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Helicobacter pylori 저해효과
Antioxidative and Inhibition Activities on Helicobacter pylori of Spice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3, 2006년, pp.315 - 320  

차원섭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정환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경환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효정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소정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천성숙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최웅규 (아시아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  조영제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들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phenolics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all spice, oregano와 sage가 각각 $23.3{\pm}0.5,\;37.9{\pm}0.4,\;32.4{\pm}0.2mg/g$이었으며, 60% 에탄올 추출물은 all spice, oregano, sage가 각각 $24.5{\pm}0.3,\;32.1{\pm}0.8,\;31.4{\pm}0.4mg/g$으로 열수 추출물보다 phenolics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ABTS radical decolorization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살펴본 결과 ABTS는 all spice와 oregano가 열수 추출물과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95% 이상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F는 sage, all spice와 oregano의 60% 에탄올 추출물과 sage의 열수 추출물에서 1.2이상의 높은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를 나타내 었다. DPPH는 각 향신료의 열수 추출물과 oregano와 nutmeg의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대조구 $0.7{\times}100{\mu}M$에 비해 각 향신료의 열수 추출물과 60% 에탄올 추출물 모두 $0.2{\times}100{\mu}M$ 이하의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 산화 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 pylori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6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00{\mu}g/mL$의 고농도에서 10mm이상의 저해활성이 관찰되었다. 여러 향신료 중oregano 추출물에서 $200{\mu}g/mL$의 phenolics을 첨가하였을 때 72.2%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oregano추출물의 phenolics 첨가량에 따라 항균활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향신료를 이용하여 합성 항산화제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한 천연 항산화제와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이 높은 oregano를 이용한 천연 항균제 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atural antioxidant,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henolics isolated from spice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s contents of spices were more than 20 mg/g in water and 60% ethanol extracts of all spice, oregano and sage. Electron donating ab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양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향신료 종류인 oregano, sage, all spice, white pepper, nutmeg(17) 의 생 리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들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phenolics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all spice, oregano와 sage가 각각 23.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 ± SD (n=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2. Ames BN. 1979.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hemical causing mutation and cancer. Science 204: 589-592 

  3. Addis PB, Hassel CA. 1992. Safety issues with antioxidants in foods. In Food Safety Assessment.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4. Chan KM, Decker EA, Means WJ. 1993. Extraction and activity of carnosine, a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nt in beef muscle. J Food Sci 58: 1-4 

  5. Kytopoulos SA. 1989. N-nitroso compound formation in human gastric juice. Cancer Surv 8: 423-422 

  6. Halliwell B, Hoult RJ, Blake DR. 1988. Oxidants, inflammation, and antiinflammatory drugs. J Fed Am Soc Exp Biol 2: 2867-2870 

  7. Larson RA. 1988. The antioxidant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8. Huson B, Lewis J. 1987. Polyhydroxy flavonoid antioxidants for edible oil phospholipid as synergist. Food Chem 19: 537- 541 

  9. Wagner KH, Herr SDM, Schuh W, Elmadfa I. 2002. Anti-oxidative potenitial of melanoidins isolated from a roasted glucose-glycine model. Food Chem 78: 375-382 

  10. Eriksson CE. 1982. Lipid oxidation catalysts and inhibitor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s. Food Chem 9: 3-19 

  11. Fukuda Y, Nagata M. 1986. Chemical aspects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sesame seed oil and the effect of using the oil for frying. Agric Biol Chem 50: 857-861 

  12. Jang MS, Kim YS, Oh C. 1999. Western cooking. Sinkwang Publishing Co., LTD., Seoul. p 19-33 

  13. Park KW. 1996. Spice vegetable cultivation and use.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p 1-8 

  14. Choi YJ. Perfume, medicine taste, spice, plant encyclo-pedias. Ohsung Publishing Co., LTD., Seoul. p 39-50 

  15. Frag RS, Badei AZMA, Baroty GSAE. 1989. Influence of thyme and clove essential oils in cotton seed oil oxidation. J Am Oil Chem Soc 66: 800-804 

  16. Farag RS, Badei AZMA, Hewedo FM, Baroty GSA. 1989.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on linoleic and oxidation in aqueous media. J Am Oil Chem Soc 66: 792-799 

  17. Cho YB, Park WP, Jung SY. 2000. A study on effects of favor in pizza added oregano and kimchi. Korean J Food & Cookery Sci 8: 23-30 

  1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20. Pellegrini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ibis (3-eht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f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21. Andarwulan N, Fariaz D, Wattimena GA, Shetty K. 1999. Antioxidant activity associated with lipid and phenolic mobilization during seed germination of Pangium edule Reinw. J Agric Food Chem 47: 3158-316 

  22.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105: 302-310 

  23. Chun SS, Cho KY, Choi C. 1995. Change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sesame meal protein with phytase and prote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95-901 

  24. Choi HS. 1994. Peroxide and nutrition of lipids. J Korean Soc Food Nutr 23: 867-878 

  25. Pratt DE. 1992.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material.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54-72 

  26. Higasi GS. 2000. Apprais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from vegetables. Jap J Food Ind 57: 56-64 

  27. Clark AM, El-Feraly FS, Li WS.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J Pharm Sci 70: 951-952 

  28. Hertong MCL, Feskens EJM, Hoffman PCH, Katan MB, Kromhout D.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29.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 25: 383-385 

  30.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