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대상자는 2000년 현재 경북 성주군에 거주하고 65세 이상노인 8,209명중 25개리에 설치되어있는 보건소,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에 인접하여 거주하고 있는 노인 2,542명 중 질병이나 기타 사유로 요양기관의 입소자 또는 장기출타, 주소불명 등을 제외한 2,421명(남자: 1,273명, 여자: 1,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자 72.7세, 여자 72.8세였으며, 가족 구성상태는 부부만 사는 노인이 남자의 경우 66.5%, 여자의 경우 32.3% 이었고, 여자노인에서는 혼자서 생활하는 경우도 36.9%이었다. 대상자의 음주양상에서 남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35.1%, 음주중단자 16.1%, 음주자 48.8%이었다. 여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80.2%, 음주중단자 4.5%, 음주자 15.3%이었다. 음주중단자의 과거음주기간을 남 여별로 살펴보면 41년 이상이 남자의 경우 57.1%, 여자의 경우 23.1%로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건강수준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주가 만성질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예방 가능한 건강 위험인자들의 조절과 생활형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보건교육을 노인들에게 실시함으로써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노인들에 있어서 건강은 질병의 치료보다는 건강증진에 목표를 설정하여 농촌지역의 노인보건사업 및 노인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한 노인 중 음주자에게 질병발생에 대한 지식과 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정기건강검진 실시로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절주를 할 수 있도록 지원과 인력 개발 등의 다각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2000년 현재 경북 성주군에 거주하고 65세 이상노인 8,209명중 25개리에 설치되어있는 보건소,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에 인접하여 거주하고 있는 노인 2,542명 중 질병이나 기타 사유로 요양기관의 입소자 또는 장기출타, 주소불명 등을 제외한 2,421명(남자: 1,273명, 여자: 1,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자 72.7세, 여자 72.8세였으며, 가족 구성상태는 부부만 사는 노인이 남자의 경우 66.5%, 여자의 경우 32.3% 이었고, 여자노인에서는 혼자서 생활하는 경우도 36.9%이었다. 대상자의 음주양상에서 남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35.1%, 음주중단자 16.1%, 음주자 48.8%이었다. 여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80.2%, 음주중단자 4.5%, 음주자 15.3%이었다. 음주중단자의 과거음주기간을 남 여별로 살펴보면 41년 이상이 남자의 경우 57.1%, 여자의 경우 23.1%로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건강수준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주가 만성질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예방 가능한 건강 위험인자들의 조절과 생활형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보건교육을 노인들에게 실시함으로써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노인들에 있어서 건강은 질병의 치료보다는 건강증진에 목표를 설정하여 농촌지역의 노인보건사업 및 노인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한 노인 중 음주자에게 질병발생에 대한 지식과 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정기건강검진 실시로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절주를 할 수 있도록 지원과 인력 개발 등의 다각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end of health statu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421 elderly people (male 1,273 and female 1,148) residing in the selected 25 villages, with exclusion of a few e...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end of health statu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421 elderly people (male 1,273 and female 1,148) residing in the selected 25 villages, with exclusion of a few elderly people who were in hospital, out for a long time or had an unknown address. This study were carried out, face-to-face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ere made from January to March 2002. Results: The investigation of drinking state showed that for male subjects, drinkers accounted for 48.8%, nondrinkers 35.1% and abstainers from drinking 16.1%, whereas for female subjects, drinkers accounted 15.3%, nondrinkers 80.2% and abstainers from drinking 4.5%. The health status was analyzed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 For elderly men, abstainers from drinking showed worse health state than nondrinkers and drinkers. Elderly women showed the same result. It is widely known that drinking are the important causes of chronic disease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the elderly with education on control of preventable health risk factors and effect of living state on health, in order to prevent aggravation of health level of the elder population aged 65 and over. This will also help them promote their health. It will be desirable that for the elderly, the objective will focus on health promotion rather than treatment of diseases. Conclusions: Carry out health plan for rural communities and health maintenance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in those communities shall be developed. In addition, preventive education and health examination shall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with the elderly who drink but are still healthy.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end of health statu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421 elderly people (male 1,273 and female 1,148) residing in the selected 25 villages, with exclusion of a few elderly people who were in hospital, out for a long time or had an unknown address. This study were carried out, face-to-face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ere made from January to March 2002. Results: The investigation of drinking state showed that for male subjects, drinkers accounted for 48.8%, nondrinkers 35.1% and abstainers from drinking 16.1%, whereas for female subjects, drinkers accounted 15.3%, nondrinkers 80.2% and abstainers from drinking 4.5%. The health status was analyzed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 For elderly men, abstainers from drinking showed worse health state than nondrinkers and drinkers. Elderly women showed the same result. It is widely known that drinking are the important causes of chronic disease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the elderly with education on control of preventable health risk factors and effect of living state on health, in order to prevent aggravation of health level of the elder population aged 65 and over. This will also help them promote their health. It will be desirable that for the elderly, the objective will focus on health promotion rather than treatment of diseases. Conclusions: Carry out health plan for rural communities and health maintenance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in those communities shall be developed. In addition, preventive education and health examination shall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with the elderly who drink but are still healthy.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