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연안해역의 Vibrio parahaemolyticus 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along Cheju Coast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5 no.1, 2007년, pp.34 - 41  

송민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  김만철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  허문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내 주요 해안지역인 화북, 삼양, 대포, 중문, 표선, 안덕, 애월, 곽지에서 생산되는 해수, 갯벌, 해산물 등에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V. parahaemolyticus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가검물은 총 2,880건으로 각각 해수 960건, 갯벌 960건, 해산물 960건이었으며, 분리된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생화학적, 혈청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가검물 2,880건에 대한 분리 동정에서 417건(14.5%)이 분리되었다. 0.85% NaCl용액을 희석 액으로 사용하여 API 20E kit를 이용한 V. parahaemolyticus 100균주의 중요한 생화학적 특성은 전 균주가 lysine, ornithine, indole, glucose, mannitol은 양성반응을 보였고, ONPG, arginine, Sodium citrate, $H_2S$, urea, tryptophane, VP, inos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반응에서 음성반응을 보였고, gelatin, amygdalin, arabinose 반응에서 음성 혹은 양성반응을 보였다. 검체별 분리율은 해수가 960건 중 161건(16.8%), 갯벌이 960건 중 137건(14.3%), 해산물이 960건 중 119건(12.4%)이었다. 지역별 분리율은 화북 14.4%(52/360), 삼양 15.3%(55/360), 대포 13.6%(49/360), 중문 18.3%(66/360), 표선 13.1%(47/360), 안덕 16.4% (59/360), 애월 12.5% (45/360), 곽지 12.2% (44/360)이었다. 분리된 V. parahaemolyticus 417균주를 대상으로 지역별, 검체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중문 지역이 18.3%(66/360)로 가장 높았고, 검체별로는 해수가 16.8% (161/960)로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 parahaemolyticus among sea water, sea mud, and marine products in Hwabuk, Samyang, Daepo, Jungmun, Pyoson, Anduk, Aewol, and Gwakji on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2. The 2,880 total specimens of 960 sea waters, 960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V. parahaemolyticus에 의한 각종 질병 및 식중독 예방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02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에 걸쳐 월 별로 지역에 따라 해수, 갯벌 및 해산물을 대상재료로 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혈청학적 실험을 통해 이들 재료에 대한 V. parahaemolyticus 검출현황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재료가 채취된 지역의 해수 온도를 측정하여 V. para- haemolyticus^}S]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US A) 에 균을 접종하여당 발효, gas 및 H2S 생산유무를 확인하였다. glucose fer- mentation하면 고층부가 황색으로 변하며, gas 생산성은 고층부에 기포가 생기거나 배지가 균열되므로 그 유무를 확인하였고, H?S가 생산되면 배지 고층부가 흑색으로 변하므로 그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lows A, WJ Hausler Jr, KL Herrmann and HJ Shadomy. 1991.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5th ed., pp. 384-395.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2. Barker WH Jr and EJ Gangarosa. 1974. Food poisoning due to Vibrio parahaemolyticus. Annu. Rev. Med. 25:75-81 

  3. Blake PA, MH Merson, RE Weaver, DG Hollis and PC Heublein. 1979. Disease caused by a marine Vibrio. Clinical characteris epidemiology. N. Engl. J. Med. 300:1-5 

  4. Chun D, JK Chung, R Tak and SY Seol. 1975. Nature of the Kanagawa phenomen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Immun. 12:81-87 

  5. Chun DG, JK Jeong, JK Lee, DH Shin and YK Mun. 1967. Isol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Korea. J. Kor. Soc. Microbial. 4:105-109 

  6. Hollis DG, RE Weaver, CN Baker and C Thornsberry. 1976. Hallophilic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J. Clin. Microbiol. 3:425-431 

  7. Janda JM, C Powers, RG Bryant and SL Abbott. 1988. Current perspectives on the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af clinically significant Vibrio species. Clin. Microbial. Rev. 1: 245-267 

  8. Johnston JM, SF Becker and LM McFarland. 1986. Gastroenteritis in patients with stool isolates of Vibrio vulnificus. Am. J. Med. 80:336-338 

  9. Joseph SW, RR Colwell and JB Kaper. 1982. Vibrio parahaemolyticus and related halophilic Vibrios. Crit. Rev. MicrobioI. 10:77-124 

  10. Ju JW. 1983. Studies on Vibrio parahaemolyticus in the Southern Seas of Korea on the isolation of V. parahaemolyticus from sea water, sea mud and marine products in Jeju, Keoje, Namhae, Yockjii, Busan and Masan. J. Kor. Soc. MicrobioI. 18:1-7 

  11. Kang DH, SS Chun, DH Chung and SS Cho. 1994. Antimicrob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the Southern Adjacent Sea of Korea. J. Fd. Hyg. Safety. 9:141-149 

  12. Lee KU, MS Park and JW Ju. 1984. A study on distribution of vibrios in coastal areas of Korea (1984). (1) Studies on V. parahaemolyticus on the Southern Seas of Korea. Report of NIH, Kor. 21:133-146 

  13. Molitoris E, SW Joseph and MI Krichevsky, WW Sindhuhardja and RR Cowell. 1985.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Vibrio alginolyt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in Indonesia. Appl. Environ. Microbiol. 50: 1388-1394 

  14. Nair GB, BL Sarkar, M Abraham and SC Pal. 1985. Serotyp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s from hydrobiologically dissimilar aquatic environments. Appl. Environ. Microbiol. 50:724-726 

  15. Oliver JD, RA Waner and DR Cleand. 1983. Distribution and ecology of Vibrio vulnificus and other lactose-fermenting marine Vibrios in coastal water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Appl. Environ. Microbiol. 44:1404-1414 

  16. Sarkar BL, G. Nair, BK Sircar and SC Pal. 1983. Incidence and level of Vibrio parahaemolyticus associated with freshwater plankton. Appl. Environ. Microbiol. 46:288-290 

  17. Shinoda S. N Nakahara, Y Ninomiya, K Itoh and H Kane. 1983. Serological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marine samples. Appl. Environ. MicrobioI. 45:148-152 

  18. Sohn JY. JK Ryu, YH Kim. BW Kim and CH Min. 1971. A study on the food poisoning cause by Vibrio parahaemolyticus. Report of NIH. Kor. 8:65-70 

  19. Song C. JY Sohn. KU Lee, JC Yoo, MS Park, KS Park, IT Lee. BH Kim and YJ Kim. 1984. A study on distribution of Vibrios in coastal areas of Korea (1984). (2) Distribution of Vibrios in coastal areas of Korea. Report of NIH, Kor. 21:117-132 

  20. Tsujimoto M, T Kitaoka, Y Nakaue, A Morimoto, Y Sasaoka. K Kamada, Y Yoshimura, A Nakayama and T Honda. 1994. A case of cardiogenic shock caused by Vibrio parahaemolyticus. Kansenshogaku. Zasshi. 68: 163-167 

  21. Wong HC. MC Chen. SH Liu and DP Liu. 1999. Incidence of highly genetically diversified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 imported from Asian country. Int. J. Food. Microbial. 52:181-188 

  22. Yoon HS and BY Ahn. 1992.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various kind of shells in Kunsan Bay. Kor. J. Food. Hygiene. 7:137-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