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spergillus 속 미생물에 의한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Genus Aspergillu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800 - 5808  

이상일 (계명문화대학교 식품영양조리학부) ,  이예경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김순동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임종환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서주원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이인애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ICR 생쥐를 동물 모델로 하여 7종의 Aspergillus속 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컷 ICR 생쥐에 5주간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여 비만을 유도하고 고지방식이에 발효비지 2%를 첨가하여 6주 동안 사육하였으며, 체중, 섭취량,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Alanine transaminase과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간성 glutathione과 lipid peroxide를 측정하였다. 체중의 경우에 AE4 발효 비지를 식이한 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 (31.33%, P<0.05)하였고 간성 GSH와 ALT증가로 고지방혈증이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pergillus속 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비지는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인체에서도 유의한 비만개선 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besity effect of soybean curd residues (biji) fermented by seven Aspergillus spp. was investigated with obese ICR mice fed a high-fat diet. After inducing obesity by feeding high-fat diet for 5 weeks, animals were fed with a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2%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항비만 및 간 기능증진 소재를 검색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mouse를 실험동물 모델로 하여 항비만 및 혈중지질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식이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Aspergillus 속의 미생물로 발효시킨 비지를 2% 첨가한 고지방식이로 6주간 사육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Aspergillus oryzae 및 이들의 변이주와 Aspergillus속 중에서도 Monascus속 미생물에서와 같은 cholesterol 생합성 저해물질인 lovastatin과 같은 물질의 생성력이 높은 Aspergillus terreus와 같은 다양한 Aspergillus속의 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와 혈청 지질의 개선효과를 연구하였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지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항비만제는 체내 고칼로리 생성의 주요 역할을 하는 lipase의 활성저해나 식욕억제, energy 소비촉진,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지방대사 조절과 이들의 복합작용을 하는 제재들이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에서 실제적으로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은 pance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장내의 지방흡수를 감소시키는 orlistat (xenical) 등 수종에 불과하며, 식욕의 억제제로 알려진 sibutramine (reductil)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어 안전한 항비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2]. 두부 제조 시 발생하는 부산물인 비지는 식이섬유를 비롯하여 daidzein, genistein 및 L-carnitine과 같은 isoflavone 또는 β-conglycinin 및 glycinin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성분들은 peroxisome-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의 agonist로 지방대사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지방산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동시에 β-oxidation을 촉진하며 특히 genistein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서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3].
비지를 Lentinus edodes로 발효시킴으로서 어떤 물질의 추출이 용이한가? 그러나 비지에 함유된 이들 성분들은 세포벽 조직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기능성 증진과 체내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즉, Flammulina velutipes로 발효시킨 비지에는 면역활성이 높은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비지를 Lentinus edodes로 발효시킴으로서 세포벽 조직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daidzein 및 genistein의 추출이 용이하다는 보고도 있다[4]. 한편, Aspergillus oryzae는 미국의 식품의약국 안정청과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GRAS (Generally Regarded As Safe)로 인정되고 있는 미생물로 간장 및 된장과 같은 전통발효식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5,6].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방법과 측정한 것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ICR 생쥐를 동물 모델로 하여 7종의 Aspergillus속 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컷 ICR 생쥐에 5주간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여 비만을 유도하고 고지방식이에 발효비지 2%를 첨가하여 6주 동안 사육하였으며, 체중, 섭취량,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Alanine transaminase과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간성 glutathione과 lipid peroxide를 측정하였다. 체중의 경우에 AE4 발효 비지를 식이한 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 (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M Grundy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67: 563S-572S, 1998. 

  2. JW Yun "Possible anti-obesity therapeutics from nature -A review". Phytochem 71: 1625-1641, 2010.) DOI: http://dx.doi.org/10.1016/j.phytochem.2010.07.011 

  3. MS Choi, JI Kim, JB Jeong, SB Lee, JN Jeong, HJ Jeong, EW Seo, TY Kim, OJ Kwon, JH Lim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J Life Sci 21: 358-367, 2011. DOI: http://dx.doi.org/10.5352/JLS.2011.21.3.358 

  4. SM Yang, Y Wang, Q Zhang, Y. Wang, Y. Z Zhang, "Production of total polyphenol from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Lentinus edodes". Int J Food Sci Technol 47: 1215-1221,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21.2012.02961.x 

  5. M Machida "Progress of Aspergillus oryzae genomics". Adv Appl Microbial 51: 81-106,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065-2164(02)51002-9 

  6. MZ Park, ID Kim, SD Kim "Effect of rice addition on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Meju fermented by Monascus spp".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05-411, 2001. 

  7. M Bizukejc M Pawlak, T Boruta, J Gonciarz "Effect of pH on biosynthesis of lovastatin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by Aspergillus terreus ATCC 20542". J Biotechnol 162: 253-261, 2012. DOI: http://dx.doi.org/10.1016/j.jbiotec.2012.09.007 

  8. WT Fridewald, RI Levy, DS Fredrickson.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 499-502. 

  9. GL Ellman "Tissue sulfhydryl group". Arch Biochem Biophys 82: 70-77, 1959. DOI: http://dx.doi.org/10.1016/0003-9861(59)90090-6 

  10. H Ohkawa, N Ohishi, K Yagi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248-254, 1979. DOI: http://dx.doi.org/10.1016/0003-2697(79)90738-3 

  11. IS Lee, SW Lee, IZ Lee "Effects of tissue cultured ginseng on blood glucose and lipi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80-285, 2003. 

  12. BH Park, KY Beck, SI Lee, SD Kim "Effect of chitosan-ascorbate containing soyfiber beni-koji on body weight and lipd content of obesity rats aid induced from high fat die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663-669, 2006. 

  13. RS Wang, T Nakajima, T Honma "Different change patterns of the isozymes of cytochrome P450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in chemically induced liver damage in rat". Ind Health 37: 440-448, 2000. DOI: http://dx.doi.org/10.2486/indhealth.37.440 

  14. MH Kang, JH Lee, JS Lee, JH Kim, HK Chung "Effect of acorn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The Kor Nutr Soc 37: 169-17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