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작약 추출물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r the extracts from Paeonia japonica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2 no.1, 2006년, pp.54 - 58  

신선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성인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생제 내성균에 대처 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 및 개발비가마 필요하며 새로운 항생제들이 생산되어도 균들은 빠르면 수개월내에 내성을 획득한다. 이 문제의 해결방법의 하나로 전통적으로 감염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온 백작약 추출물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에 대한 항균활성 보유여부를 조사한 결과 백작약의 dichloromethane 추출물이 MRSA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앞으로 새로운 항균재로서의 개발 및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ied roots of Paeonia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methanol and water aeriall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were used to separate the fractions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determine the mass. Dichloromethan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물로부터 항균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의 일환 으로 우리나라에서 오래 동안 사용되어 인체에 큰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한약 재료 중의 하나인 백작약을 여러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항균활성이 있는 추출물을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게 함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성국, 정희종. 1995. 무화과 잎의 용매분획 및 항미생물 활성. 한국농학회지 38, 289-292 

  2. 강성규, 김용두, 박석규. 1995. 갓(Brassia juncea) 추출물 의 항균물질이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 의 균체성분의 조성 및 누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 280-285 

  3. 강수철, 문영희. 1992 봉선화의 항균활성성분과 항균력 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23, 240-247 

  4. 권혁세. 1998. 작약. p.311, 익생양술, 도서출판 하나로, 서울 

  5. 김선재, 박근형. 1996. 부추의 항미생물 활성물질. 한국식품과학회지 28. 604-608 

  6. 김영호, 성인화. 2001. Grapefruit 종자 추출물의 MRSA 에 대한 항균활성과 안전성. 대한화학요법학회지 20, 383-394 

  7. 김재길. 1997. 황금. p.181, 이주성, 원색천연약물대사전, 하권, 도서출판 남산당, 서울 

  8. 김재길, 1997. 황백. p.362. 이주성, 원색천연약물대사전, 상권, 도서출판 남산당, 서울 

  9. 김현수, 신재옥. 1997.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의 항균효 과 및 분리 정제.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5, 183-188 

  10. 마승진, 고병섭, 박근형. 1995. 두룹수피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한국식품과학회지 27, 807-812 

  11. 박수현, 성인화. 2000. 백두옹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화학요법학회지 19, 383-394 

  12. 박주성, 심창주, 정재홍, 이규희, 성창근, 오만진. 1999. 유백피(Ulmi cortex)의 항균활성. 식품영양과학회지 28, 1022-1028 

  13. 배기환, 김봉희, 명평근, 변재하. 1990. 충치균에 대한 생 리활성 생약성분의 분리 및 약효 평가 (1) 튜우립 나뭇 잎의 항균성 성분과 안정성. 약학회지 34, 106-111 

  14. 이홍용, 김치경, 성태경, 문택규, 임치주. 1992. 유근피 추출물의 항세균 작용.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0, 1-5 

  15. 조강진, 이승인, 김영태, 황영수. 1995. 참비름(Amaranthus mangostnus)에서 항바이러스성 단백질(AAp29)의 분리 및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38, 528-533 

  16. 조성환, 김영록. 2001.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황 금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 959- 963 

  17. 최무영, 최은정, 이은, 임태진, 차배천, 박희준. 1997. 솔 잎 추출물의 항균성 검색.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5, 293-297 

  18. 하형수, 문영희. 1975. 의성개나리 과피 성분의 항진균 작용에 관한 연구(1). 생약학회지 6, 143-147 

  19. Adeniyi ,B.A., H.A. Odelola, and B.A. Oso. 1996. Antimicrobial potentials of Diospyros mespiliformis (Ebemnaceae). Afr. J. Med.Sci. 25, 221-224 

  20. Adetumbi M.A., and B.H. Lau. 1983. Allium sativum(garlic)-a natural antibiotic. Med. Hypothesis 12, 227-237 

  21. Ankri, S., and D. Mirelman. 1999. Antimicrobial properties of allicin from garlic. Microbes Infect. 1, 125-129 

  22. Aydin, A., G. Ersoz, O. Tekesin, E. Akcicek, and M. Tuncyurek. 2000. Garlic oil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m. J. Gastroenterol. 94, 1200-1202 

  23. Chen, GW., J.G. Chung, H.C. Ho, and J.G. Lin. 1999. Effects of the garlic compound diallyl sulphide and diallyl disulphide on arylamine N-acetyltransferase activity in Klebsiella pneumoniae. J.Appl. Toxicol. 19, 75-81 

  24. Cox, PA. 1994. The ethnobotanical approach to drug discovery: Strengths and limitations, p. 25-41. In G.T. Prance(ed.), Ethnobotany and the search for new drugs. Wiley, Chichester (Ciba Foundation Symposium 185) 

  25. Didry, N., M. Pinkas, and L. Dubreuil. 1987. Antibacterial activity of species of the genus Allum. Pharmazie 42, 687-688 

  26. Elnima, EL, S.A. Ahmed, A.G. Mekkawi, and J.S. Mossa. 1983.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and onion extracts. Pharmazie 38, 747-748 

  27. Grundidza, M., and N. Gaza. 1993. Antimicrobial activity of Dalergia melanoxylon. J. Ethnopharmacol. 40, 127-130 

  28. Hiramastsu, K., N. Aritaka, H. Hanaki, S. Kawasaki, Y. Hosoda, and S. Hori. 1997.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issemination of heterogeneously resistant strains in Japanese hospital. Lancet 350, 1670-1673 

  29. Hirasawa, M, N. Shouji, T. Neta, K. Fukushima, and K. Tanaka. 1999. Three kinds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Lentinus eodes (Berk) Sing(Shitake, an edible mushroom). Int. J. Antimicro.Agents. 11, 151-157 

  30. Moellering, R.C. Jr. 1991. The enterococcus: A clinical example of the impac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on therapeutic options. J. Antimicrob. Chemother. 18, 1-12 

  31. O'Gara, EA., D.J. Hill, D.J. and Maslin. 2000. Activities of garlic oil, garlic powder, and their diallyl constituents against Helicobater pylori. Appl. Environ. Microbiol. 66, 2269-2273 

  32. Ross, ZM., E.A. O'Gara, D.J. Hill, H.V. Sleightholme, and D.J. Maslin. 2001. Antimicrobial properties of garlic oil against human enteric bacteria evaluation of methodologies and comparisons with garlic oil sulfides and garlic powder. Appl. Environ. Microbiol. 67, 475-480 

  33. Stephen, H. B. 1999. Herbal Antibiotics. 1st ed. p. 1-17, Vermont, Storey Book 

  34. Wahdan, HA. 1998. Cause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oney. Infection 26, 26-31 

  35. Wallaart, T.E., N. Pras, and W.J. Quax.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dihydroartemic acid hydroperoxide from Artemisia annula: A novel biosynthetic precursor of artemisinin. J. Nat. Prod. 62, 1160-1162 

  36. Yam, T.S, S. Shah, and J.M. Hamilton-Miller. 1997. Microbiological activity of whole and fractionated crude extracts of tea(Camellia sinensis) and of tea components. FEMS Microbiol. Lett. 152, 169-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