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춘천마임축제를 사례로 지역축제의 지방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춘천마임축제의 역사와 지방화 과정은 1기 축제발생기($1989{\sim}1993$), 제2기 축제성장기($1994{\sim}1997$), 제3기 축제정착 및 확산기($1998{\sim}2004$)로 요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방화 과정을 통해 춘천마임축제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면에서도 많은 기여를 하면서 지역축제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켰다. 춘천마임축제의 성공적인 지방화 과정은 '축제의 비전제시자 정부-참여자'간 성공적인 결합과, 문화적 요소의 새로운 공간창출능력(문화의 공간생산능력)과 새로운 공간에서 기존 문화를 흡수 재창출하는 지역의 문화혁신역량(공간점유자들의 의한 문화생산역량) 간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localization processes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hereafter, CMF). Its history and processes can be periodized as three stages: the formative stage ($1989{\sim}1993$), the developing stage ($1994{\sim}1997$) and the settling-down & dif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축제기간(5일간) 만큼은 생활 속의 비일상 (非日常)을 꿈꾸는 이들을 위한 축제마을 몽도리가 생긴다. ‘외뿔’의 내용에 춘천마임축제와 도깨비난 장이 등장하고 책에서 그려지는 것과 같은 축제의 마을인 몽도리를 축제행사장 명칭으로 사용하여, 옮겨진 축제 행사장에 대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함과 동시에 한결 축제적인 분위기로 유도하려 하였다. 또한 기존의 위도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던 섬의 이름도 고슴도치 위(蝟)자를 써서 개명함으로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가는 위도의 명성을 되찾기보다 새로운 축제마을이 생겨나는 이미지를 주려고 노력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춘천시 주요 지역축제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춘천마임축제의 위상을 파악하고, 둘째, 춘천마임축제의 역사를 고찰하면서, 춘천마임축제가 지방문화로 정착되는 지방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춘천마임축제의 성공적 지방화 과정이 창출한 지방화 효과를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 고자 한다.
  •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은 축제참가자들의 설문 조사를 통해 참가자의 인구특성과 행태특성을 분석하여 축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효과를 강조하고 더 나아가 발전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이정록‧추명희, 1997; 김진수‧정필용, 1999; 정병웅, 2003).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유형과 아울러 마임이라는 춘천과는 아무런 연고도 없는 문화가 ‘우연한’ 기회에 춘천에서의 공연을 계기로 지금의 성공적인 춘천마임축제에 이르기까 지의 지방화 과정과 그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3)
  • 이 연구는 춘천지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축제로 성장한 춘천마임축제를 사례로 춘천마임축제의 역사 및 지방화과정과 그 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춘천시 주요 지역축제의 현황을 살펴봄 으로써 춘천마임축제의 위상을 파악하고, 둘째, 춘천마임축제의 역사를 고찰하면서, 춘천마임축제가 지방문화로 정착되는 지방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지역에 잘 뿌리내린 지역축제는 축제가 지니는 본질적인 측면들을 잘 유지하면서 지역의 이미지 제고, 문화‧예술에 기초한 축제의 질적 수준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연관산업의 발달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에서 이와 같은 축제의 양적‧질적 선순환을 나타내고 있는 관광축제(개최목적 기준)이자 예술축제(프로그램 구성형식 기준)인 춘천마임축제의 성공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제로 춘천마임축제는 지역의 전통유산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으며, 또한 처음부터 민간인이 주도하여 지역축제의 지방화에 성공한 보기 드문 예라 할 수 있다(신영근, 2005).
  •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춘천시 주요 지역축제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춘천마임축제의 위상을 파악하고, 둘째, 춘천마임축제의 역사를 고찰하면서, 춘천마임축제가 지방문화로 정착되는 지방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춘천마임축제의 성공적 지방화 과정이 창출한 지방화 효과를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 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춘천마임축제가 성공한 축제임을 나타내는 부분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 이와 같은 축제의 양적‧질적 선순환을 나타내고 있는 관광축제(개최목적 기준)이자 예술축 제(프로그램 구성형식 기준)인 춘천마임축제의 성공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제로 춘천마임축제는 지역의 전통유산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으며, 또한 처음부터 민간인이 주도하여 지역축제의 지방화에 성공한 보기 드문 예라 할 수 있다(신영근, 2005).
정부가 지역축제를 잠재우기 위한 노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열풍을 잠재우기 위해 정부는 현재 지역축제에 대한 구조조정을 구상하고 있다(문화관광부, 2005). 이는 현재 활성화된 지역축제의 의미가 지나치게 지역 경제 부흥을 위한 경제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온 결과라 할 수 있다. 1) 아울러 현행 지역축제들이 축제가 본질적으로 지니는 가치보다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구로 남용되고 있음을 의미 하기도 한다.
축제의 열풍을 잠재우기 위해 정부는 무슨 노력을 하는가? 전국이 축제의 열풍에 휩싸여 있다. 이러한 열풍을 잠재우기 위해 정부는 현재 지역축제에 대한 구조조정을 구상하고 있다(문화관광부, 2005). 이는 현재 활성화된 지역축제의 의미가 지나치게 지역 경제 부흥을 위한 경제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