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더덕의 저장 및 유통조건에 따른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1, 2006년, pp.112 - 119  

김준호 (상지대학교 화학과) ,  최무영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식품영양학과) ,  오혜숙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신선더덕의 경우 총 167 종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타 연구결과에 비해 상당히 많은 편이었으며, 동일 더덕이라도 저장조건에 따라 종류 및 조성비율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조성 비율이 큰 10개의 성분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58%였다. 일반재배 더덕을 4가지 조건으로 15일 혹은 30일간 저장하면서 분석한 휘발성 향기성분들 중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alpha}$-cedrene, ${\beta}$-selinene, farnesane, isoledene등 7종이 모든 저장조건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각 저장조건에서 나타나는 10개의 중요 향기 성분들을 비교한 결과 모든 저장조건 및 저장기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성분은 없었으며, trans-2-hexen-1-ol이 $19.8%{\sim}56.0%$, 마대포장 후 실온저장 더덕을 제외한 1-hexanol이 $51.9%{\sim}71.1%$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었다. 마대포장 실온저장 더덕의 경우에는 cyclohexanol이 36.4%, trans-2-hexen-1-ol이 19.8%를 차지하였고, 2-hexenal이 12.7%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저장조건에서 확인되었던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beta}$-selinene, farnesane, isoledene들은 조성비율이 매우 낮거나 순위에 포함되지 못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더덕 향기성분에 대한 관능평가로 더덕의 품질을 판단한다면 항균포장 냉장저장 더덕이 모든 향취가 높았으며, 그 다음이 마대포장 냉장저장, 항균포장 실온저장, 마대포장 실온저장 순으로 향취가 감소하였다. 이는 포장재의 차이보다는 저온보관 여부가 주요 변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더덕 고유의 향취에 대한 관능평가를 통해 저장더덕의 상품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which were packed in woven polypropylene (WP) film o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 and stored for 15 and 30 days at refrigerated ($2{\sim}4^{\circ}C$) or room ($18{\sim}20^{\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출하 시기가 한정적일 뿐 아니라 저장성이 낮은 더덕은 생산량에 비해 소비량이 적은 실정으로서,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재배더덕의 최적 저장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PP포대(Woven polypropylene)와 항균 포장재(Low Density Polyetylene, thickness: 0.04mm)를 사용하여 더덕을 포장하고, 실온(20±0.5℃)과 냉장(4±0.5℃)조건에 장기 저장하면서 품질 지표의 하나로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GC/MS와 4인의 전문 조향사들의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Oh SM. 1997. Studies on increase of aroma and establishment of processing system in Codonopsis lanceolata. ARPC final report 

  2. 김상국, 강동균, 민기군, 정상환, 이승필, 이상철, 최부술. 1999. 표고에 따른 더덕의 향기 성분과 정유함량. 약작지 7:58-62 

  3. 김정한, 김경례, 김재정, 오창환. 1992. 전처리 방법에 따른 더덕의 휘발성 향기 성분 비교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4: 171-176 

  4. 김종현, 정명현. 1975. 더덕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6: 43-47 

  5. 박준영, 김영희, 김근수, 곽재진. 1989. 더덕뿌리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농화학회지 32: 338-343 

  6. 이승필, 김상국, 최부술, 이상철, 김길웅. 1995.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한국작물학회지 40: 587-593 

  7. 이승필, 김상국, 민기군, 조지형, 이상철, 김길웅. 1996a. 한국 야생더덕 모집종의 노지 재배시 생육 특성과 향기성분조성. 한국작물학회지 41: 188-199 

  8. 이승필, 김상국, 남명숙, 최부술, 이상철. 1996b. 차광과 유기물시용이 더덕의 생육 및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1: 496-504 

  9. 이승필, 김상국, 최부술, 여수갑. 1998a. 유기물 종류에 따른 더덕근의 일반성분과 정유성분 변화. 약작지 6: 21-27 

  10. 이승필, 김상국, 정상환, 최부술, 이상철. 1998b. 차광처리에 따른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변화 약작지 6: 149-153 

  11. 이승필, 김상국, 정상환, 최부술, 이상철. 1998b. 토양PH가 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함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작물학회지 6: 239-244 

  12. 이인란. 1977. 더덕의 약리와 인삼성분. 생약학회지 8: 43-48 

  13. 이재석, 김순동, 노홍균. 1996. 농업특성 연구완결보고서 - 우리 농산물과 수입농산물의 식별도감: 산채류; 더덕.p.83.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4. 정보섭, 나도선. 1977. 사삼의 terpenoid 성분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8: 49-53 

  15. 최명석, 최필선. 1999. 더덕의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 재생과 사포닌함량 변화. 약작지 7:275-2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