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흡충은 담도계를 침범하여 황달, 담도염 및 담도계암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으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감염의 빈도가 줄지 않고 있다. 한편 간흡충에 감염이 되더라도 증상이 없이 발견되기도 한다. 평균 3.3%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대상 환자 1,063명의 남녀 성비는 3.6:1로 남자가 높았으며, 남녀 모두 40~6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내원 당시 환자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76.5%로 가장 많았으며, 증상 중에는 우상복부 동통이 전체의 7.6%, 상복부 동통이 7.2%를 차지하였다. ALP는 85.2%에서, GGT는 56.0%에서 정상범위를 보였으며 그리고 호산구수의 증가는 전체의 66.1%를 차지하였다. 복부초음파 소견은 정상적인 경우가 전체의 46.5 %, 지방간은 22.9% 그리고 coarse parenchymal echogenicity는 7.0%를 차지하였으며 ERCP 검사에서는 전체의 32.5%에서 말단부의 담도 확장 소견을 보였다.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계 질환으로는 지방간이 21.0%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담낭 결석이 4.7%로 빈도가 높았으며, 또한 담도계의 종양은 전체 환자의 3.5%를 차지하였다. 간흡충증은 여전히 우리나라에서 빈번히 발견되고 있으며 자각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없더라도 민물고기 생식을 한 적이 있거나, 간검사의 이상, 호산구수 상승 또는 영상학적 검사에서 기생충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간흡충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간흡충은 담도계를 침범하여 황달, 담도염 및 담도계암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으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감염의 빈도가 줄지 않고 있다. 한편 간흡충에 감염이 되더라도 증상이 없이 발견되기도 한다. 평균 3.3%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대상 환자 1,063명의 남녀 성비는 3.6:1로 남자가 높았으며, 남녀 모두 40~6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내원 당시 환자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76.5%로 가장 많았으며, 증상 중에는 우상복부 동통이 전체의 7.6%, 상복부 동통이 7.2%를 차지하였다. ALP는 85.2%에서, GGT는 56.0%에서 정상범위를 보였으며 그리고 호산구수의 증가는 전체의 66.1%를 차지하였다. 복부초음파 소견은 정상적인 경우가 전체의 46.5 %, 지방간은 22.9% 그리고 coarse parenchymal echogenicity는 7.0%를 차지하였으며 ERCP 검사에서는 전체의 32.5%에서 말단부의 담도 확장 소견을 보였다.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계 질환으로는 지방간이 21.0%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담낭 결석이 4.7%로 빈도가 높았으며, 또한 담도계의 종양은 전체 환자의 3.5%를 차지하였다. 간흡충증은 여전히 우리나라에서 빈번히 발견되고 있으며 자각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없더라도 민물고기 생식을 한 적이 있거나, 간검사의 이상, 호산구수 상승 또는 영상학적 검사에서 기생충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간흡충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Background: $Clonorchis$$sinensis$ is an important human parasite that is usually found in the biliary tract. It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in Taiwan, Japan, China and Korea. About 2 million people are estimated to be infected with $C.$$sinensis$...
Background: $Clonorchis$$sinensis$ is an important human parasite that is usually found in the biliary tract. It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in Taiwan, Japan, China and Korea. About 2 million people are estimated to be infected with $C.$$sinensi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e of infestation and clinical aspects of $C.$$sinensis$. Material and Methods: We evaluate 1,063 patients with clonorchiasis retrospectively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nd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3. All patients were diagnosed by a positive stool test for $C.$$sinensis$ eggs.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data and imaging studi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ratio between affected males and females was 3.6 : 1. The highest infection rate was noted in the 40-60 age groups regardless of sex. The infection rate of $C.$$sinensis$ among the residents of urban areas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s. There were 813 (76.5%) patients who were asymptomatic. Common symptoms included right upper abdominal pain in 7.6% and epigastric pain in 7.2%. For the laboratory studies, serum ALP and GGT levels were within normal limits in 85.2% and 56.0% respectively. Peripheral eosinophilia was noted in 66.1% of cases. Of the 83 cases undergoing ERCP, 27 cases (32.5%) showed peripheral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duc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sinensis$ infection is still endemic even in rural areas of Korea and that asymptomatic infections are common. Further work should be focused on th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subclinical infection.
Background: $Clonorchis$$sinensis$ is an important human parasite that is usually found in the biliary tract. It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in Taiwan, Japan, China and Korea. About 2 million people are estimated to be infected with $C.$$sinensi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e of infestation and clinical aspects of $C.$$sinensis$. Material and Methods: We evaluate 1,063 patients with clonorchiasis retrospectively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nd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3. All patients were diagnosed by a positive stool test for $C.$$sinensis$ eggs.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data and imaging studi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ratio between affected males and females was 3.6 : 1. The highest infection rate was noted in the 40-60 age groups regardless of sex. The infection rate of $C.$$sinensis$ among the residents of urban areas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s. There were 813 (76.5%) patients who were asymptomatic. Common symptoms included right upper abdominal pain in 7.6% and epigastric pain in 7.2%. For the laboratory studies, serum ALP and GGT levels were within normal limits in 85.2% and 56.0% respectively. Peripheral eosinophilia was noted in 66.1% of cases. Of the 83 cases undergoing ERCP, 27 cases (32.5%) showed peripheral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duc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sinensis$ infection is still endemic even in rural areas of Korea and that asymptomatic infections are common. Further work should be focused on th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subclinical infe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저자는 간흡충증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의 참고 지침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 하였다.
제안 방법
간흡충증의 진단은 대변 충란검사에서 간흡충 충란이 확인된 환자로 하였다. 이들 대상 환자의 감염률, 임상 증상, 성별, 연령별 및 지역별 분포,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gamma glutamyltransferase (GGT), 백혈구, 호산구수, 복부초음파소견, ERCP 소견 및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 질환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ST는 35 IU/L이하, ALT는 40 IU/L이하, ALP는 270 IU/L이하, GGT는 50 IU/L이하, 호산구는 총 백혈구수의 3% 이하를 정상치로 간주하였다.
이들 대상 환자의 감염률, 임상 증상, 성별, 연령별 및 지역별 분포,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gamma glutamyltransferase (GGT), 백혈구, 호산구수, 복부초음파소견, ERCP 소견 및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 질환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ST는 35 IU/L이하, ALT는 40 IU/L이하, ALP는 270 IU/L이하, GGT는 50 IU/L이하, 호산구는 총 백혈구수의 3% 이하를 정상치로 간주하였다. 통계 처리는 모든 소수는 첫째 자리까지 표시하였으며,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는 반올림 하였다.
전체 환자 중에서 증상이 없는 환자 813명을 대상으로 AST, ALT, ALP, GGT, 총 빌리루빈, 백혈구 및 호산구수 백분율을 서로 비교하였다. AST 범위는 측정환자 792명 중에서 정상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630명(79.
대상 데이터
2001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병원 외래에서 간흡충증으로 진단된 환자 380명과 건강 증진 센터에서 진단된 환자 683명을 포함한 총 1,06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간흡충증의 진단은 대변 충란검사에서 간흡충 충란이 확인된 환자로 하였다.
전체 환자 1,063명중에서 ERCP를 시행한 83명을 대상으로 담낭, 총담관 및 간내 담관의 모양을 비교하였다. 담낭의 음영 결손은 11명(13.
성능/효과
1) 간흡충은 민물고기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여 담도계에 기생하면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을 포함하여 중국, 대만, 일본 등 극동아시아에 널리퍼져 있다.2) 우리나라에서는 1915년 처음으로 보고 된 이래 약 200만 명의 감염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낙동강 유역 주위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경제적 사회적인 활동성이 높은 40대에서 60대 연령층의 남자에서 높은 감염률을 나타낸다.3-6)
전체 대상 환자 1,063명 중에서 건강 증진센타에서 간흡충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683명으로 같은 기간 동안에 건진 센타를 방문한 전체 수진자 20,614명의 3.3%를 차지하였다(Table 1). 내원 당시 환자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813명(76.
7%)에서 발견되었다. 종양 중에서 간세포암이 23명(2.2%)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Klatskin 종양이 16명(1.5%), 담낭암 7명(0.7%), 총담관암 6명(0.6%), 췌장암 5명(0.5%) 그리고 팽대부암이 2명(0.2%)이었다(Table 8).
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활동의 기회가 많고 담수어 생식에 대한 선호도가 여성에 비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의 비는 3.6:1로 여전히 남자의 비율이 높지만 과거에 비해 여자의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특히 경제적 활동 연령인 40대에서 60대의 남자에서 78.
의 연구에서는 도시 및 도시 근교의 주민보다 강을 낀 시골지역의 경우가 감염률이 2배 정도 더 높았는데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 2 중간 숙주인 담수어를 생식하는 습관이 있어 특히 하천 유역의 주민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도시 지역의 환자 분포가 예상외로 높아 도시 지역 주민들에서도 간흡충증의 감염 위험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는 산업과 교통의 발달로 도시에서도 쉽게 담수어를 접할 수 있는 점,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멀리 시골지역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점 그리고 내원한 환자들의 분포가 도시지역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대상 환자의 76.5%에서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처럼 간흡충에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담수어 생식의 위험성이나 간디스토마에 대한 심각성을 덜 인식하게 되고, 이런 요인이 간흡충증의 감염률이 감소하지 않는 원인중의 하나로 생각되며 특히 민물고기 생식이 많은 환자에서 증상이 없이 오랜 기간이 지나게 되면 간담도계에 심각한 질환을 초래할 수도 있다.
2%에서 정상범위를 보였다. 증상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간검사에서 호산구수의 백분율은 64.3%, GGT는 40.4%에서 정상범위보다 상승되어 있었으며 전체 대상의 환자에서 호산구 66.1%, GGT 44.0%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비록 증상이 없는 환자라 할지라도 생화학적 검사에 이상소견이 보이는 경우 다른 원인을 밝히기 어려운 경우에는 간흡충증 감염여부도 고려해 보아야겠다.
본 연구에서 간흡충과 연관된 간담도계 질환으로는 지방간이 21.0%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담낭 결석이 4.7%을 차지하였다. 이는 간흡충증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기보다는 우리나라에서 문제시되는 바이러스성 간염, 비만 및 만성 음주 인구의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7%)에서 간흡충증이 동반된 사실을 보고하였다. 동반된 간담도계 질환이 있는 환자 중 23명(2.2%)에서 간세포암이 동반되었으며, 36명(3.5%)에서 담도계암을 동반하였고 그 중에서 특히 Klatskin 종양이 16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평균 3.3%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대상 환자 1,063명의 남녀 성비는 3.6:1로 남자가 높았으며, 남녀 모두 40∼6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내원 당시 환자들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76.
2%를 차지하였다. ALP는 85.2%에서, GGT는 56.0%에서 정상범위를 보였으며 그리고 호산구수의 증가는 전체의 66.1%를 차지하였다. 복부초음파 소견은 정상적인 경우가 전체의 46.
1%를 차지하였다. 복부초음파 소견은 정상적인 경우가 전체의 46.5%, 지방간은 22.9% 그리고 coarse parenchymal echogenicity는 7.0%를 차지하였으며 ERCP 검사에서는 전체의 32.5%에서 말단부의 담도 확장 소견을 보였다.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계 질환으로는 지방간이 21.
5%에서 말단부의 담도 확장 소견을 보였다. 간흡충과 동반된 간담도계 질환으로는 지방간이 21.0%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담낭 결석이4.7%로 빈도가 높았으며, 또한 담도계의 종양은 전체 환자의 3.5%를 차지하였다.
대상 환자 1,063명을 거주지 분포에 따라 분류해 보았을 때 대구 지역은 499명(46.9%), 중소도시(포항, 구미, 경산, 김천, 칠곡, 경주, 안동, 울산) 지역은 212명(19.9%), 그 외 읍면 지역은 352명(33.2%)의 빈도를 보여서 중소도시를 포함한 도심 지역에 살고 있는 환자들이 간흡충에 노출된 빈도가 전체 66.8%로 읍면지역의 환자들에 비해 더 높았다.
대상 환자 중에서 복부초음파 검사를 실시한 862명의 초음파 소견을 분석해 보면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401명(46.5%)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지방간이 197명(22.9%)으로 두번째로 많았고, 거친 간실질에코를 보이는 경우가 60명(7.0%), 담낭 결석 57명(6.6%), 간외 담도의 확장 없는 말초 간내 담도 확장 35명(4.1%), 담낭 용종 27명(3.1%), 간 낭종 25명(2.9%), 간내 및 간외 담도확장 19명(2.2%), 간세포암 10명(1.2%) 그리고 담낭벽 비후가 6명(0.7%)이었으며 담도암의 경우는 5명(0.6%) 이었다(Table 6).
6%)에서 확인되었다. 간내 담도의 확장은 43명(54.2%)으로 ERCP 소견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 중에서 특히 변연부의 확장 소견은 27명(32.5%)으로 변연부가 아닌 간내 담도의 확장 18명(21.7%)에 비해 더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간내 담도의 협착은 2명(2.
후속연구
간흡충이 담도에 기생하면서 병변을 일으키는 양상은 기생충 자체에 의한 담도 폐쇄, 담관의 국부 손상과 조직박리 등의 파괴작용, 배설물과 세균 침입으로 인한 담관의 염증성 병변에 의해 유발된다.6) 간흡충증과 담관암과의 관계는 과거 감염 사실이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현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인과 관계를 추정하기는 어려우며 향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함께 담도암 환자에서 과거 감염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