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파프리카의 품종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Paprika According to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3 no.1, 2006년, pp.43 - 49  

정창호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고웅혁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조정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안철근 (경남농업기술원) ,  심기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파프리카의 품종별 성분분석을 통하여 식품 재료로서의 활용 및 가공품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President, Special 및 fiesta 품종에서 가용성 무질소물이 각각 6.64, 6.22 및 $6.01\%$로 나타났으며, 조지방과 조섬유의 함량은 세 가지 품종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파프리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 성분으로는 $K(83.41\~152.98 mg\%),\;Mg(28.66\~39.46mg\%)$$Mn(10.34\~18.96\;mg\%)$이었으며, 세 가지 품종중 Special과 Fiesta 품종보다 President품종에서 K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파프리카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1.36\~1.45\%)$와 fructose$(0.06\~1.53\%)$로 나타났다. 파프리카의 품종별 총 아미노산 함량은 Special 품종 $1,168.08\;mg\%$, President 품종 $1,112.97\;mg\%$ 및 Fiesta 품종 $874.79\;mg\%$로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주요 아미노산은 lysine, aspartic acid및 glutamic acid였다. 파프리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으로는 tartaric acid$(2.34\~4.32\;mg\%)$, succinic acid$(2.01\~2.42\;mg\%)$ 및 malic acid$(0.67\~1.72\;mg\%)$로 나타났다. 파프리카는 8종류의 지방산이 동정되었으며, 주요지방산은 stearic acid$(15.11\~34.68\%)$와 linoleic acid$(32.12\~60.36\%)$로 나타났다. 비타민 C 함량은 Special 품종 $263.45\;mg\%$, President 품종 $284.24\;mg\%$ 및 Fiesta 품종 $206.34\;mg\%$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카로테노이드 함량은 Special과 Fiesta 품종보다 President 품종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paprika according to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ood materialization and processing.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of President, Special and Fiesta were 6.64, 6.22 and $6.01\%$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rude l...

주제어

참고문헌 (26)

  1. Hwang, J.H and Jang, M.S. (2001) Effect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juice on the acceptability and quality of wet noodle(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73-379 

  2. Lee, J.W. (1998). 파프리카(단고추) 재배기술 및 품질관리 요령. Protected Horticulture, 11, 17-28 

  3. Lee, S.D., Lee, S.K., Kyung, S.H, Park, K.D., Kang, H.G. and Park, J.S. (2002) A study on detection of residual solvent, ethoxyquin and color stability in oleoresin paprika extrac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77-83 

  4. Biacs, P.A., Daood, H.G., Huszka, T.T. and Biacs, P.K. (1993) Carotenoids and carotenoid esters from new cross cultivars of paprika. J. Agric. Food Chem., 41, 1864-1867 

  5. Ittah, Y., Kanner, J. and Granity, R. (1993) Hydrolysis study of carotenoid pigments paprika by HPLC/ photodiode array detection. J. Agric. Food Chem., 41, 899-901 

  6. Fisher, C. and Kocis, J.A. (1987) Separation of paprika pigments by HPLC. J. Agric. Food Chem., 35, 55-57 

  7. Minguez-Mosquera, M.A. and Momero-Mendez, M. (1994)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paprika processing on the carotenoids in pepper(Capsicum annuum) of the Bola and Agriducle Varueties. J. Agric. Food Chem., 42, 1555-1560 

  8. Osuna-Garcia, J.A., Wall, M.M. and Waddell, C.A. (1997) Natural antioxi-dant for preventing color loss in stored paprika. J. Food Sci., 62, 1017-1021 

  9. Lee, J.W. (2001) Present Condition of paprika cultivation and its prospects for export. Kor. Res. Soc. Protected Hort., 14, 36-41 

  10. Jung, J.Y., Choi, M.H., Hwang, J.H. and Chung, H.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paprik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69-874 

  1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 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2. Jeong, C.H., Bae, Y.I., Lee, H.J. and Shim, K.H. (2003)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1-505 

  13.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and Oh, S.K.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4. Andrew, P.M. and Anthong, K.T. (1983) Analysis of sugars and organic acid in ripening mango frui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Sci. Food Agric., 36, 561-564 

  15. Jeong, C.H. and Shim, K.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mushroo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6-722 

  16. Metcalf, L.D., Sclnnits, A.A. and Pelka, J.R. (1966)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7. Jeong, C.H., Bae, Y.I. and Shim, K.H.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7-123 

  18. 食品品質評價のために品質測定法. (1990)日本食品綜合 ?究所, メニュアル , 2, p.61 

  19. Chandler, L.A. and Schwartz, S.J. (1988) Isomerization and lossed of trans- $\beta$ -carotene contents in white flashed african sweet potatoes as affected by processing treatments. J. Agric. Food Chem., 36, 129-132 

  20. Jeong, C.H. and Shim, K.H. (2001) Chemical components of unripe Red and Green Pepper. J. Agric. Life Sci, 35, 39-45 

  21. Chae, S.K. (1997)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p.709 

  22. Chung, B.S. and Kang, K.O. (1985) The changes of capsaicin contents in fresh and processed red pepper. J. Korean. Soc. Food Nutr., 14, 409-418 

  23. Chung, K.M. and Hwang, J.M. (2002)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by harvest time and fruit grad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19-923 

  24. Choi, O.S. and Ha, B.S. (1994)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oleoresin red pepper during cooking. J. Korean Soc. Food Nutr., 23, 238-243 

  25. Lee, S.W., Kim, K.S. and Lee, S.S. (1973) Studies on fruit character and chemical composition in several varieties of pepper. J. Kor. Hort. Sci., 13, 27-34 

  26. Choi, O.S. and Ha, B.S. (1994) Changes in carotenoid pigments of oleoresin red pepper during cooking. J. Korean Soc. Food Nutr., 23, 225-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