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세척 공정에서 활성탄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재사용 모델 개발
Model Development of Surfactant Reuse by Activated Carbons in Soil Washing Proces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1 no.2, 2006년, pp.1 - 12  

안치규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  김영미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  우승한 (국립 한밭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종문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Cs(hydrophobic organic chemicals)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 적용한 토양세척 공정에서 발생한 계면활성제 용액을 재사용하는 기술로 활성탄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계면활성제와 HOCs 의 분배를 예측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활성탄이 주입된 계면활성제/HOC 계에서 평형 상태의 농도 분배를 바탕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Triton X-100, HOC는 phenanthrene, 활성탄은 Darco 20-40, 12-20, 4-12 메쉬 이다. 개발 된 모델을 통해 계면활성제의 농도, HOC의 농도, 활성탄 주입량 그리고 활성탄 입자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산 모사를 통해 각 물질들의 분배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선택도는 활성탄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재사용 기술의 평가에 사용되었다. 본 모델의 전산모사 결과 CMC(s)를 전후하여 서로 다른 분배 양상을 보였으며 모든 경우에서 선택도 값이 1보다 커서 활성탄을 이용한 기술이 적절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모델은 계면활성제를 재사용하기 위한 복잡한 실험 이전 단계에서 간단한 전산 모사를 통해 공정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odel describing the distributions of surfactants and HOCs (hydrophobic organic chemicals) in surfactant/HOC/activated carbon systems for surfactant reuse in soil washing process was developed. The model simulation was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concentrations of surfactant, H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모델은 두 가지 피흡착제인 계면활성제와 HOC가 각각 순수하게 존재하는 시스템을 가정하여 얻은 흡착분배계수를 활용하여 이 두 물질이 동시에 존재하는 시스템에서의 흡착분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계면활성제가 활성탄에 흡착한 후 hemimicelle의 형성 등에 의한 HOC의 추가적인 흡착이나, 계면활성제의 흡착에 의한 활성탄의 기공 막힘으로 인한 HOC의 흡착 방해 현상은 고려하지 않았다.
  • 본 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개념은 Fig. 1에서와 같이 토양세척 공정에 사용한 계면활성제 용액을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질과 계면활성제를 분리한 후 계면활성제를 토양세척과정에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기 HOC로 오염된 토양(Fig.
  •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오염물질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 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토양 세척공정에서 활성탄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를 재사용하고자 하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때 계면활성제/HOC/물 계에 주입된 활성탄에 의해 변화된 계면활성제와 HOC의 평형관계를 통해 이들 물질의 분배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전산모사하였다.
  • 또한 PAHs의 선택적 분해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들은 오염물질 뿐 아니라 계면활성제도 함께 분해 하는 단점을 가지고있다(An, 200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토양세척 공정에서 발생한 계면활성제 용액을 재사용 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성탄 흡착을 제안하고 모델의 구현을 통하여 활성탄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재사용 기술의 효율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L/kg)는 활성탄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흡착분배계수를 나타낸다. 본 모델에 적용된 Freundlich 식은 모델의 최소화를 위해 계면활성제의 지속적인 흡착이 일어나는 부분에서는 선형(n = 1)으로 가정하였으며(Karickhoff et al., 1979; Chiou et al., 1983; Walters and Luthy, 1984; Schwarzenbach et al., 1993), 최대흡착량에 도달할 때 계면활성제의 액상 농도는 CMC가 되므로, 최대 흡착 량을 안다면 다음의 식으로 간단하게 Kd,s를 예측할 수 있다.
  • 활성탄 주입에 의한 HOC의 분배(Fig. 4b)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용해되지 않고 입자상으로 용액에 존재하는 phenanthrene의 농도를 흡착 상으로 가정하여 모사하였다. 초기 계면활성제 농도가 CMC(s)보다 낮을 경우 phenanthrene은 대부분 흡착 상으로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는 무엇인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는 2개 또는 이보다 많은 수의 벤젠 고리로 구성되어 있는 물질로 그 자체의 독성과 발암성, 돌연변이성으로 인해 관심이 증대 되고 있는 대표적인 소수성 유기물질(HOCs, hydrophobic organic chemicals)이다. 이러한 PAHs는 화석연료의 수송이나 저장 시 누출되거나 불완전연소로 자연계에 방출되며, 이들의 낮은 용해도로 인해 토양 유기물과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오랜 기간동안 토양 내에 잔류하게 된다(Cerniglia, 1992).
현재 주를 이루고 있는 계면활성제의 재사용 기술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계면활성제의 재사용 기술은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는 막 탈기법, 막 액액 추출, 침전 그리고 계면활성제 용액에서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기술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Lowe et al., 1999; Lowe et al, 2000; An, 2001).
본 논문에서 계면활성제와 HOCs 의 분배를 예측 할 수 있는 모델은 무엇을 바탕으로 개발했는가? HOCs(hydrophobic organic chemicals)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 적용한 토양세척 공정에서 발생한 계면활성제 용액을 재사용하는 기술로 활성탄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계면활성제와 HOCs 의 분배를 예측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활성탄이 주입된 계면활성제/HOC 계에서 평형 상태의 농도 분배를 바탕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Triton X-100, HOC는 phenanthrene, 활성탄은 Darco 20-40, 12-20, 4-12 메쉬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안치규, 김영미, 우승한, 박종문, 2006, 활성탄을 이용한 Triton X-100 용액에서의 phenanthrene의 선택적 흡착에 관한 연구, 한 국지하수토양환경, 11(2), 13-21 

  2. 우승한, 박종문, 2003, 오염토양 세척공정에서 모델링을 통한 최 적 계면활성제의 선별, 한국지하수토양환경, 8(3), 61-73 

  3. An, Y.J., 2001, Photochemical treatment of a mixed PAH/surfactant solution for surfactant recovery and reuse, Environ. Prog., 20(4), 240-246 

  4. Cerniglia, C.E., 1992, Bioremedi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iodegradation, 3, 351-368 

  5. Chiou, C.T., Porter, P.E., and Schmedding, D.W., 1983, Partition equilibria of nonionic compounds between soil organic matter and water, Environ. Sci. Technol., 17(4), 227-231 

  6. Crittenden, J.C., Luft, P., Hand, D.W., Oravltz, J.L., Loper, S.W., and Ari, M., 1985, Prediction of multicomponent adsorption equilibria using ideal adsorbed solution theory, Environ. Sci. Technol., 19(11), 1037-1043 

  7. Edwards, D.A., Luthy, R.G., and Liu, Z., 1991, Solubiliz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micellar nonionic surfactant solutions, Environ. Sci. Technol., 25(1), 127-133 

  8. Edwards, D.A., Liu, Z., and Luthy, R.G., 1994a, Surfactant solubilization of organic compounds in soil/aqueous systems, J. Environ. Eng., 120, 5-22 

  9. Edwards, D.A., Liu, Z., and Luthy, R.G., 1994b, Experimental data and modeling for surfactant micelles, HOCs, and soil, J. Environ. Eng., 120, 23-41 

  10. Edwards, D.A., Adeel, Z., and Luthy, R.G., 1994c, Distribution of nonionic surfactant and phenanthrene in a sediment/aqueous system, Environ. Sci. Technol. 28(8), 1550-1560 

  11. Gonzalez-Garcia, C.M., Gonzalez-Martin, M.L., Gomez-Serrano, V., Bruque, J.M., and Labajos-Broncano, L., 2001, Analysis of the adsorption isotherms of a non-ionic surfactant from aqueous solution onto activated carbons, Carbon, 39, 849-855 

  12. Karickhoff, S.W., Brown, D.S., and Scott, T.A., 1979, Sorption of hydrophobic pollutants on natural sediments, Water Res., 13, 241-248 

  13. Kile, D.E. and Chiou, C.T., 1989, Water solubility enhancement of DDT and trichlorobenzene by some surfactants below and above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Environ. Sci. Technol. 23(7), 832-838 

  14. Li, J.-L. and Chen, B.-H., 2002, Solubilization of model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nonionic surfactants, Chem. Eng. Sci. 57, 2825-2835 

  15. Liu, Z., Edwards, D.A., and Luthy, R.G., 1992, Sorption of nonionic surfactant onto soil, Water Res., 26, 1337-1345 

  16. Lowe, D.F., Oubre, C.L. and Ward, C.H., 1999, Surfactants and Cosolvents for NAPL Remediation: A Technology Practices Manual, Lweis Publishers 

  17. Lowe, D.F., Oubre, C.L., and Ward, C.H., 2000, Reuse of Surfactants and Cosolvents for NAPL Remediation, Lweis Publishers 

  18. Narkis, N. and Ben-David, B., 1985, Adsorption of non-ionic surfactants on activated carbon and mineral clay, Water Res. 19(7), 815-824 

  19. Newcombe, G., Drikas, M., and Hayes, R., 1997, Influence of characterised natural organic material o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II. Effect on pore volume distribution and adsorption of 2-methylisoborneol, Water Res. 31(5), 1065-1073 

  20. Park, J.-W. and Boyd, S.A., 1999, Sorption of chlorobiphenyls in sediment-water systems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s, J. Environ. Qual., 28, 945-952 

  21. Riser-Roberts, Eve, 1998 Remediation of Petroleum Contaminated Soils: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es, Lewis Publishers 

  22. Schwarzenbach, R.P., Gschwend, P.M., and Imboden, D.M., 1993, Environmental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New York 

  23. Sellers, K, 1999, Fundamentals of Hazardous Waste Site Remediation, Lewis Publishers 

  24. Shuler, M.L. and Kargi F., 2002, Bioprocess Engineering: Basic concepts. 2nd Eds., Prentice Hall, NJ. p. 343-349 

  25. Urano, K., Saito, M., and Murata, C., 1984, Adsorption of surfactants on sediments Chemosphere, 13(2), 293-300 

  26. Volkering, F., Breure, A.M., and Rulkens, W.H., 1998, Microbiological aspects of surfactant use for biological soil remediation, Biodegradation, 8, 401-417 

  27. Walters, R.W. and Luthy, R.G., 1984, Equilibrium adsorption of polyaromatic hydrocarbons from water onto activated carbon, Environ. Sci. Technol. 18(6), 395-403 

  28. West, C.C. and Harwell, J.F., 1992, Surfactant and subsurface remediation, Environ. Sci, Technol., 26(12), 2324-2330 

  29. Zheng, Z. and Obbard, J.P., 2002, Evaluation of an elevated nonionic surfactant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in a soil/aqueous system, Water Res., 36, 2667-26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