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내과 내원환자에 관한 역학조사 -충남지역에 대한-
Epidemiologic Study on the Patients Visited to Dept of Oral Medicine -In the Area of Choongnam-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1 no.1 = no.62, 2006년, pp.101 - 111  

이동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김기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두하악관절장애에 관한 역학연구는 주로 1970년대 초 스칸디나비아국가에서 국민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법에 의한 악관절 및 저작계기능에 관한 역학조사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70년대 이후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유병률에 대해 많은 역학연구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성, 병력, 주소, 진단에 따른 각각의 증상과 징후들을 평가한 연구는 외국에 비해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측두하악관절장애에 대한 증상과 진단에 관한 총괄적 연구조사는 오래전에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서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성, 병력, 주소, 진단에 따른 증상들을 총괄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점증하는 측두하악관절장애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연령의 경우 전체 내원 환자 6500명의 평균나이는 34.06세로 남자는 33.15세, 여자는 34.62세였으며 진단그룹별로 연령차이가 있었다. 의뢰 환자는 대체로 치과의사가 의뢰한 환자가 많았으며(80.07%), 의뢰한 환자 진단군은 관절성장애, 근육성장애, 연조직질환 순이었다. 전체 내원 환자 중 63%가 안면통증으로 내원하였으며, 발생부위에 대한 비교에서 좌우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통증 발생은 6개월 미만에서는 주로 남성이, 6개월 이상인 경우는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관절잡음의 경우 병력 환자는 3445명(53.15%)였으며, 발병시기에는 성차가 없었다. 관절잡음의 발생부위는 좌우 양측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주로 clicking sound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갈이는 주로 남자에서, 이악물기는 여자에서 나타났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is a collective term embrassing a number of clinical problems that involve the masticatory musculature,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associated structures, or both. The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TMD can be best appreciated by examining ep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십 년이상이 지난 현재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진단과 치료법이 개선된 최근에는 어떠한 경향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성, 병력, 주소, 진단그룹, 악습관 등 총괄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점증하는 측두하악관절장애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Okeson JP. Bell's Orofaical Pains : The Clinical Management of Orofacial Pain. 6th edition . 2005, Quintessence Publ Co, Inc 

  2. 기우천, 최재갑, 윤창륙, 고명연 역. 구강안면 통증: 분류, 평가 및 치료를 위한 지침. 지성사, 서울, 1996 

  3. Kaplan AS, Assael LA.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Diagnosis and treatment. 1991, W.B.Saunders Co, Inc 

  4.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5th edition. 2003, Mosby Co, Inc 

  5. 정성창, 고명연, 김연중. 악관절 기능장애의 원인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3;8:69-76 

  6. C.McNeil.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Concepts and controversies.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1997;77:510-522 

  7. Helkimo M. Studies 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masticatory system II. Swed Dent J 1974;67:100-109 

  8. Kirsi Rauhala, Kyosti S, Oikarinen, Marjo-Ritta Jarvelin, Aune M Raustia. 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Northern Finland 1966 Birth Cohort. Journal of Craniomanidubular Practice 2000;18:40-45 

  9. Andeers Johansson, Lennart Unell, Gunnar E Carlsson et al. Association between social and general health factors and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bruxism in a population of 50-year-old subjects. ACTA ODONTOL SCAND 2004;62:231-236 

  10. Andeers Johansson, Lennart Unell, Gunnar E Carlsson et al. Gender difference in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 population of 50-year-old subjects. Journal of Orofacial Pain. 2003;17:29-34 

  11. Lennart Lagerstrom, Inger Egermark, Gunnare Carlsson. Sign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19-year-old individuals who have undergone orthodontic treatment. Swedish Dental Journal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2004;31:177-185 

  12. R Akhter, Hassan, H Nameki, K Nakamura, O Honda. Association of dietary habits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Bangladeshi adolescent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4;31:746-753 

  13. Olar Berhnardt, Dietmar Gesch, Christian Schwahn et al. Risk factors for headache, including TMD signs and symptoms, and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Results of the study of health in Pomerania. Quintessence int 2005;36:55-64 

  14. BA Burt, JP Carlos, LK Cohen, R Dubner, JA Gershen, JC Greene. Advances in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oral-facial diseases. Advance Dent Res 1989;3:30-41 

  15. SY Chuang. Incid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in senior dental students in Taiwan.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2; 29:1206-1211 

  16. RG Jagger, SM Woolle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Ecuadorian Indian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4;31:293-297 

  17. O Berhnardt, D Gesch, C Schwahn et al.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tinnitus patients and in a population-based group of volunteers : results of the study of health in Pomerania.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4;31:311-319 

  18. JP Goulet, GJ Lavigne, JP Lund. Jaw pain prevalence among French-speaking Canadians in Quebec and relat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ournal of Dent Res 1995;74:1738-1744 

  19. Gerald B Wexler, Michael W McKinney. Assessing treatment outcomes in two temporomandibular disorder diagnostic categories employing a validated psychometric test. Journal of Craniomandibular Practice 1995;13:256-262 

  20. OD Otuyemi, D Orth, FJ Owotade et al.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romandibualr disorders in young Nigerian adults. Journal of Orthodontics 2001;27:61-65 

  21. Edmond HN, Katherine CM, Anne S Mcmillan. Prevalence of symptoms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Hong Kong Chinese. Journal of Orofacial Pain 2001;15: 228-233 

  22. Greg Goddard, Hiroyuki Karibe. TMD prevalence in rural and urban native American populations. Journal of Craniomandibular Practice 2002;20:125-128 

  23. Yuh-Yuan Shjau, Chueh Chang.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university students of Taiwan. Community Den Oral Epidemiol 1992;20:43-47 

  24. Etsuko Motegi, Haruyo Miyazaki, Isao Ogura et al. An orthodontic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Part 1: Epidemiological research in Japanese 6-18 years olds. The Angle Orthodontist 1992;62:249-255 

  25. Jia-Kuang Liu, Min-Ywan Tsai. The prevalence of TMD in orthodontic patients prior to treatment at NCKUH in Southern Taiwan. The Functional Orthodontist 1996;November/ December:9-12 

  26. 정성창,이승우,현기용. 악관절기능장애환자의 하악운동 및 임상적 증상.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5;10: 5-16 

  27. 김선하,최재갑. 노인과 청년간의 측두하악장애증상 발현양상비교.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9;14: 25-34 

  28. 박미희, 고명연. Screening evaluation and predicting prognosis of crani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with the Solberg questionnaire.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4;19(2):111-123 

  29. 김미은,고명연. 두개하악장애환자의 임상양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3;18(2):29-41 

  30. 김선희: 일반인에 있어서 측두하악장애의 인지도 조사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0;25 (4):371-382 

  31. 손대은,안용우,박준상,고명연. 간이설문을 이용한 측두 하악장애의 역학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0;29(4):341-351 

  32. 김명희, 남동석.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측두하악장애 유병율과 그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7;27(4):523-538 

  33. JR Fricton, EL Schiffman. Reliability of a Crainomandibular Index. Journal of Dent Res 1986;64 (11):1359-1364 

  34. Arey LB.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23rd ed. Philadeplhia. 1960, W.B. Saunders Co,Inc 

  35. J Ahlberg, A Savolaninen, M Rantala et al. Reported bruxism and biopsychosocial symptoms : a longitudinal study. Community Dent Oral Epidermiol 2004;32:307-11 

  36. Thomas List, Kerstin Wahlund, Bengt Wenneberg, Samuel F. TM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revalence of pain, gender differences, and perceived treatment need. Journal of Orofacial Pain. 1999;13:9-18 

  37. Manabu Kamisaka, Hirofumi Yatani, Yoshizo Matsuka, Hajime Minakunchi. Four-year longitudinal course of TMD symptomsin an adults population and the estimation of risk factors in relation to symptoms. Journal of Oral Pain 2000;14(3):224-231 

  38. Thuan TT Dao. Gender differences in pain. Journal of Orofacial Pain 2000;14:169-184 

  39. John P. Hatch, John D Rugh, Shiro Sakai et al. Is use of exogenous estrogen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signs and symptoms. JADA. 2001;132:319-326 

  40. Berit Schie Krogstad, Asbjorn Jokstad, Bjorn L Dahl, Olav Vassend. The reporting of pain, somatic complaint, and anxiety in a group of patients with TMD before and 2 years after treatment : sex differences. Journal of Orofacial Pain 1996;10:263-269 

  41. H Nourallah, A Johansson.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 young male Saudi population.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1995;22;343-347 

  42. R Miyake, R Ohkubo, J Takehara. Oral parafunctions and association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4;31:518-523 

  43. Kazuo Tanne, Eiji Tanaka, Mamoru Sakuda. Association between malocclusion an temporomanidular disorders in Orthodontic patients before treatment. Journal of Oral Pain 1993;7(2):156-161 

  44. Marjaana Kuttila, Paivi M Niemi, Seppo Kuttila et al. TMD treatment need in relation to age, gender, stress, and, diagnostic subgroup. Journal of Orofaical pain 1998;12:67-74 

  45. Robert Ferrari, Myers. Leonaro. Whiplash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critical review. JADA 1998;129:1739-1745 

  46. A Gavish, M Halachmi, E Winocur, E Gazit. Oral habi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dolescent girl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2000;27 :2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