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한약재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맛 성분 및 미생물 특성
Taste Component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Korean Herb Medicin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1 = no.74, 2006년, pp.141 - 147  

박석규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회정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미예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상원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 한약재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 콩된장의 맛 성분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한약재추출물 첨가 된장의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그 비율은 lin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중에 약 $5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oleic acid가 $26\%$를 차지하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446.79\;mg\%)$보다 한약재추출물 첨가 된장에서$(434.47\~621.6\;mg\%)$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의 주성분은 phytic acid, lactic acid, butyric acid였고, 그 외에 acetic acid, citric acid, malonic acid, tartaric acid 및 pyroglutamic acid 등이 검출되었다. Daidzein 및 genistein 함량은 전체적으로 비슷하였으나 III군과 IV군은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약재추출물 첨가 된장의 생균수는 대조구와 비슷한 $2.5\times10^7\;CFU/ml$정도 이였으며, protease활성은 대조구(67.65 units) 보다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amylase활성은 거의 비슷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III군과 IV군은 I과 II군의 된장보다 밝은 색깔을 나타내고 이상취를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단맛이 적절하게 보완되어 대조구보다 종합적인 맛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the extracts of herb medicines (refer as DHM) on the taste component and microbi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The DHMs were divided to four group.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similar between DHMs and control as ratio of each fatty acid to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자들은 전통된장의 기호성을 절감시키지 않으면서 저장성 및 기능성을 증진시킨 전통된장을 개발할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국산 한약재를 I ~IV군의 4그룹으로 조합하여 121℃에서 2시간 동안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그 추출물을 담금용 염수에 11%, 28% 및 44%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자 연발효 시킨 한약재추출물 첨가 콩된장을 개발하고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전보에 보고하였다[19]. 그 결과에 의하면 한약재추출물을 첨가한 I ~IV군 된장 중의 수분, pH, 총산 도 및 염도 등은 한약재추출물의 종류 및 첨가농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환원당 및 색도(L, a, b) 등은 한약재를 조합한 각 그룹 및 그 추출물의 첨가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제 I 군 및 제 ]!군의 한약재추출물 첨가 된장은 수용성 갈변물질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한약재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담금용 염수에 첨가하는 한약재 추출물의 첨가농도는 28%가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각 그룹의 한약재추출물을 28%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 콩된장의 여러가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효소활성, 생균수 및 관능검사 등을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M. R., D. Y. Jeong, S. P. Hong, G. S. Song and Y. S. Kim. 2003.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supplemented with mushrooms.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29-234 

  2. Ando, J. and T. Fukumoto. 1991. Preparation of chitosan soy sauce. Japan Patent JP-0147763(19910624) 

  3.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p. 32-4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4. Choi, J. H., S. H. Kwon, S. W. Lee, S. H. Nam, S. D. Choi and S. K. Park. 2003. Quality properties of capsule type Meju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0, 339-346 

  5. Choi, K. S. and H. S. Rhee. 1994.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from different material and ratio of koji. Korean J. Soc. Food Sci., 10, 39-44 

  6. Kang, J. H. and H. S. Lee. 1994. Changes in lipid component and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arbonyl compound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0, 51-56 

  7. Kim, H. L., T. S. Lee, B. S. Noh and J. S. Park. 1998. Characteritics of samjangs prepared with different Doengjangs as a main materi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61 

  8. Kim, S. H. 1998. New trends of studying on potential activities of doenjang. Korea Soybean Digest. 15, 8-15 

  9. Kitagawa, I., M. Yoshikawa, T. Hayashi and T. Taniyama. 1984. Characterization of saponin consituents in soybean of various origin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y a saponin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Yukaku Zassi, 104, 162-167 

  10. Lee, E. H., J. G. Koo, C. B. Ahn, Y. J. Cha and K. S. Oh. 1984. A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relayed compounds in dried fish and shellfish products using HPLC. J.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17, 368-374 

  11. Lee, J. S. and H. S. Cheigh. 1997.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rude phenolic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76-383 

  12. Lee, J. O. and C. H. Ryu. 2002. Preparation of low salt Doenjang using by nis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5-80 

  13. Lee, S. H. and H. S. Cheigh. 1985.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 2.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during Doenjang fermentation(Ripe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 67-71 

  14. Likens, S. T. and G. B. Nikerson. 1964. Detection of certain hop oil constituents in brewing products. Proc. Am. Soc. Brew. Chem., 5, 13-20 

  15. Natto sikennhou kennkyuukai. 1990. Natto sikennhou. 1st ed., p. 19-25. Nihonnkourinnsya, Toukyou 

  16. Olatsdottir, G., J. Steinke and R. C. Lindsay. 1985. Quantitative performance of a simple Tenax-GC absorption method for use in the analysis of aroma volatiles. J. Food Sci., 50, 1431-1437 

  17. Park, J. S., M. Y. Lee and T. S. Lee. 1995.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 in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917-924 

  18. Park, S. K., Y. S. Cho, J. R. Park, S. S. Chun and J. S. 1993. Moon. Non-volatile organic acid, mineral, fatty acid and fiber composition in Dolsan Lean Mustard(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53-57 

  19. Park, S. K., H. J. Jeong, S. H. Kim, S. H. Kwon and S. W. Lee. 2004. Quality properties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korean herb medicines. Journal of Life Science 14, 553-559 

  20. Schultz, T. H., R. A. Flath, T. R. Mon, S. B. Eggling and R. Teranishi.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542 

  21. Seo, J. S., E. M. Han and T. S. Lee. 1986.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15, 1-9 

  22. Yang, S. H., M. R. Choi, W. D. Ji, Y. G. Chung and J. K. Kim. 1994. The quality of Doenjang manufactured with Bacillus brevis. J. Korean Soc. Food Nutr. 23, 980-985 

  23. Yazawa, K., S. Kondo and T. Kojima. 1994. Soy sauce containing docoxahexaenoic acid. Japan Patent JP-0070711 (19940315) 

  24. Zennkoku miso gizyutukai. 1986 Gizyunnmiso bunnsekihou. p. 134-138. Nihonn syouheidou innsatu, Toukyo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