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차귀도 연안해역 미생물 분포 및 이화학적 특성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Chagwi-Do Coastal Waters,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5 no.3, 2006년, pp.271 - 278  

문영건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김만철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이준백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송춘복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여인규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김종만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박근태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손홍주 (밀양대학교 생물공학과) ,  최우봉 (동의대학교 생물공학과) ,  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ten stations at water region of coastal area of Chagwi-Do,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uspended solid, salinity,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coliform group and Vibrio spp. were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차귀도 연안 해역의 10개 정점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2004년 9월, 11월, 2005 년 2월의 종속영양세균, 대장균군수, 비브리오세균의 개체수를 측정하여 해양생태계에서 계절의 따른 분해자의 변동 추이를 비교, 분석하고,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및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그리고 총 무기질소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계절별로 조사함으로서 이 해역의 생물학적 수질변동과 향후차귀도 연안 해역의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lter, M., 1982, Submodels of a brackish water environment : II. Reminerali-zation rates of carbohydrates and oxygen consumption by pelagic micro-heterotrophs, Mar. Ecol., 3, 233-241 

  2. 김상진, 이건형, 1998, 해양미생물학, 동화기술, 서울 

  3. Brock, T. D., 1997, Microbial activities in nature. In Biology of Microorganisms (8th ed.), Prentic-Hall, Inc., Engle Wood Cliffs, New Jersey, pp.406-456 

  4. Ishida, Y. and H. Kadoda, 1974, Ecological studies on bacteria in the sea and lake waters polluted with organic substance, Bull. Jap. Soc. Sci. Fish., 40(10), 999-1005 

  5. Simidu, S. U., E. Kaneko and N. Taga, 1977, Microbiological studies of Tokyo Bay, Microbiol. Ecol., 3, 173-191 

  6. Shin, S. U., K. O. Cho, H. I. Kang and S. K. Kang, 1992, Studies on seasonal variation of the bacterial flora in sea-water of Karnak Bay. 1, On the pathogenic Vibrio and Salmonella, Bul. Mar. Sci. Lnst. Yosu Natl. Fish. Univ., 1, 29-37 

  7. Choi, J. D., 1995,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coliform group in Puksin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2), 202-208 

  8. Wimpenny, J. W., W. L. T. Robert and C. Philip, 1983, Laboratory model systems for the investigation of spatially and temporally organised microbail ecosystems, Cambridge Dniv. Press., pp.67-117 

  9. Novitsky, J. A., 1983, Starvation-survival of heterotrophs in the marine environment, Advences in Microbial Ecology., 6, 171-198 

  10. Kirchman, D. L. and J. H. Rich, 1997, Regulation of bacterial growth by dussolved organic carbon and temperature in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Microbial. Ecol., 33, 11-20 

  11. Carlson, C. A. and H. W. Ducklow, 1996, Growth of bacterio-plankton and consump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Sargasso Sea, Aquat. Microbiol. Ecol., 10, 69-85 

  12. Thingstad, T. F., A. Hagastrom and F. Rassoulzadegan, 1997, Accumulation of degradable DOC in surface waters: is it caused by a malfunctioning microbial loop? Limnol. Oceanogr, 42, 398-404 

  13. APHA, AWWA, WPCF, 1993,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18th ed.), APHA Washington, D.C., 1134pp 

  14. Carberg, S. R., 1972,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Charlortenland Denmark, pp. 305-315 

  15. Strickland, J. D. H. and T. 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 water analys is Bull. Fish, Res. Bd. Con. No. 167, Fisheries Reserch Borad of Canada, Qtawa., 311pp 

  16. 환경부, 1995, 환경오염공정시험법(해수편) 

  17. Cappuccino, J. G. and N. Sherman, 1987,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18. 김기성, 이우범, 주현수, 이제철, 조재위, 전순배, 이성우, 박종천, 2000,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Korean. J. Microbio, 36(4), 285-291 

  19. 하영철, 1978, 진해만 해양기초보고서,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20. 김영만, 1993, 어패류의 비브리오패혈증균 오염과 그 대책,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8(2), S13-S21 

  21. 최종덕, 정우건, 2001, 통영 항해수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수질, J. Korean Fish. Soc., 34(6) 611-6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