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흉 질병의 치료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reatment of Pneumothorax in Dram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1 no.3, 2015년, pp.77 - 82  

손정환 (을지대학교 의료IT마케팅학과) ,  정가운 (늘푸른고등학교 과학탐구반) ,  정용규 (을지대학교 의료IT마케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흉이 젊은 층 사이에서 많이 발병하고 있다는 뉴스를 많이 접할 수 있으며, 흉부외과를 배경으로 하는 의학드라마에서 기흉은 꼭 한번 씩 등장하는 질병이다. 하지만 대중매체에서의 기흉이라는 질병이 많이 노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흉이 발병하는 환자들은 기흉의 초기 증상을 잘 몰라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여 응급실로 오는 사례도 있고, 폐가 많이 수축이 되어서 당장 수술을 해야 되는 경우에 이르러서 병원을 찾는 환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기흉의 초기 증상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기흉이 발병하면 어떤 치료를 받게 되는 지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요즘 많이 접할 수 있는 의학드라마 통해 기흉이 발병한 환자의 증상과 치료 방법을 알 수 있으며,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학술논문 검색을 통해서 기흉과 관련된 치료사례를 조사하고 드라마와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are a lot of cases of pneumothorax disease among young people. Also, thoracic Surgery is just a disease that often emerges in the background in the medical drama related to a pneumothorax. However, despite being exposed to a lot of diseases in the mass media pneumothorax, actual pne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단하게 병을 진단 할 수 있지만, 많은 기흉 환자들은 초기증상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병을 방치하다 2차 피해를 만들어 병원에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흉의 초기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기흉을 어떻게 치료를 하는 지를 의학관련 영상을 통해 알아 볼 것이다. 또한 기흉이 어떻게 발병을 하게 되는지 알 수 있으며, 가장 위험한 긴장성 기흉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 참조한 영상으로는 메디컬 탑팀, 제중원, 뉴하트 이 3개의 의학드라마에서 기흉이 발생한 환자를 볼 것이다. 이 3개의 의학드라마에서 환자들이 어떻게 해서 기흉이라는 질병이 발병했는지를 알아보고, 그 환자들을 의사들이 어떻게 치료를 했는지 알아 볼 것이다. 또한 의학드라마에서 부족한 기흉과 치료에 대한 지식은 구글(google)의 학술논문검색에서 논문을 참고 하여 알아 볼 것이다.
  • 하지만 기흉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많으며 기흉이 발생한 환자들 조차 기흉이라는 질병이 어떻게 치료가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의학드라마를 통해서 기흉이 어떠한 질병인지 알아보았고 어떻게 치료하는지에 대해도 알아 봤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흉의 가장 큰 질환은 무엇인가요? 기흉의 가장 큰 질환은 바로 호흡곤란과 흉통(가슴통증)이다. 특히 자연 기흉이 발생하는 환자는 처음에 이러한 증상을 단순하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기흉이란 무엇인가요? ” 라는 질병이다. 의학적으로 정확한 기흉의 정의는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들여 마신 공기가 다시 입을 통해 나가야 되는 것인데, 폐에 구멍이 생기면 이 공기가 다시 나가는 것이 아니라 흉막강 내에 공기가 남아있게 된다는 것이다.
기흉의 양면성이란 무엇인가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효과는 기흉의 양면성이라는 것이다. 기흉이라는 질병을 제대로 알고 잘 대처를 한다면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질병이지만, 기흉에 대해 잘 모르고 대처를 제대로 못한다면 그 병은 자신에게 해가 되어서 돌아온다는 것이다. 기흉은 자신의 몸에 대해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병원의 흉부 X선 검사를 통해 쉽게 진단을 받을 수 있고, 만약 폐의 수축이 심할 경우 최근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통해 치료도 간단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Byung Gun Park, et al."A Case of Iatrogenic Horner's Syndrome after Video-Thoracoscopic Surgery for Primary Pneumothorax",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53.1 (2012): 157-160. (박병건, et al. "일차성 기흉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르너 증후군 1 예." 대한안과학회지 53.1 (2012): 157-160.) 

  2. Byung Ho Kim, et al."Clinical Analysis of the Surgical Treatments for Large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42.3 (2009): 344-349. (김병호, 허동명, and 한원경.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대량 일차성 자연기흉의 임상분석."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42.3 (2009): 344-349.) 

  3. Eun Jung Kim, et al."Usefulness of Small Caliber Catheter Insertion for a Spontaneous Pneumothorax",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7.1 (2009): 27-31. (김은정, et al. "자연 공기가슴증 치료에서 소구경 도관 흉강삽입술의 유용성."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7.1 (2009): 27-31.) 

  4. Rho, Ji Young, et al. "Epidural Emphysema Associated with Subcutaneous Emphysema after Chest Tube Placement: A Case Report."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9.5 (2010): 389-391. 

  5. Seok Hun Kang, and Hyeon Gyeong Lee. " Surgeon Bong Dal Hee catch-infuse realism and professionalism in the medical drama". Science Donga 22.3 (2007): 60-65. (강석훈, and 이현경. "외과의사 봉달희 따라잡기-의학 드라마에 현실감과 전문성 불어넣다." 과학동아 22.3 (2007): 60-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