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DSL 웹사이트 분석 및 서비스 품질평가
Analysis and Service Quality Evaluation on NDSL Website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4, 2006년, pp.69 - 91  

이주현 (충남대학교 도서관) ,  이응봉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환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DSL 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NDSL 웹사이트 전반에 대한 이용자 입장에서의 전문가 서비스 품질평가와 측정도구를 이용한 웹사이트 품질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웹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분석의 경우 NDSL 웹사이트의 완성도 분석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웹기반 서비스 품질평가는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항목 중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검색성 및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이용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검색 후 로딩 속도, 웹사이트 완성도, 사용자 체감, 개인정보보호, 메타데이터의 완성도, 웹사이트 접근성 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웹사이트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검색성 및 사용성 부분에서 검색방법과 검색결과 출력기능, 마크 리스트, Full-text 관련 항목에서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타 정보제공 기관과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의 품질을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web service by analyzing the web service problems and suggesting the solutions through the expert service quality eval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rs and website quality evaluation by measurement tools for a whole NDSL w...

주제어

참고문헌 (13)

  1. 곽호완, 곽지은, 김수진, 이정모. 2000. 국내 웹사이트 디자인의 사용성 조사: 설문조사 및 발견평가. 인지과학, 1: 33-45. 

  2. 양희철, 곽지영, 홍상우, 한성호. 1998. 웹 사용편의성 평가 Checklist 개발.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08-111. 

  3. 유재옥. 2002. 사용자 중심적 웹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제언. 도서관, 57(2): 63-78. 

  4. 이응봉, 류범종, 김우성, 김석동. 2002. 전자도서관 웹사이트의 품질향상을 위한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41-60. 

  5. 이응봉. 2002. 이용자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311-330. 

  6. 정부현. 1999. 인터넷 웹사이트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경영정보학. 

  7. 최두진. 2003. 웹 접근성 인식현황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8. 최재혁, 명노해. 2000. 웹 사용편의성 평가.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481-485. 

  9. 홍서영, 박준아, 서진원, 김진우. 2001.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 평가모형 개발, HCI 2001, 776-781. 

  10. Research-Based Web Design & Usability Guidelines. [cited 2006. 9 ]. 

  11. Dickstein R. Mills V. 2000. "Usability Testing at the University of Arizona Library: How th let the Users in on the Design."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19(3): 144-151. 

  12. Brenda Battleson, Austin Booth, and Jane Weintrop. 2001. "Usability Testing of an Academic Library Web Site: A Case Stud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7( 3): 188-198. 

  13. Cooley R., Mobasher B., and Srivastava J. 1998. "Web Mining: Information and Pattern Discovery on the World Wide Web."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