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연구
Th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3 = no.217, 2006년, pp.61 - 68  

안효진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임연진 (동서울대학 아동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218 preservice teachers (209 female and 9 male)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현직 교사들의 가족구조 인식에 대한 연구들은 현직 교사교육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지만, 교사가 되고자 준비하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알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서 직전 교사교육에 대한 의미와 방법을 생각할 기 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둘째, 한부모가족 아동을 인식하는데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증명하는데 비중을 두었다(Ball et.
  • 본 연구는 다양하게 변화되는 가족 유형의 출현에 대해 예비교사들의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사회적인 실천방안을 제고해본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교실 상황에서의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결여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가족 유지에 대한 가치관 과한 부모 가족 아동에 대한 인식과 그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예비교사들의 가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을살펴보고, 이에 대한 교사 교육 차원에서의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교사의 연령이 높고 교사 경험의 기간이 길수록 한부모가족 아동을 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결과도 있다.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가족구조에 대해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아봄으로서 한부모가족 아동의 발달을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취지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살펴 보고자 한다.
  • 예비교사들의 가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을살펴보고, 이에 대한 교사 교육 차원에서의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몇 가지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예비교사들의 개인 경험에 따른 한부모가족 아동 인식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독립변인을 예비교사의 한 부모와 산 경험, 한부모가족 아동을 만난 경험으로 하고, 종속 변인을 학교생활 부적응, 심리 사회적 부적응, 사회적 인식, 가족구조 가치관으로 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2 참조>.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예비교사들의 한부모가족의 아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들이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교사는 아동의 인성발달이나 성장 과정에서 누구보다도 중요한 타자로서(significant others) 역할을하며, 아동들의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적응 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 이에 연구자들은 가족의 변화로 인해 형성된 한부모가족 아동들에게 관심을 두고, 이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예를 들어, Shook과 Jurich(1992)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들은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불안감, 우울 등과 같은 심리정서적인 문제로 고통을 받거나 낮은 자존심, 무력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변인에 따라 예비교사가 어떻게 한부모가족 아동과 가족 유지에 대한 가치관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예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은 한부모가족 아동들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가족 유지 가치관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가설 설정

  • 1. 예비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한부모가족 아동과 가족 유지가치관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 2. 예비교사의 개인적 경험(한부모가족에서 성장한 경험, 한부모가족 아동을 만난 경험)에 따라 한부모가족 아동과 가족 유지가치관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 3. 예비교사의 가족구조에 관한 가치관에 따라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공선영(2000).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경신(2003). 한부모가족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활성화 방안 및 효율적 정보전달 체계 연구. 가정학회지, 41(7), 141-159 

  3. 김경집(2002). 이혼가정유아 적응 프로그램 고찰. 연세 교육연구, 15(1), 1-17 

  4. 김영애(2002). 학교현장에서의 한부모자녀 경험사례발표. 한부모자녀 학교생활 적응지원을 위한 심포지움 자료집. 한국여성민우회, 1-18 

  5. 김혜련(1993). 여성의 이혼경험을 통해 분 가부장적 결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문현숙, 김득성(2002). 이혼 후 적응을 위한 장기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0(6), 1-15 

  7. 박해미, 정종원(2001). 반편견 교육과정의 적용: 이혼개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0(4), 127-147 

  8. 성정현(1998). 이혼 여성들이 경험하는 심리 사회적 문제와 대처전략. 사회복지학연구, 11(1), 48-61 

  9. 성정현, 송다영, 한정원(2002). 이혼 가족 및 사별가족 유아에 대한 교사의 인식-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가족 복지학, 11, 9-34 

  10. 송다영, 성정현(2003). 가족구조와 형태에 대한 사회의 차별적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가족과 문화, 15(2), 81-113 

  11. 오은순(1997). 이혼가정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2. 오은순(2001). 이혼가정 유아의 적응을 위한 학교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열린 교육연구, 9(1), 19-45 

  13. 이영민(2004). 한부모와 조손 가족유아의 특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4. 이종숙(1997). 집단특성의 긍정성과 전형성이 외집단 동질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연구, 13(1), 30-43 

  15. 정문자, 김은영(1999). 이혼가족 아동의 적응을 돕기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탐색. 생활과학 논집, 13(1), 34-42 

  16. 정현숙(1993). 부모의 이혼에 따른 자녀의 적응. 유아학회지, 14(1), 59-75 

  17. 주소희(2002). 이혼가정자녀의 부모 이혼 후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연구. 한국 가족복지학, 9, 77-106 

  18. 통계청(2002). 2002년 인구 동태 통계 연보(혼인. 이혼편). 통계청 

  19. 한경혜, 강유진, 한민아(2003). 이혼 태도와 관련요인. 가족과 문화, 15(1) 

  20. 한국 여성 민우회 (1999). 한부모가족 의식 및 욕구기초조사 

  21. 허정원(1998). 이혼한 편모의 가족 및 사회관계망 지원과 이혼 후 적응.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황은숙(2001). 한부모가족에 대한 반편견 유아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유아복지학과 석사학위 

  23. Amato, P. (2001). Children of divorce in the 1990s: Am update of the Amato and Keith (1991) meta-analysi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3), 355-370 

  24. Amato, P. R., & Keith, B. (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1), 26-46 

  25. Ball, D., Newman, J. M., & Scheuren, W. G. (1984). Teacher's generalized expectations of children of divorce. Psychological Reports, 54, 347-353 

  26. Carlile, C. (1991). How teachers can help ease the pain children of divorce. Childhood Education, 67(4), 232-234 

  27. Clapp, G. (2000). Divorce and New Beginnings. John Wiley & Sons, Inc 

  28. Derman-Sparks, L., & the A. B. 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EYC 

  29. Guttman, J., Geva, N., & Gefen, S. (1988). teachers' and school children's stereotype perception of the children of divorce. American Educational Reseach Journal, 25(4), 555-571 

  30. Hetherington, E. M. (1991).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family relationships in children's coping with divorce and remarriage. In P. A. Cowen & E. M. Hetherington, (Ed.) Family Transition,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31. Hodge, W. (1986). Interventions for children of divorce: Custody, Access, and Psychoterapy.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32. Kurdek, L., Blisk, D., & Sieky, A. (1981). Correlates of children's long term adjustment to their parents' divorce. Developmental Psychology, 17(5), 565-579 

  33. Miller, P., Ryan, P., & Morrison, W. (1999). Practical strategies for helping children of divorce in today's classroom. Childhood Education, 76, 285-289 

  34. Pamela, A. K., & Gail, G. S. (1998). Easing the pain of divorce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2), 89-94 

  35. Pedro-Caroll, J. L., Alpert-Grills, L. J., & Cowen, E. L. (1992). An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4th-6th grade urban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13, 115-130 

  36. Pedro-Carroll, J., Sutton, S., & Wyman, P. (1999). A two-year-follow up evaluation of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of divorce. The School Psychology Review, 28(3), 467-476 

  37. Santrock, J., & Tracy, R. (1978). Effects of children's family structure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stereotypes by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 754-755 

  38. Shook, & Jurich (1992). Correlates of self-esteem among college offspring from divorced families: A study of gender-based difference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18, 157-176 

  39. Smilansky, S. (2002). 이혼 가정유아: 가정과 학교의 역할. 오은순 역. 학지사 

  40. Stolberg, A. L., & Mahler, J. (1994). Enhancing treating gains in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divorce through skill building, parental involvement and transfer proced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1), 147-156 

  41. Wallerstein, J. S., & Blakeslee, S. (1989). Second Chances: Men. Women, and Children a Decade After Divorce, New York: Ticknor & Fields 

  42. Whitehead, J. (1993). Why children choose to do sport- or stop. In Lee, M(Ed.), Coaching Children in Divorce(p.109-120). London: E & FN Sp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