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의 외부형태와 체세포 염색체수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Parasenecio (Compositae) of Korea by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2, 2006년, pp.323 - 330  

남기흠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박명순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정형진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정규영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박쥐나물속(Parasenecio)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체세포 염색재수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인 초장, 경생엽수, 잎의 모양, 엽병 형태, 총포편수, 소화 수, 암술대의 털 존재 유무, 소화의 가는 통부와 법은 통부의 비, 열매의 크기 등이 종을 식별하는 형질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형질을 기초로 할 때,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a var. auriculata), 나래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민박쥐나물(P. hastata subsp. orientalis), 참나래박쥐(P. koraiensis), 병풍쌈(P. firmus), 어리병풍(P. pseudotaimingasa)의 6분류 군에 대한 국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게박쥐나물(P. adenastylodes)과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matsumurana)의 분류학적 위치 및 국내 분포 여부에 대하여 추후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병풍함과 어리평풍의 체세포 염색제수는 모두 2n=60이었으며, 이중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은 일본산과 중국산의 염색계수와 일치하였으며, 병풍쌈과 어리병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Korean Parasenecio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ir taxonomic values.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length of whole plants, the numbers of cauline leaves, the shapes of leaf and petioles, the numbers of involucral bracts, floret num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자들 간에 상이한 의견으로 인하여 학명과 국명 등이 혼동되어 온 한국산 박쥐나물 속 분류군들의 외부 형태학 적 형질을 재검토하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되지 않은 한국산 박쥐나물속의 체세포 염색체 수를 조사하고 그 결과들이 한국산 박쥐나물 속의 분류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를 파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rummitt, R. K. 1998. Report of the Committee for Sper matophyta: 46. In proposals to conserve or reject. Nicol son, D.H. (ed.). Taxon 47: 441-447 

  2. Arano, H. 1964. Cytological studies in subfamily Cardu oideae (Compositae) of Japan. X VII. The karyotype analysis in Cacalia and Syneilesis Bot. Mag. Tokyo. 77: 86-98 

  3. Barkley, T.M. and Cronquist, A. 1974. Cacalia rugelia: a new combination for a North American Senecionoid. Rhodora. 76: 48-50 

  4. Barkley, T.M., 1985. Infrageneric groups in Senecio, s.l. and Cacalia, s.l. (Asteraceae: Senecioneae) in Mexico and Central America. Brittonia 37: 211-218 

  5. Chen, Y. 1995. New species of the tribe Senecioneae (Compositae) from China. Acta Phytotax. Sin. 33: 76-85 

  6. Chen, Y. 1996. The new species of the tribe Senecioneae (Compositae) from China: 2. Acta Phytotax. Sin. 34: 641-649 

  7. Grant, J. 1993, A new combination for the single Amer ican element of Parasenecio (Asteraceae : Senecioneae), Parasenecio auriculata comb. nov. Novon 3: 154-155 

  8. Iwatsuki, K., T. Yamazaki, D.E. Boufford and H. Ohba. 1995. Flora of Japan. Vol. IIIb. Angiospermae, Dicotyl edoneae, Sympetalae (b). Kodansha. 46-53. Tokyo 

  9. Jeffrey, C. 1979. Note on the lectotypification of the names Cacalia L., Matricaria L. and Gnaphalium L. Taxon 28: 349 -351 

  10. Jeffrey, C. and Chen, Y. 1983. Taxonomic studies on the tribe Senecioneae (Compositae) of Eastern Asia. Kew Bull. 39: 205-447 

  11. Kitamura, S. 1938. Les Cacalia du Japon. Acta Phytotax. Geobot. 7: 236-251 

  12. Koyama, H. 1961. Chromosome numbers in some Japanese species of Cacalia and the allied genera. Acta Phytotax. Geobot. 19: 18-19 

  13. Koyama, H. 1969. Taxonomic studies on the tribe Senecioneae of Eastern Asia. II. Enumeration of the species of Eastern Asia. Mem. Fac. Sci. Kyoto Univ., Ser. Biol. 2: 137-183 

  14. Koyama, H. 1978a. Notes on some species of Chinese Cacalia: 1.. Acta Phytotax. Geobot.. 29: 65-84 

  15. Koyama, H. 1978b. Notes on some species of Chinese Cacalia: 2.. Acta Phytotax. Geobot.. 29: 171-178 

  16. Koyama, H. 1979. Notes on some species of Chinese Cacalia: 3.. Acta Phytotax. Geobot. 30: 65-84 

  17.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Co., Seoul (in Korean) 

  18. Lee, W. T.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Seoul (in Korean) 

  19. Lee. W. 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Books, Seoul (in Korean) 

  20. Linne, C. 1753. Species Plantarum. Ed. 1. Stockholm 

  21. Liu, J. 2000. Karyomorphology of 4 species in Sinacalia and Parasenecio (Asteraceae: Senecioneae). Acta Bot. Yunnan. 22: 447-450 

  22.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1-573 

  23.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 31: 1-152 

  24. Nishigawa, T. 1980. Chromosome counts of flowering plants of Hokkaido (4). Rep. Taisetsuzan Inst. Sci. 15: 23-28 

  25. Nishigawa, T. 1984. Chromosome counts of flowering plants of Hokkaido (7). J. Hokkaido Univ. Educ., Sect. 2B 35: 31-42 

  26. Ornduff, R., Mosquin, T., Kyhos, D.W. and Raven, PH. 1967. Chromosome numbers in Compositae. Ⅵ. Senecioneae. II. Amer. J. Bot. 54: 205-213 

  27. Ornduff, R., Raven, P.H., Kyhos, D.W. and Kruckeberg, A.R. 1963. Chromosome numbers in Compositae. III. Senecioneae. Amer. J. Bot. 50: 131-139 

  28. Park, M. K. 1949.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in Korean) 

  29. Pojarkova, A. 1960. Notae criticae de genere Cacalia L. s. l. Bot. Mater. Gerb. Bot. Inst. Komarova Akad. Nauk. SSSR 20: 370-391 

  30. Robinson, H. and Brettell, R.D. 1973. Studies in the Sene cioneae (Asteraceae). IV. The genera Mesadenia, Syneile sis, Miricacalia, Koyamacalia and Sinacalia. Phytologia 27: 265-276 

  31. Shishkin, B.K. and E.G. Bobrov. 2000. Tribes Anthemi deaea, Snecioneae and Calendulaeae. Science publishers, Flora of the USSR 26: 651-667 

  32. Smith, W.W. and Small, H. 1922. Parasenecio in Trans. Proc. Bot. Soc. Edinb. 28: 93 

  33. Takeshita, M. 1961. Cytological studies on Cacalia and its related genera. I. The chromosome number of three species and one variety of Cacalia and one species of Miricacalia. Jap. J. Genet. 36: 217-220 

  34. Tamura, M., Koyama, H. 1989.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of Cacalia hastata subsp. tanakae in the Chugoku district, Japan.. Acta Phytotax. Geobot. 40: 93-98 

  35. Wagennitz, G. 1995. Proposal to reject the Cacalia L. (Compositas: Senecioneae). Taxon 44: 445-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