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Paeonia japonica has been widely used for gynecopathy and analgesic effect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effect of Paeonia japonica extracts(PJE) by using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MEF cells). Methods: We evaluated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작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free radical 소거능을 DPPH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대표적 항산화제인 BHT와 백작약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을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백작약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높은 radical 소거 활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 처방에 다용되는 백작약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부인과 및 산과 분야에 대한 임상적용 가능성의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백작약은 기존의 인공합성 항산화제보다 안전하고 뛰어난 효능을 가지는 항산화제로서 이용될 가치가 있으며, 단독 혹은 다른 약물과 함께 각종 한방부인과학 영역의 질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인 백작약의 에탄올추출물을 생체 조직의 기원세포가 될 수 있는 fibroblast cell에 직접 투여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하고 이후 난임을 중심으로 한 부인과 및 산과 분야 임상 적용 가능성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MEF cells)를 이용하여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 논문을 통해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인 백작약의 에탄올추출물을 생체 조직의 기원세포가 될 수 있는 fibroblast cell에 직접 투여하여 항산화 활성을 규명하고 이후 난임을 중심으로 한 부인과 및 산과 분야 임상 적용 가능성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MEF cells)를 이용하여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 논문을 통해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의 특징은? 생체 내에서 과도하게 생성된 유해 산소를 소거시킴으로써 노화를 억제하고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1). 활성산소종(reactive oxigen specis, ROS)은 난자의 성숙으로부터 수정, 배아발달과 임신까지 다양하게 생리적 진행에 관여하고2) 세포의 성숙과 발생과정을 저해하며 불임을 유발하기도 한다3).
白芍藥이란? 白芍藥(Paeonia japonic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多年生 草本인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뿌리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약재로 한의학적으로 養血柔肝, 緩中止痛, 斂陰收汗하는 효능이 있는 補血劑로 분류하며6) 각종 통증을 풀고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 가슴, 옆구리와 배 아픈 증상, 팔다리의 경련과 통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7).
백작약이 MEF cells의 생존율, 세포 내핵의 변화, 세포 주기의 변화, apoptosis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일련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1. 백작약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DPPH assay를 통해 관찰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높은 radical 소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MTT assay를 통한 산화적 손상 방어 능력 확인 실험을 통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능력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H2O2의 처리 농도와 상관없이 모든 농도에서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였다. 3. DAPI staining을 통해 백작약이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MEF cells 내핵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4. 세포주기분석에서 백작약은 산화적 손상을 받은 MEF cells의 G0/G1기의 cell cycle pattern을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5. Annexin Ⅴ-FITC/PI assay에서 백작약이 산화적 손상을 받은 MEF cells에 대한 apoptosis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정일윤 등. 백작약 열수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유효성분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3;32(5):739-40. 

  2. 성준호. 山藥의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에 대한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3. 나원흠 등. 생쥐 착상전 배아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ATF4 유전자의 발현과 존재 부위. 발생과 생식. 2006;10(2):105-13. 

  4. 오헌 등. 방사선 장해에 대한 백작약의 방호효과. 방사선방어학회지. 2002;27(3):181-8. 

  5. 박순기 등. 백작약 추출물이 항산화활성, LDL 산화 억제 및 혈전 용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9;30(2):88-103. 

  6.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본초학. 서울:영림사. 2000:581. 

  7. 김현석. 신선 채소류를 위한 천연 식품보존제의 개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진. 백작약, 어성초, 참취에 의한 마우스 면역반응능의 항진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9. 권미화. Hairless 마우스에서 백작약추출물이 피부노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10. 이금홍 등. 보혈 약재인 당귀, 지황, 백작약, 하수오의 면역 촉진 효과 비교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6):1507-15. 

  11. 김인덕 등. LPS로 유도된 급성 간독성에 대한 백작약 추출물의 보호 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08;23(3):222-6. 

  12. 박혜란 등. 백작약 조다당분획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한 암세포 증식억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3;32(1):149-54. 

  13. 조정훈, 이경섭, 송병기. 생쥐의 體外受精(IVF) 各 段階에 對한 四物湯의 效果.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1):94-111. 

  14. 신헌태. 사물탕 투여가 임신 랫드의 모체 및 태자에 미치는 영향 : 유해금속(As, Cd, Pb, Hg)과 양-반응관계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9. 

  15. 윤희정, 이경섭, 송병기. 四物湯의 婦人科的 運用에 대한 文獻的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7;10(2):15-34. 

  16. 전성진. 사물탕 용량별 투여가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9. 

  17. 이기태 등. 四物湯이 손상된 말초신경섬유 재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전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5;14(2):107-12. 

  18. 안희덕. 四物湯의 抗癌劑 副作用 抑制에 關한 實驗的 硏究. 동의병리학회지. 1995;9(2):341-59. 

  19. 정영섭. 卵巢切除한 흰쥐의 고지혈증에 미치는 加味事物湯의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2. 

  20. 이창수, 양재하, 강효신. 益母草와 四物湯加益母草가 卵巢를 摘出한 雌性白鼠의 호르몬에 미치는 影響. 제한동의학술원 논문집. 1995;1(1):80-93. 

  21. 최재영, 윤상협, 이원철. 흰쥐의 중대 뇌동맥 폐쇄 후 當歸芍藥散 투여가 여성호르몬 및 뇌위축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179-94. 

  22. Lim J, Luderer U. Oxidative Damage Increases and Antioxidant Gene Expression Decreases with Aging in the Mouse Ovary. Biology of Reproduction. 2011;84(4):775-82. 

  23. 박선동, 문진영. 시호사물탕 메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대한본초학회지. 2001;16(1):29-40. 

  24. 김태윤. Secreted-superoxide dismutase(s-SOD) 유전자가 과발현된 형질전환 마우스 개발과 생체 피부 면역 및 보호 체계에 미치는 영향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3. 

  25. 강경아 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생약추출물의 항산화활성 검색. 생약학회지 2005;36(3):159-63. 

  26. 최진호. 팔미지황환이 남성관련 생식세포의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27. Liu J et al. Delay in oocyte aging in mice by the antioxidant N-acetyl- L-cysteine(NAC). Hum Reprod. 2012 May;27(5):1411-20. 

  28. 이보연. 난소의 노화. 대한폐경학회지. 1999;5(2):129-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