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솔잎착즙액의 발효에 따른 기능성 효과
The Functional Effects o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1 no.5, 2006년, pp.376 - 383  

박가영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리홍선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황인덕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정현숙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잎착즙액(PNE)은 엽록소 함유량(40.8 mg/100 g)이 높고 비타민 C도 다량함유(149 mg/100 g)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으며, 솔잎 발효액은 향미가 좋아지고 기능성이 높아져서 고부가가치가 크므로 발효의 조건과 활성도를 조사 분석하여 고기능성 솔잎발효액(SFPE)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솔잎자체발효(SFPE)에 관여하는 균을 발효단계에 따라 분리,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GPYA배지에서 발효균을 스크린하여 Pichia galeiformis, Candida boidinii, Pichia species, Candida species1, Candida species2, Candida ooidensis,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karawaiewii를 선발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2년차에는 Candida boidinii, Candida species2, Candida ooidensis,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선발되었고, 3년차에는 Candida species1&2가 선발되어 Candida species2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4년차에는 어떤 균도 선발되지 않았다. Candida species2는 Candida ernobii와 99.65%의 homology를 보였다. E. coli, Bacillus subtili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SFPE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높은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SFPE 1, 4, 7의 항산화 활성$0.025{\mu}{\ell}/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 SFPE 1, 4, 7이 약 34.8%의 NBT scavenging의 활성을 보여주었고, $0.2{\mu}{\ell}/ml{\sim}0.3{\mu}{\ell}/ml$의 농도에서는 SFPE 1, 4, 7이 약 90%에 달하는 NBT scavenging 의 활성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생리학적 실험을 통하여 솔잎발효액이 쥐의 혈관수축 이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Phenylephrine(PE)($10^6M$)으로 유발된 수축반응에 대해 SFPE를 0.15 mg/ml과 0.3 mg/ml을 첨가하였을 때 혈관이 다시 이완되었으며, ATP 민감성 $K^+$ 채널 억제제인 glibenclamide($10^5M$)을 처리하였을 때 SFPE 7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SFPE의 혈관 이완작용이 세포막 ATP-민감성 $K^+$ 통로를 활성화시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extract has been used to improve cardiovascular disorders, detoxification of nicotine, the infirmities of age and curing diseases of unidentified symptoms. It has various useful components including amino acids, vitamin C, terpenoids and chlorophyll. In 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솔잎착즙액 (PNE)은 엽록소 함유량(40.8 mg/100 g)이 높 고 비타민 C도 다량함유 (149 mg/100 g)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으며, 솔잎 발효액은 향미가 좋 아지고 기능성이 높아져서 고부가가치가 크므로 발효의 조건과 활성도를 조사 분석하여 고기능성 솔잎발효액 (SFPE)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솔잎자체발효 (SFPE)에 관여 하는 균을 발효단계에 따라 분리,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 또한 항균, 항암 및 항산화 효 능을 측정하였으며 전기 생리학적 실험을 통하여 솔잎발효 액이 쥐의 혈관수축 이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기능 성 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솔잎 착 즙액의 자체발효에 우세한 이들 미생물을 이용하여 차후에 발효기간을 단축시키고 효능을 증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혈관이완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심근경 색이나 뇌경색과 같은 혈관 수축으로 발생된 질환 및 고혈 압치료 등에 활용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 솔잎 착 즙액의 자체발효에 우세한 이들 미생물을 이용하여 차후에 발효기간을 단축시키고 효능을 증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혈관이완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심근경 색이나 뇌경색과 같은 혈관 수축으로 발생된 질환 및 고혈 압치료 등에 활용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 1), 앞으로 발효균과 기존의 미생물과 의 생리 . 생화학적인 작용과 효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PNE에 솔잎 발효 균주를 첨가함으로써, 앞선 실험에 의해 여러 효능이 입증된 좋은 SFPE로 단기간에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가설 설정

  •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elf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 (SFPE) tested on paper disc. A. Effect of SFPE on E. coli was increased with increase in self-fermentation period and dose. Treatment (40 ㎕ white bar and 80 ㎕ black bar) 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 Y. J. and W. N. Hou (2005), Effects of Dietary Bong-ip(Morus alba L.), Gam-chei(Glycyrrhizae glabra), Sol-ip(Pinus densiflora) and Dang-gi(Angelica gigas) on Serum Composition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1, 123-129 

  2. Lee, M. K., G. P. Choi, L. H. Ryu, G. Y. Lee, C. Y. Yu, and H. Y. Lee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1):36-42 

  3. Sung, K. C. (2004),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Pine- Needles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4, 320-326 

  4. Lee, H. J., C. B. Cui, H. T. Choi, S. H. Kim, Y. A. Ham, D. S. Lee, and S. S. Ham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Vaporized Liquid of Water-boiled Pine Needle, Korean J. Food Preserv. 2, 107-111 

  5. Thuneberg, L. (1982),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ntestinal pacemakers, Adv Anat Embryol Cell Biol. 71, 1-130 

  6. Sander, K. M. (1996), A case for interstitial cells of Cajal as pacemakers and mediators of neurotransmiss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Gastroenterology 111, 492-515 

  7. Tokutomi, N., H. Maeda, Y. Tokutomi, D. Sato, M. Sugita, S. Nishikawa, S. Nishikawa, J. Nakao, T. Imamura, and K. Nishi (1995), Rhythmic $CI^-$ currents and phusiological roles of the intestinal c-kit-positive cells, pflugers Archiv. 431, 169-177 

  8. Thomsen, L., T. L. Robinson, J. C. Lee, L. A. Ferraway, M. J. Hughes, D. W. Andrews, and J. D. Huizinga (1998), Interstitial cells of Cajal generate a rhythmic pacemaker current, Nat Med. 4, 848-851 

  9. Ward, S. M., A. J. Burns, S. Torihashi, and K. M. Sanders (1994), Mutation of the proto-oncogene c-kit blocks development of interstitial cells and intestinal electrical rhythmicity in murine mutants. J Physiol. 480, 91-97 

  10. Kim, Y. S. and D. H. Shin (2005),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pine needle(Pine densiflora S and Z.) extracts, Food microbiology 22, 37-45 

  11. http://lpi.oregonstate.edu/infocenter/phytochemicals/flavonoids/index.html/ (2005) 

  12. Moteki, H., H. Hibasami, Y. Yamada, H. Katsuzaki, K. Imai, and T. Komiya (2002), Specific induction of apoptosis by 1.8-cineole in two human leukemia cell lines, but not a in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 Oncology Reports 9, 757-760 

  13. Kim, M. J., Y. J. Kim, H. J. Park, J. H. Chung, K. H. Leem, and H. K. ,Kim (2006), Apoptotic effect of red wine polyphenols on human colon cancer SNU-C4 cell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4, 898-902 

  14. http://www.organicashitaba.com/pc.html/ (2003) 

  15. Jerez, M., Selga, A., Sineiro, J., Torrens, J.L., Nez, M.J., (2005), A comparisom between bark extracts from Pinus pinaster and Pinus radiata: Antioxidant activity and procyanidin composition, Food Chemistry, Article in press 

  16. Dupont, S., N. Caffin, B. Bhandari, and G. A. Dykes (2006),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Australian native herb extracts gainst food-related bacteria, Food Control 17, 929-932 

  17. Lee, W. C., T. Sakai, M. J. Lee, M. Hamakawa, S. M. Lee, and I. M. Lee (1996), An epidemiological study of food poisoning in Korea and Japan, Food Microbiology 29, 141-148 

  18. Tsen, H. Y., H. H. Hu, J. S. Lin, C. H. Huang, and T. K. Wang (2000), Analysis of the Salmonella typhimurium isolates from food-poisoning cases by molecular sub-typing methods, Food Microbiology 17, 143-152 

  19. Miwa, N., A. Kawamura, T. Masuda, and M. Akiyama (2001), An outbreak of food poisoning due to egg yolk reaction-negative Staphylococcus aureu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64, 361-366 

  20. Jeon, H. J., K. S. Lee, and Y. J. Ahn (2001), Growth-inhibiting effects of constituents of Pinus densiflora leaves on human intestinal bacteria, Food Sci. Biotechnol. 10, 403-407 

  21. Koukos, P. K., K. I. Papadopoulou, D. T. Patiaka, and A. D. Papagiannopoulos (2000),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needles and twigs of balkan pine(Pinus peuce Grisebach) grown in northern Greece, J. Agric. Food Chem. 48, 1266-1268 

  22. Choi, M. Y., E. J. Choi, E. Lee, T. J. Rhim, B. C. Cha, and H. J. Park (1997), Antimicrobial Activites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93-297 

  23. Kim, D. S., K. Y. Kim, and K. B. Lee (2002),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Polyphenols from Pine Needl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9, 74-77 

  24. Yoon, J. H., S. T. Lee, S. B. Kim, W. Y. Kim, M. Goodfellow, and Y. H., Park (1997),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ibosomal DNA for rapid identification of Saccharomonospora strains, Int J Syst Bacteriol. 47, 111-114 

  25. Han, S. H., N. R. Y. Woo, S. D. Lee, and M. H. Kang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 49-55 

  26. Hong, Y. G., M. S. Yang, and Y. B. Park (2005), Effect of Cumambrin A on the Relaxation of Rat Aorta, Kor. J. Pharmacogn. 1, 17-20 

  27. Lee, M. H., J. S. Han, and N. Kozukue (2005),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Spinach by Growth Periods an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t Sci. 21, 339-345 

  28. Kim, B. S., W. M. Yang, and J. Choi (2002), Comparison of Caffeine, Free Amino Acid, Vitamin C and Catechins Content of Commercial Green Tea in Bosung, Sunchon, Kwangyang, Hadong, J. Kor. Tea Soc. 8, 55-62 

  29. Yu, B. P. (1994), Cellular defenses against damage from reactive oxygen species, Physiol Rev. 74, 139-162 

  30. Ryu, B. H., K. J. Cho, Y. J. Chae, and S. H. Jin (1993), Continuous Rapid Fermentation of Soy Sauce by Immobilized Zygosaccharomyces rouxii BH-90 and Candida versatilis BH-91 Using Column Type Reactor, Kor. J. Microbiol. Biotechnol. 21, 366-372 

  31. Cho, K. H. and S. G. Park (2005), Antibacterial Effects on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y Adding Natural Grapefruit Seed Extracts in Soymilk, J. Korean Ind. Eng. Chem. 16, 139-143 

  32. Yoo, J. H., J. Y. Cha, Y. K. Jeong, K. T. Chung, and Y. S. Cho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J. Life Sci. 14, 863-867 

  33. Ko Suk Tai (2001), Influence of Cromakalim, K+ Channel Opener, and Glibenclamide, K+Channel Blocker, on Intestinal Movements in Rabbit,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9, 237-243 

  34. Okabe, K., K. Kitimura, and H. Kuriyama (1987), Features of 4-aminopyridine sensitive outward current observed in single smooth muscle cells from the rabbit pulmonary artery, Pflugers Arch. 409, 561-568 

  35. Kim, H. H., N. H. Cho, W. G. Kim, S. J. Lee, I. D. Yu, D. K. Ahn, and H. Y. Choi (2003), Vasodilation Effect of Drypetes Rhizoma and It's Various Fractions o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and Abdominal Aorta, Kor. J. Herbology 1, 127-13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