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지원 사업에서 가족-중심 개입을 위한 개념모형 연구: 생태학적 접근
Theoretical-Practical Strategies of Family-Based Intervention for the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An Ecological Approach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3 = no.217, 2006년, pp.115 - 126  

윤종희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oretical-practical strategies of family-based intervention for the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used was an ecological approach, that is, taking viewpoints of client family's microsystems as well as those of exo- and macros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도되었다. 건강가정지원 사업을 위한 이론적 틀과 개념모형,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지침을 제안하는 목적을 지닌 시론적 연구이다. 21세기 한국 가족이 표현하고 있는 다양한 가족 유형과 라이프스타일의 건강성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각 가족이 처한 다양한 시간적 .
  • 에너지의 흐름과 정보는 부분을 전체로 연결시켜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적응기능을 제공한다(Andrews 외, 1980). 그래서 이 이론은 인간발달의 과정, 발달이 일어나는 환경, 그리고 모든 인간이 처해있는 다차원적 환경 간 상호작용과 상호연계성을 살피려는 궁극적 목적을 지닌다(윤종희 1994).
  • 본 연구는 2006년 건강가정기본법이 전국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시점에서 건강가정기본법을 발의한 학계에서 효과적인 가족개입을 위한 방법론에 대한 화두를 던져 학문적 담론을 유도하고자 시도되었다. 건강가정지원 사업을 위한 이론적 틀과 개념모형,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지침을 제안하는 목적을 지닌 시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건강 가정지원 사업의 실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 건강가정지원 센터의 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념모형과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인간발달의 생태학 이론과 가족-중심 개입이 사용되며, 가족-중심 개입의 의미와 접근 특성을 검토하고, 그것이 건강가정지원 사업 실천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사회적 욕구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그 대안으로 개별 가족원을 포함하는 전체가족을 중심에 두고, 개별 가족원에 대하여 가족이 주 보호자가 되도록 전체가족을 지원하는 가족-중심 개입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족이 사회의 서비스 전달체계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잠재력을 개발하고 능력을 강화하자는 의도에서이다.
  •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인간과 환경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Bronfenbrenner의 인간발달생태학 이론이다. 생태학은 원래 유기체와 환경 간 상호작용적 체계에 대한 연구를 의미하는 생물학에서 사용되었던 용어로 하나의 유기체보다는 그 유기체가 서식하는 전체 체계와 유기체 간 주고받는 영향력에 더 관심이 있어 일반체계이론보다 인간과 환경 간 상호작용에 더 주목한다.
  • 중간체계의 상호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예로 자원-중심 접근의 생애초기 개입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프로그램에서는 장애아동 가족이 그들을 위해 따로 마련된 전문적 서비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보다는 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과 지원체계의 접촉 범위를 넓혀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들이 보통 가족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안정된 생활을 하며 가족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이론적 배경으로 인간발달의 생태학 이론과 가족-중심 개입이 사용되며, 가족-중심 개입의 의미와 접근 특성을 검토하고, 그것이 건강가정지원 사업 실천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학문적인 시도는 실천적 .

가설 설정

  • 가족 구성원과 가족은 분리할 수 없는 관계이다. 개별 구성원에 대한 개입은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고 가족에 대한 개입은 개별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 생태학 접근의 기본 가정은 첫째, 인간체계 내 상호의존과 인간-환경 간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둘째, 체계는 끊임 없는 변화 속에서 목표 지향적 적응과정을 거치는 역동성을 지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기현, 양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41-150 

  2. 김동배, 권중돈(2005).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3. 김은숙(1990).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연구: 자폐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논문 

  4. 박소영(2001). 자폐아 어머니의 가족중심 서비스 욕구. 대구가톨릭대 석사논문 

  5. 사회복지대백과사전(1999). 나눔의 집 

  6. 서소희(1994). 자폐아 연령군에 따른 부모 양육스트레스. 대구대 석사논문 

  7. 석재은(1993). 장애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구성을 위한 부모들의 욕구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8. 손유니(2000). 능력강화를 위한 가족지원프로그램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9. 송경선(2000). 문제해결전략을 사용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능력부여(family empowerment)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0. 양경애(2003). 장애아동 가족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대구대 석사논문 

  11. 양숙미(2000). 정신지체 성인자녀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2. 유영주(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13. 윤수영(1992). 자폐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4. 윤종희(1994). 아동.가족 연구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의 적용. 인간 생태학적 측면에서의 가정학. 연세대학교 창립 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 

  15. 윤종희(2001). 가정복지의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39(8), 93-105 

  16. 윤종희(2004). 장애아동의 생애초기 개입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모형에 대한 문헌연구: 생태학적 접근. 생활과학연구, 9, 79-94 

  17. 윤찬정(1994). 가족 기능성과 개인 인성 특성과의 관계. 이화여대 석사논문 

  18. 이애현(1996). 정신지체아와 자폐아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요구, 가족특성 및 통제부위와 변인 간 상관관계.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19. 정옥분, 최형성(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개발. 아동학회지, 22(3), 22-33 

  20. 정원미(1994).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1. 한국가족관계학회(편)(2002). 가족학이론. 서울: 교문사 

  22. Abidin, P.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3. Alexander, J., & Barton, C. (1996). Family therapy research. In R. Mikesell, D. Lusterman, & S. McDaniel (Eds.), Integrating family therapy: Handbook of family psychology and systems theory (pp. 199-216).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 Alexander, J., Holtzworth-Munroe, A., & Jameson, P. (1993). Research on the process and outcome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In A. Bergin & S. Garfield (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4th ed., pp. 595-630). New York: John Wiley 

  25. Andrews, M., Bubolz, M., & Paolucci, B. (1980). An ecological approach to study of family. Marriage and Family review, (Spring/Summer), 29-49 

  26. Becker, D., A. Hogue, & H. Liddle (2002). Methods of Engagement in Family-Based Preventive Intervention.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9(2), 163-178 

  27. Boulding, K. (1985). Human Betterment. Beverly Hills, CA: Sage 

  28. Bronfenbrenner, U. (1977).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32, 513-531 

  29.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0. Bronfenbrenner, U. (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723-742 

  31. Bronfenbrenner, U. (1994). Ecolog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In T. Husen & T. N. Postlethwaite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2d ed.). NY: Elsevier 

  32. Bubolz, M., & A. Whiren (1984). The family of the handicapped: Ecological model for policy and practice. Family Relations, 33, 5-12 

  33. Dunst, C. J., & Deal, A. G. (1994). Needs-based family-centered intervention practices. In C. J. Dunst, C. M. Trivette, & A. G. Deal (Eds.),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families: Vol. 1. Methods, strategies and practices (pp. 90-104). Cambridge, MA: Brookline 

  34. Dunst, C. J., & Paget, K. D. (1991). Parentprofessional partnerships and family empowerment. In M. Fine (Ed.), Collaborative involvement with parents of exceptional children (pp. 25-44). Brandon, VT: Clinical Psychology Pub. Co 

  35. Dunst, C., Trivette, C., & Deal, A. (1988). Enabling and empowering familie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Cambridge, MA: Brookline 

  36. Dunst, C., Trivette, C., & Mott, K. (1994). Strengthsbased family-centered intervention practices. In C. Dunst, et al, (Eds.), opti. cited (pp.115-131) 

  37. Garbarino, J. (1990). The human ecology of early risk. In S. J. Meisels & J. P. Shonkoff (Ed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 78-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Garbarino, J. (1995). Raising children in a socially toxic environ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39. Garbarino, J., & Kostelny, K. (1992). Child maltreatment as a community problem. Child Abuse and Neglect, 16, 455-64 

  40. Gurman, A., Kniskern, D., & Pinsof, W. (1986). Research on marital and family therapies. In S. Garfield & A. Bergin (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3rd ed., pp. 565-624). New York: John Wiley 

  41. McCubbin, & Patterson (1983). The family str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option in McCubbin, H. I., Susan, M, B., & Patterson, J. M.(Eds), Social Stress and the family: Advance and Developments in Family Stress Theory and Research, 7-37, New York: Haworth Press 

  42. Sexton, T., & J. Alexander (2002). Family-Based Empirically Supported Interven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March, 238-258 

  43. Singer, G., & Powers, L. (1993). Family, disability and empowerment (p.3) Baltimore: Paul H. Brookes 

  44. Stacey. J. (1994). Backward toward the postmodern family: Reflections on gender, Kinship, and class in the Silicon Valley. In G. Handel & G. G. Whitchurch (Eds.). Context of early intervention: systems & settings (pp. 3-17). Baltimore: Paul H. Brookes Pub. C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