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양유로 제조한 Feta 치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ochem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Feta Cheese Made from Goat Milk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2, 2006년, pp.293 - 306  

강석남 (천안연암대학 친환경인증센터) ,  박승용 (천안연암대학 유가공기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양유로 제조한 Feta 치즈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제조 후 0 및 4℃에서 숙성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즈 제조에 사용한 산양유의 일반성분은 지방 3.47%, 단백질 2.87%, 유당 4.40%, 무기물 0.71%, 총고형분 11.48%으로서 casein/fat ratio는 6.40 이었다. 이 산양유로 FDM 40.47%, 수분 함량 59.53%인 Feta 치즈를 제조 하였으며, 이 치즈의 일반성분 함량은 지방 23.50%, 단백질 11.03%, 그리고 회분이 3.79% 이었다. Feta 치즈의 pH는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pH가 낮아졌으며(p<0.01), 숙성온도가 낮을수록 pH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p<0.01). 젖산균 수는 제조 당시에 10.21 log CFU/g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숙성 32일 경에도 젖산균의 수는 7.00 log CFU/g 이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CIE 색도는 숙성 말기에 L값과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b 값은 숙성말기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Texture profile 분석결과 제조 초기에 hardness 26.66 g, fracturability 26.66g, adhesiveness 683.04, springiness 0.96, cohesiveness 0.52, gumminess 13.75, chewiness 13.17, 그리고 resilience가 0.06을 나타내었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adhesiveness의 경우 0℃ 및 4℃ 치즈는 숙성 7일 때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숙성 14일 때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1). Cohesiveness는 제조 당일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숙성 7일차에 높아졌다가 14일차에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Gumminess는 제조 당일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4℃ 치즈는 숙성 14일차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0℃ 치즈는 7일차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Chewiness도 제조 당일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0℃ 치즈가 숙성 7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4℃ 치즈는 14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결과, 저장 7일차에 짠맛, 쓴맛, 신맛, 발효 취에 대한 강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1). 저장 14일에는 냄새 및 짠맛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각각 p<0.05, p<0.01). 기호성에서는 저장 7일차에 냄새와 저작감에서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p<0.01), 저장 14일에는 매우 낮은 평가점수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산양유의 goaty flavour는 관능적인 기호성과 평가에는 저하요인으로 예상되었지만, Feta 치즈 시식 평가에서는 오히려 독특한 맛과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향후 산양유 Feta 치즈의 산업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산양유 Feta 치즈의 지방산 중에서 단쇄지방산인 c4:0, c6:0, c8:0가 각각 0.16%, 0.88%, 0.91%로 나타났으며 총 함량비(c4:0-c8:0)는 1.04%로 나타났다. 전체지방산 함량 중에서 c16:2 (20.54%), c16:0(13.35%), c18:1w9c(12.02%) 및 18:1t(13.08%)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42.06%,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56.03%로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에는 monoen(29.67%, 10종) 함량이 dien(24.24%, 7종) 보다 높았고, trien과 polyen의 함량은 각각 1.21%(5종) 0.91% (2종)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haracteriz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xamined the organoleptic and textural evaluations of Feta cheese made from goat's milk. Nutritional compositions of goat Feta cheese were fat 23.50%, protein 11.03% with moisture content of 59.54%. Cell numbers of lactic starter cultures in Feta chees...

Keyword

참고문헌 (33)

  1. Alonso, L., Fontecha, J., Lozada, L., Fraga, M. J. and luarez M. 1999. Fatty acid composition of caprine milk: major, branch-chain, and trans fatty acids. J. Dairy Sci, 82:878-884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V.S.A 

  3. Bintsis, T. and Robinson, R. K. 2004. A study of the effects of adjunct cultures on the aroma compounds of Feta-type cheese, Food Chemistry. 88:435-411 

  4. Deamer, C and Burns, 1970. Goat production in tropics. Tech. Comm., No. 19. Commonwealth Bur. Ani. Breeding and Genetics 

  5. Folch, J., Lee, M. and Stantley, G. H. 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of Biological Chem, 226:497-509 

  6. Georgala, A., Moschopoulou, E., Aktypis, A., Massouras, T., Zoidou E., Kandarakis, I. G. and Anifantakis, E. M. 2005. Evolution of lipolysis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Feta cheese. Food Chemistry, 93(1):73-80 

  7. Grosclaude, F. 1995. Genetic polymorphisms of milk proteins. In : Proceedings of the IDF Seminar on Implications of Genetic Polymorphism of Milk Proteins on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Milk, Zurich, Switzerland, vol. 3. Int'l. Dairy Fed. Publ., Brussels. Belgium. pp. 28-29 

  8. Ha J. K. and Lindsay. R. C. 1993. Release of volatile branched-chain and other fatty acids from ruminant milk fats by various lipases. J. Dairy Sci. 76:677- 690 

  9. HaenJein. G. F. W. and Caccese. R. 1984. Goat milk versus cow milk. In Extension Goat Handbook.. G. F. W. Haenlein and Ace. D. L.(eds.). USDA Publ., Washington. D.C E-1. pp. 1-4 

  10. Haenlein. G. F. W. 2004. Goat milk in human nutrition. Small Ruminant Research 51: 155-163 

  11. Jack, F. R. and Peterson. A. 1992. Texture of hard cheese. Trends in Food Sci. and Technol.. 3:160-164 

  12. Joness. R. 1980.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at milk. : A review. J. Dairy Sci. 63:1605-1617 

  13. Kandarakis, I., Moatsou, G, Georgala, A. I. K.. Kaminarides, S. and Anifantakis, E. 2001. Effect of draining temperature on the biochcmical characteristics of Feta cheese. Food Chemistry. 72:369 -378 

  14. Katsiari. M. C., Voutsinas. L. P., Kondyli, E. and Alichanidis, E. 2002. Flavour enhanccment of low-fat Feta type cheese using a commercial adjunct culture. Food Chemistry. 79(2): 193-198 

  15. Kondyli. E., Katsiari. M. C, Masoura,. T. and Voutsinas, L. P. 2002. Free fatty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of low fat Feta type cheese made with a commercial adjunct culture. Food Chemistry. 79(2): 199-205 

  16. Korea Consumer's Cooperative Association. 2005. Milk Products. www.icoop.or.kr. coopmall.goodsmall. phtm?gg 106 

  17. LeDoux. M., Rouzeau. A., Bas, P. and Sauvant. D. 2002. Occurence of trans-C18:1 fatty acid isomers in goat milk: effect of two dietary regimens. J. Dairy Sci. 85:190-197 

  18. Litopoulou-Tzanetaki. E.. Tzabctakis. N. and Vafopoulou-Mastrojiannaki. A. 1993. Effect of the type of lactic starter on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cta chccse. Food Microbiol. 10(1):31-41 

  19. Manopoulou. E.. Sarantinopoulos. P.. Zoidou. E.. Aktypis. A.. Moschopoulou, E.. Kandarakis. I. G. and Anifantakis. E. M. 2003. Evolu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during traditional Feta cheese manufacturc and ripening. Int'l. J. Food Microbiol. 82(2): 153161 

  20. Martin, P. 1993. Polymorphisme genetique des lactoproteines caprines. Lait. 73:511-532 

  21. Moatsou, G, Moschopoulou, E, Georgala, A, Zoidou. E., Kandarakis, I., Kaminarides, S. and Anifantakis, E 2004. Effect of artisanal liquid rennet from kids and lambs abomasa on the characteristics of Feta cheese. Food chemistry. 88:517 -525 

  22. Nelson, J. H.. Jesen. R. G. and Pitas, R. E 1997. Pregastric esterases and other oral lipases. A review J. Dairy Sci. 60(3):327-362 

  23. Pappas, S. P., Kondyli, E., Voutsinas. L P. and Mallatou. H. 1994. Effect of standardization of ewes' milk for casein/fat ratio on the composition.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eta cheese. Int'l. Dairy J. 4(8):763-778 

  24. Park, Y. W. 1992. Comparision of buffering components in goat and cow milk. Small Rumin. Res. 8:75-81 

  25. Park. Y. W. 2000. Hypo-allergenic and therapeutic significance of goat milk. Food Sicence and Industy. 34(4):6-12 

  26. Remeuf, F. and Lenoir, J. 1986.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oat's milk and its rennetability, Bull. IDF Doe. No. 202.. Brussels. pp. 68-72 

  27. Robinson. R. K. 1995. A color Guide to chcese and fermented milks. Chapman & Hall. pp. 83-87. New York 

  28. Robinson. R. K. and VlallOpoulou. I. 1988. Goat's milk utilisation for fermented milk products. Dairy Industries International. 53(12):33-35 

  29. Sarantinopoulos, P.. Karantzopoulos, G and Tsakalidou, E. 2002. Effect of Enterococcus faecium on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k Feta cheese. Int. J. Food Microbiol 76(1-2):93-105 

  30. SAS. 2000.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8.0. SAS Institute. Cary. NC USA 

  31. Wium. IL., Gross. M. and Qvist. K. B. 1997b Uniaxial compression of UF Feta cheese related to a sensory texture analysis. J. of Texture Studies. 28:454-476 

  32. Wium. II. and Qvist. K. B. 1997a. Rheological properties of Feta cheese detemlined by uniaxial compression and dynamic testing. J. of Texture Studies. 28:435-454 

  33. Zlatanos. S.. I.askaridis. K.. Feist. C. and Sagredos. A. 2002. CLA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reek Feta cheese and hard cheese. Food Chemistry. 78(4):471-47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