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및 Codex에서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 비교
Comparison between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by Codex and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1 no.1, 2006년, pp.14 - 22  

이미경 (안동대학교) ,  이서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박성관 (식품의약품안전청) ,  홍기형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달수 (식품의약품안전청) ,  장영미 (식품의약품안전청) ,  권용관 (식품의약품안전청) ,  박성국 (식품의약품안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와 Codex에서의 식품첨가물 사용기준패턴 및 식품분류방법에 따른 차이 때문에 양자간의 첨가물 사용기준을 비교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enzoic acid, food red No. 2, sulfur dioxide, polysorbate 60에 대해 첨가물별 사용기준 대조표와 된장, 고추장, 라면에 대해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를 작성하였다. 첨가물별 사용기준 대조표의 작성에서는 식품분류방법에서의 차이 때문에, 그리고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에서는 국내 첨가물 사용기준 설정 패턴의 혼용 때문에 많은 문제점과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기준대조표는 규제당국 및 식품산업계에서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기준의 국가간, 식품간 비교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anticipated that difficulties are encountered in comparing the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between Korean and Codex system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use level pattern and food classification metho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struct comparison tables between Korean and Codex s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2004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연구인 식품첨가물공전 개선을 위한 연구'' 결과의 일부임을 밝히며 연구비의 지원에 감사하는 바이다.
  • 대조표가 작성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덧붙여 첨가물의 사용기준 비교시 무역상의 논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 식품첨가물공전의 식품명이 식품공전을 따르고 있지만 첨가물의 기준설정시의 여러 상황에 따라 식품명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통일성이 결여된 점이 있다. 따라서 대조표에는 해당되는 식품공전의 식품명 및 식품항목 번호도 포함하여 혼돈의 여지를 없애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경우 첨가물 명과 함께 첨가물공전번호를 함께 기입하였으며 Codex의 경우도 첨가물의 INS를 기입하였다.
  •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기준 패턴에따라 그 예로서 첨가물을 한 종류씩 선택하여 사용기준 대조표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즉 positive list 형태로 관리되는첨가물로는 benzoic acid, negative list 형태로 관리되는 food red No.
  • 점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첨가물의 사용기준 비교에서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밝혀내고, 첨가물 및 식품별 사용기준 비교 대조표를 고안하여 사용기준의 비교에 활용되도록 하였다.
  • 본연구에서 는 첨가물 및 식품별 사용기준 대조표를 만들어 냄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기준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Table 1~4), 또한 이러한 작업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점도 강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C" means chemical additives and "N", natural additiv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Lee, C.W.: Harmonization of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Final Rept fo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HMP-98-P-0030, pp. 81-238 (2001) 

  2. Lee, M.G., Baik, H.H., Oh, W.T. and Lee, S.R.: Harmonization of Korean food additives with Codex. Final Rept for Korea FDA, Seoul, Korea. pp. 62-71 (2004) 

  3. Lee, M.G., Oh, W.T., Lee, S.R., Lee, T.S., Jang, Y.M., Hong, K.H., Park, S.K., Kwon, Y.K. and Han, Y.J.: Examination of food category system to harmonize the Korean food additives with Codex standards. Food Sci. Ind. 38(4), 78-87 (2005) 

  4. KFDA: Food Additives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4) 

  5.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2-2004) 

  6.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37th Session of the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Agenda-GSFA. FAO/WHO, Rome, Italy (2005) 

  7. Lee, M.G., Baek, H.H., Lee, S.R., Lee, T.S., Jang, Y.M., Hong, K.H., Park, S.K., Kwon , Y.K. and Han, Y.J.: Management pattern for usage and Codex status of Korean food additives. Food Sci. Ind. 39(1), submitted.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