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firmus NA-1 균주와 Bacillus subtilis G7-D 균주를 이용한 발효비지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Bacillus sp.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 2006년, pp.115 - 120  

오수명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찬식 (제주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firmus NA-1과 재래청국장에서 분리 한 Bacillus subtilis GT-D를 이용하여 전지활성 생 대두미세분말(MFS)첨가 및 발효시간에 따른 비지 발효물의 혈전용해효소, 가수분해효소, 점질물, 펩타이드 생산 및 풍미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84\%$의 수분함량을 포함하는 비지에 대두미세분말을 10, 15, $20\%$ 첨가함으로써 78, 74, $70\%$로 수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tyrosine함량이 증가하였으며, B. firmus NA-1 균주보다는 B. subtilis GT-D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비지의 점조도는 B.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이 높은 값을 보였으며, 두 균주 모두 MFS $20\%$를 첨가한 후 26시간 발효한 발효물에서 2.18, $0.35\;Pa{\cdot}s^n$로 가장 높은 점조도 값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효소 역시 B.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비지 청국장에서 $1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발효 22시간까지 증가하다가 26시간 부터는 큰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20\%$의 MFS를 첨가한 후 $42^{\circ}C$에서 22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발효취 생성을 최소화하는 조건이라 사료되었다. 비지청국장의 동결건조는 청국장 냄새 및 수분함량을 $6\%$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효소의 활성을 포함하였다. B.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시료에서는 615 unit/g의 가장 높은 protease의 활성을 보였으며, B. subtilis GT-D 균주를 이용한 시료에서는 $1903\;mg\%$의 tyrosine 함량 및 180 unit/g의 a-amylase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nvert the soybean curd residue (SCR) to functional food ingredient, alkaline fermentation of SCR was performed by Bacillus firmus NA-1 and Bacillus subtilis GT-D for 22 hr at $42^{\circ}C$. The micronized full-fat soy flour (MFS) was fortified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as wel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서는 일본 나토(Natto)에서 분리된 Bacillus' firmus NAT.과 재래식 청국장에서 분리 동정 된 Bacillus subtilis GT-D 균주를 종균으로 이용하여, 전지활성생 대두 미세분말이 강화된 비지의 고체 발효를 통한 균주 별 발효 비지의 특성과 혈전 용해 효소, 펩타이드 및 protease, a-amylase와 같은 생리 활성 물질 이 포함된 기 능성 소재로 전환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a CY, Liu WS, Kwok KC, Kwok F.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from soymilk residue (okara). Food Research International 29: 799-805 

  2. Woo EY, Kim MJ, Shin WS, Lee KS. 2001.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zate, that can be used as food additives, from Oka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69-773 

  3. Shurtlff W, Aoyagi A. 1995. Tofu and Soymilk Production. New Age Food Study Center, Lafayette, CA, USA 

  4. Kang KH, Lee DS. 1991. Studies on the Tofu-residue recycling. Korean Sci Ind 24: 31-35 

  5. Chung SS, Chang HN, Park MY. 1978. Dehydration of soybean residue by hot-air in conjunction with filter pr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1-7 

  6. Kim DS, Seol NH, Kim HD. 1996. Change in quality of soybean curd residue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5: 453-459 

  7. Sohn JW, Kim WJ. 1985. Some quality changes in soybean curd by addition of dried soymilk residue.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22-525 

  8. Lee Gj. 1984. Changes in carbohydrate composi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with enzymes. J Korean Biochem 17: 44-50 

  9.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soybean curd residue and Makkolli (rice wine) residu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32-636 

  10. Yamaguchi F, Ota Y, Hatanaka C. 1996.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ectic polysaccharides from soybean okara and enzymatic analysis of their structures. Carbohydrate Polymers 30: 265-273 

  11. Beak J, Lee IS, Lee SP. 2002. Characteriz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ybean curd residue (Bij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83-588 

  12. Lee MS, Kim KH, Lee GJ. 1987. Microbiological studies and biochemical changes in fermentation soybean curd residu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520- 527 

  13. Im SK, Yoo SM, Kim TY, Chun H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ijijang in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48-455 

  14. Oh SM, Seo JH, Lee SP. 2005.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and peptides from alkaline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firmus NA-1. J Food Sci Nutr 34: 904-909 

  15. Seo JH, Lee SP. 2004.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firmus NA-1 in fer-mented soybeans. J Food Sci Nutr 9: 14-20 

  1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7. Astrup T, Mullertz S. 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on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40: 346-351 

  18. Matsushita S, Iwami N, Nitta Y. 1966. Colorimetric esti-mation of amino acids and peptides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Anal Biochem 16: 365-371 

  19. Sohn KH, Jo MN, Jeon HJ, Park J, Joo MS. 2001. Effect of bean water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ime on amy-lase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rics of Yukwa paste. J Food Sci Technol 33: 288-293 

  20. Park JM, OH HI. 1995.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Technol 27: 1158-1165 

  21. Kim HJ, Lee JJ, Cheigh MJ, Choi SY. 1998.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J Food Sci Technol 30: 1333-1338 

  22. Genc M, Zorba M, Oza G. 2002. Determin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boza by using physical and sensory analysis. J Food Engineering 52: 95-98 

  23. Seo JH, Lee SP. 2004.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from soybean grit fermented by Bacillus firmus NA-1. J Medicinal Food 7: 442-449 

  24. Yoo CK, Seo WS, Lee CS, Kang SM.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excreted by Bacillus subtilis K-54 isolated from Chung Guk Jang. J Appl Microbiol Biotech 26: 507-514 

  25. Jang SA, Kim MH, Lee MS, Oh TK, Sohn CB. 2000.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sp. S19 from shrimp Jeot-Gal. J Appl Microbiol Biotech 28: 258-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