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매화의 향기성분 분석과 매화차 추출조건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Prunus mume Flower and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Prunus mume Flower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3 no.2, 2006년, pp.180 - 185  

김용두 (순천대학교 식품공학) ,  정명화 (순천시 농업기술센터) ,  구이란 (수향농원) ,  조인경 (남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곽상호 (순천청암대학 포장물류학과) ,  나란 (순천대학교 식품공학) ,  김경제 (순천대학교 식품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 제조에 맞는 재료와 처리방법을 찾고, 매화의 첨가량 및 침출 온도, 녹차 첨가 비율 등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매화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결과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생화의 경우 총 15종이 검출되었다. 동결건조 시료에서는 건조과정중 1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으며, 음건의 경우4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다. 3가지 품종 모두 benzaldehyd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성분 구성비율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매화차의 추출온도에 따라 색도측정 결과 a값은 감소한 반면, b값은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였다. 매화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매화차 관능평가 결과 향, 색에서는 매화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나 0.3g이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맛에 있어서는 0.3 g에서의 기호도가 3.8로 높았다. 매화의 온도, 시간별 추출물의 관능평가 결과와 녹차의 흔합비율에 따른 결과 향, 색에서는 추출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지만 $80^{\circ}C$가 적당한 침출온도였다. 매화와 녹차의 혼합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는 매화의 비율은 매화와 녹차 비는 1:9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unus mume has been used as a Korean medicine. It is effective in treating diarrhea and an abdominal pain.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s of prunus mume flower tea and to analyze volatile compounds. Three kinds of samples treated with fresh, freeze dry, and sha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매실 재배 면적의 증가와 한정된 가공품 형태로 소비시장의 확대가 어려워 매실 재배농가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매화의 독특한 향을 지닌 매화차를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식문화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기능성 식품의 공급과 매실의 과잉 생산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자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을 분석을 통하여 매화차 제조에 맞는 재료와 처리방법을 찾고, 매화의 첨가량 및 침출 온도 녹차 첨가 비율 등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孫維良, 片桐義子. (1992) 문준철역. 질병을 고치는 꽃 용법. 한.중 기공건강연구소 

  2. 棟忠良. (1997) 歌風果茶, 健康花草茶. 臺灣 : 店代文化事業有限工司 

  3. 김동정 (2000) 매화예찬.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35, 131-133 

  4. 오홍근 (1996) 신비의 자연치료 의학. 가림, 서울 

  5. 이세희 (1995) 향유를 이용한 여성건강 미용, 아로마테라피. 홍익제, 서울 

  6. Konta. F. (1991) Flower as food and flower-eating culture.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874 

  7. 현대한방연구소 (1984) 현대의 한방. 수예사, 서울, 4권. p.149 

  8. Jo, G.S., Baik, S.O. and Sub, J.K. (2001) Development of scent tea using fragrant flower(1. The effects on content of the organic acid, and fatty acid by the number and stationary time of fresh flower's fragrance suction). Paper presented at 39th Annual Meeting of Kor. J. Hort. Sci. & Technol., May 26, Dusan, Korea 

  9. Jo, G.S., Sub, J.K., Kim, H.J. and Choe, G.J. (2001) Development of scent tea using fragrant flower (2. The effects on quality of scent tea by the number and period of fresh flower's fragrance absorption). Paper presented at 39th Annual Meeting of Kor. J. Hort. Sci. & Technol., May 26, Dusan, Korea 

  10. Kim, H.J., Jo, G.S., Choe, G.J. and Na, T.S. (2001) Development of functional flower tea using edible flower (2. Quality change of flower tea by the ratio of edible flower and green tea). Paper presented at 39th Annual Meeting of Kor. J. Hort. Sci. & Technol., May 26, Dusan, Korea 

  11. Jo, G.S., Suh, J.K. and Kim, S.G. (2001) Development of functional flower tea using edible flower (1.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dible flower and green tea). Paper presented at 39th Annual Meeting of Kor. J. Hort. Sci. & Technol., May 26, Dusan, Korea 

  12. Cho, K.S., Choi, H.K., Shin, K.H. and Suh, J.K. (2000) Development of flower tea using a variety of flowers(I.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lower tea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by flower material). J. Kor. Tea Soc. 6, 85-93 

  13. Cho, K.S., Suh, J.K., Shin, K.H. and Jung, H.S. (2000) Development of flower tea using several of flowers(II. Sensory evaluation of flower tea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by green tea and flower). J. Kor. Tea Soc. 6, 95-108 

  14. Baik, S.O., Bock, J.Y., Han, S.B., Cho, K.S., Bang, G.P. and Kim, I.K. (1996)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green tea flower. Analytical Sci. & Technol., 9, 331-335 

  15. Kim, N.S. and Lee, D.S. (2004) Characterization of fragrances from Lilac blossom by gas chromatography-MS Spectrometry. Analytical Sci. & Technol., 17, 85-89 

  16. Kwon, J.H., Byun, M.W. and Kim, Y.H.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acacia flower (Robinia pseudo - acac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789-793 

  17. Kim, J.H. and Xiao P.G. (1989) Traditional drugs of the east. Younglimsa, Seoul, Korea 

  18. Jung, D.H. and You, J.Y. (1997) Fermented food of vegetable. Gangilsa, Seoul, Korea 

  19. Choi, J.H. (1999)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Schizandra nigra Max. for juice preparaion. Master thesis of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