Lee KH, Park JY, Kang BC, Park JW, Lee JS. Development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J Kor Dent Assoc 2004;42:219-31 

  13. Youn IS, Lee KH, Hwang HS. Classification of facial asymmetry by cluster analysis. J Kor Dent Assoc 2001;39:765-73 

  14. Coben SE. The integration of facial skeletal variants: A serial cephalometric roentgenographic analysis of craniofacial form and growth. Am J Orthod 1955;41:407-34 

  15. Pinto AS, Buschang PH, Throckmorton GS, Chen P. Morphological and positional asymmetries of young children with functional unilateral posterior crossbit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20:513-20 

  16. Worms FW, Speidel TM, Bevis RR, Waite DE. Posttreatment stability and esthetics of orthognathic surgery. Angle Orthod 1980;50:251-73 

  17. Ellis E 3rd. Condylar positioning devices for orthognathic surgery: are they necessary? J Oral Maxillofac Surg 1994;52:536-54 

  18. Helm G, Stepke MT. Maintenance of the preoperative condyle position in orthognathic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1997;25:3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