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육조건에 따른 산수국의 엽생장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eaf Growth of 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 Growing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0 no.1, 2006년, pp.70 - 74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관상용이나 천연감미료, 생리활성물질의 원료로 활용되는 산수국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2년생 산수국의 삽목묘를 대상으로 광, 수분 및 시비처리를 실시한 후 8월과 9월에 광합성, 엽록소 함량, 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처리별 광합성율의 유의차는 8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9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관수처리별 광합성율은 주3회 관수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비구가 무시비구에 비해 광합성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광도처리별에 있어서는 8,9월 모두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관수처리별에서는 8월에서만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시비처리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엽생장(엽장과 엽폭)은 전광과 주 3회 관수처리 시에 양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for proper growing conditions of 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 used as ornamental trees or sources of natural sweetenings and biological active compounds, two-year-old cuttings of the plant were subjected to different conditions, light intensity, watering, and fertilizing levels.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는 관상용이나 천연감미 료, 생 리 활성 물질의 원료로 활용되는 산수국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2년생 산수국의 삽목묘를 대상으로 광, 수분 및 시비처리를 실시한 후 8월과9월에광합성, 엽록소 함량, 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갑태(2003a) 生育場所에 따른 곰취(Ligularia fischeri)의 生長, 光合成率 및 棄綠素 含量 調査 硏究. 한국임학회지 92(4):374-379 

  2. 김갑태(2003b) 생육장소에 따른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의 생장, 광합성율 및 엽록소 함량 조사 연구. 한국임학회지 92(1):27-32 

  3. 김영진, 이강세, 천상욱, 오영진, 검경호, 최재성, 이문희 (2003) 엽형에 따른 콩품종의 광합성 능력과 잎의 해부형태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48(3):248-251 

  4. 김판기, 김선희, 이은주, 이재천, 구영본(2002) 수도권 매립지에 식재된 현사시나무의 환경적응 반응(1) -광합성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 논문집, 204-205 

  5. 김판기, 이갑연, 김세현, 한상섭(1999)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오미자과 2속3종의 잎형절 및 광합성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2): 90-96 

  6. 안덕균(1998) 원색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서울, 855pp 

  7. 우수영, 이성한, 이동섭(2004) 대기오염 피해를 받은 서울시내 가로수의 엽록소함량과 광합성 특성. 6(1): 24-29 

  8. 최태호, 조남석, M. Gyosuke(1998)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점액을 이용한 한지 제조 특성(1)-점도 및 한지 제조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331-336 

  9. 현정오, 김수언, 조동광, 김갑태(2003) 국내 자생 범의귀과 식물로부터 유용자원 개발 및 보전에 관한 연구. 농림부 농림기술개발 연구보고서 153pp 

  10. Guenes, M. and A. Speicher(2003) Efficient synthyses of $({\pm})-hydrangenol$ , $({\pm})-phyllodulcins$ and $({\pm})-macrophyllol$ . Tetrahedron 59 (44): 8799-8802 

  11. Hufford, L.(2001) Ontogeny and Morphology of thw fertile flowers of Hydrangea and allied genera of tribe Hydrangeeae(Hydrangeacea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37 (2): 139-187 

  12. Sebastian, T.K. and C.W. Heuser(1987) In vitro propagation of Hydrangea quercifolia Bartr. Scientia Horticulturae 31 (3-4): 303-309 

  13. Uemachi, T., Y. Kato and T. Nishio(2004) Comparison of decorative and non-decorative flowers in Hydrangea macrophylla(Thunb.) Ser. Scientia Horticulturae 102 : 325-334 

  14. Yagi, A., Y. Ogata, T. Ymauchi and I. Nishioka(1977) Metabolism of phenylpropanoids in Hydrangea serrata var. thunbergii and the biosynthesis of phyllodulcin. Phytochemistry 16 (7): 1098-1100 

  15. Yang, Q. and Z.Z. Gong(200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thylene-Induced Antifungal Protein from Leaves of Guilder Rose(Hydrangea macrophylla). Protein Expression and Purification 24 : 76-82 

  16. Yeh, D.M. and H.H. Chiang(2001) Growth and flower initiation in Hydrangea as affected by root restriction and defoliation. Ser. Scientia Horticulturae 91 (1-2): 123-132 

  17. Zehnter, R. and H. Gerlach(1995) Enantiodifferentiation in Taste Perception of the phyllodulcins. Tetrahedron: Asymmetry 6(11): 2779-2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