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호흡 방법에 따른 흉관 삽입 기흉 환자의 폐환기능
The Effects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neumothorax Patients undergoing a Thoracotomy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1, 2006년, pp.55 - 63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화자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순 (부산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ep breathing exercises with Incentive Spirometer on the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nemothorax patients undergoing a thoracotomy. Mothod: This experiment used a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hich compared pre-experi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흉관을 삽입한 기흉 환자에게 Incentive Spirometer 를 이용한 심호흡 방법과 자발적인 심호흡방법이 폐 환기 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시차 설계인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흉관을 삽입한 기흉 환자에게 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한 심호흡 방법과 자발적인 심호흡 방법이 폐 환기 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보다 나은 호흡 완화 간호 중재를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흉관을 삽입한 기흉 환자에게 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한 심호흡군과 자발적인 심호흡군의 폐 환기 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인 유사실험 연구이다.
  •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Incentive Spirometer 가 폐 환기와 팽창을 증가시키는데 아주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있지만(Song et al., 2004; Luckman & Sorenson, 1987), Incentive Spirometer 사용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한 흐름으로 생각되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실무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돌아보게 한다.
  • , 1978)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흉관을 삽입한 기흉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오태윤 등(1998)과 김은정(2000)과 폐쇄식 흉관삽입으로 배액관을 통해 축적된 공기와 액체를 빼냄으로써 폐의 확장을 돕고 복막강의 음압을 유지시킨 Phipps (1999) 연구가 보고되고 있을 뿐 국내외적으로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Incentive Spirometer 기구를 이용한 심호흡 방법과 자발적인 심호흡 방법이 흉관을 삽입한 기흉 환자의 폐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보다 나은 호흡 완화 간호중재를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C. M., Kim, S. G., Kim, Y. G., Kim, Y. H., Kim, U. S., Sin, D. H., Rhoo, G. H., Lee, G. H., Lee, Y. C., & In, G. H. (2004). Respiratory Disease. Seoul. Koonja publishing 

  2. Bartlett, R. H., Gazzaniga, A. B., & Geraphty, T. R. (1973). Respiration Maneuvers to prevent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J.M.A, 224(7), 1017-1021 

  3. Bosse, R., Sparrow. D., Rose C. L., & Weiss S. T. (1981). Longitudinal effect of age and smoking cessation on pulmonary function. Am. Rev. Dis, 123, 378-381 

  4. Bradshaw, H. W. (1988).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rse Anesthesia 1st Norwalk: Prentice Hall 

  5. Cho, Y. A. (1983). An experimental study of deep breathing exercise using rebreathing tube or incentive spirometer on effect of ventilatory of postoperative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Kim, M. O. (1996). A study of recovery of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in postoperative patient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7. Kim, M. J., Park, H. S., Choi, S. H., Song, K. A., Kim, H. S., Nam, J. J., Park, K. H., Baik, S. H., Lee, K. Y., Lee, K. E., Jung, S. K., Han, S. J., & Hong, Y. H. (2004).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Hyunmoonsa 

  8. Kim, J. H. (1991). A study on the effect which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in upper abdominal oper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9. Kim, E. J. (2000). An experimental study of deep breathing exercises using phonation on effect of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dyspnea, and duration of chest tube insertion in patients with pneumothorax.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10. Lee, Y. J., Hwung, S. W., Kim, H. Y., Song, W. Y., Song W. Y., & Yoo, B. H. (1997). Clinical Evaluation of Open Thoracotomy Cases in Spontaneous Pneumothorax. Thorac Cardio Vasc Surg, 30, 1225-1231 

  11. Lee, I. S. (1985).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regular deep breathing exercise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ostoperative abdominal surgery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Leigh, I. G., Iverson., Ecker, R. R., Fox, H. E., & May, I. A. (1978). A Comparative Study of IPPB, the Incentive Spirometer and Blow Bottles. 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25(3), 187-200 

  13. Light, R. W. (2001). Pneumothorax. In: Light RW. Pleural disease. 4th ed. Philadelphia: Lippincoff Williams & Williams & Wilkins. 2001; 284-319 

  14. Luckmann, J., & Sorenson, K. C. (1987). Medical-Surgical Nursing, 2, 1187-1189 

  15. Mun, M. S. (1994). Comparison of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between breathing exercise using incentive spirometer and voluntary breathing exercise in patients after resectional lung surgery.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Moon, Y. S., Baik, S. W., Kim, I. S., & Chung, K. S. (1988). Compar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in Geriatric Patients. Anesthesiology, 21(6), 924-931 

  17. Oh, T. Y., Chang, W. H., & Bae, S. I. (1998). The Manage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Clinical Review in 451 Ca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31, 374-379 

  18. Park, H. S., & Hwang, J. H. (1994).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upper abdominal surgery. J Korean Comm Nurs J Fundam Nurs, 1(2), 129-147 

  19. Phipps, W. J., Sands, J. K., & Marek, J. F. (1999). Medical-Surgical Nursing: Concepts & Clinical Practice. 6th ed., N. Y. ; Mosby 

  20. Ryoo, J. Y., Kim, S. W., & Cho, K. H. (1997). Video Assisted Thoracic Surgery of Spontaneous Pneumothorax. Thorac Cardiovasc Surg, 30, 512-516 

  21. Scott, K., Miler, Steven. A., & Sahn. (1987). Chest tubes, Indications Technique Management and Complications. Chest, 91, 2 

  22. Schoenenberger, R. A., Haefeli, W. E., Weiss, F. P., & Ritz, R. (1991). Timing of invasive procedures in therapy for primary and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Archives in Surgery, 126, 764-766 

  23. Song, K. A., Kim, M. J., Park, H. S., Choi, S. H., Kim, H. S., Nam, J. J., Park, K. H., Baik, S. H., Lee, K. Y., Lee, K. E., Jung, S. K., Han, S. J., Hong, Y. A., & Park, H. A. (2004). Practice of Fundmental Nursing. Seoul. Hyunmoonsa 

  24. Van de Water, J. M. (1972).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Surgery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135, 229-2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