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Determination of Sesamin and Sesamolin in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Using UV Spectrophotometer and HPLC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1 no.1, 2006년, pp.95 - 100  

Kim, Kwan-Su (Department of Medicinal Plant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Lee, Jung-R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RDA) ,  Lee, Joon-Seol (Mokp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samin and sesamolin, antioxidant lipidsoluble lignan compounds, are abundant in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 oil and provide oxidative stability of oil related to sesame quality. The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s of 403 sesame land races of Korea were determined by HPLC analysis of methanol 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lignans such as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s among Korean sesame landraces using HPLC and UV methods, and to evaluate their efficiencies for a massive screening ofsesame seed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usaranon, K., W. Suntornsuk, and L. Suntornsuk. 2006. Comparison of UV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the analysis of flunarizine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issolution test. J. Pharm. Biomed. Anal. In pressing 

  2. Chang, L. W., W. J. Yen, S. C. Huang, and P. D. Duh.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sesame coat. Food Chem. 78 : 347-354 

  3. Fukuda, Y., T. Osawa, M. Namiki, and T. Saki. 1985. Studies on antioxidative substances in sesame. Agric. Biol. Chem. 49 : 301-306 

  4. Fukuda, Y., M. Nagata, T. Osawa, and M. Namiki. 1986. Chemical aspects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sesame seed oil, and the effect of using the oil for frying. Agric. Biol. Chem. 50 : 857-862 

  5. Kamal-Eldin, A., L. A. Appelqvist, and G. Yousif. 1994. Lignan analysis in seed oils from four Sesamum species: comparison of different chromatographic methods. J. Am. Oil Chem. Soc. 71 : 141-147 

  6. Katsuzaki, H., S. Kawakishi, and T. Osawa. 1994. Sesaminol glucosides in sesame seeds. Phytochemistry 35 : 773-776 

  7. Kim, G. S., D. H. Kim, M. R. Jeong, I. B. Jang, K. B. Shim, C. H. Kang, S. E. Lee, N. S. Seong, and K. S. Song. 2004. Quantitative analysi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various cultivars of sesame. Kor. J. Crop Sci. 49 : 496-502 

  8. Lee, S. W., C. W. Kang, D. H, Kim, S. Yasumoto, and M. Kasuta. 1999. Varietal variation of sesamin, sesamolin, and oil contents according to seed-colors in sesame. Kor. J. Breed. 31 : 286-292 

  9. McKevith, B. 2005. Nutritional aspects of oilseeds. Nutrition Bulletin 30 : 13-26 

  10. Moazzami, A. A., R. E. Andersson, and A. Kamal-Edlin. 2006. HPLC analysis of sesaminol glucosides in sesame seeds. J. Agric. Food Chem. 54 : 633-638 

  11. Ryu, S. N., S. Z. Park, S. S. Kang, and S. J. Han. 2003. Determination of C3G content in blackish purple rice using HPLC and UV-Vis spectrophotometer. Kor. J. Crop Sci. 48: 369-371 

  12. Shyu, Y. S. and L. S. Hwang.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 of lignan glycosides from unroasted Burma black sesame meal. Food Res. Int. 35 : 357-365 

  13. Suja, K. P., A. Jayalekshmy, and C. Arurnughan.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sesame cake extract. Food Chem. 91: 213-21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