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family violenc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effect of an experience of childhood violence and the witnessing of interparental violence on the future spouse and child violence. Two hundred and forty-two married couples and 50 ma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각도로 밝혀보고자 한 점이다. 또한 일반가정의 부부와 가정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인 입건부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기한 점이다.
  • 즉 일반부부와 가정폭력으로 검찰에 입건된 부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별에 따라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간 폭력목격이 부부폭력에서 다른 역할(가해자 혹은 피해자)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 그리고 자녀폭력 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폭력부모의 성별에 따라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 간 폭력 목격이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가정폭력이 세대에 걸쳐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개입노력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일반부부와 가정폭력으로 입건된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폭력의 세대간 전달가설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면밀히 검증하기 위해, 부부폭력의 가해와 피해정도, 그리고 자녀폭력의 정도가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간 폭력목격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그리고 폭력부모의 성별에 따라 폭력의 세대간 전달 양상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의 세대간 전달가설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면밀히 검증하는 것이다. 즉 일반부부와 가정폭력으로 검찰에 입건된 부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별에 따라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간 폭력목격이 부부폭력에서 다른 역할(가해자 혹은 피해자)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 그리고 자녀폭력 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폭력의 세대간 전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간 폭력목격을 폭력부모의 성별에 따라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결과를 얻었다는 점과 종속변인을 부부폭력의 가해 뿐만 아니라 피해와 자녀폭력으로 세분해서 폭력의 세대간 전달과정을 다각도로 밝혀보고자 한 점이다. 또한 일반가정의 부부와 가정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인 입건부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기한 점이다.
  • 셋째,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간 폭력목격 중 어느 변인이 세대 간 폭력전달에 더 영향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결과는 연구자들이 초점을 두고 조사한 변인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 강조점이 다르다.
  • 보다 면밀히 검증하는 것이다. 즉 일반부부와 가정폭력으로 검찰에 입건된 부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별에 따라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간 폭력목격이 부부폭력에서 다른 역할(가해자 혹은 피해자)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 그리고 자녀폭력 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폭력부모의 성별에 따라 아동기 폭력경험과 부모 간 폭력 목격이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두 변인은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가정폭력의 주된 원인으로 주목받아왔으며, 선행연구들에서 상당한 경험적 지지가 있었다. 그 결과 원가족에서 학습된 폭력이 세대에 걸쳐 전수된다는 “폭력의 세대간 전달가설”이 수립되기에 이르렀다. 학계에서는 이미 "폭력의 세대간 전달가설”이란 용어를 사용하면서 부부폭력에 대해 설명하는 하나의 미니이론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주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경신, 김정란(2002). 아내학대에 대한 세대전이 과정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 85-98 

  2. 김득성, 김정옥, 송정아(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폭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1-16 

  3. 김예정, 김득성(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I) -가해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0), 27-42 

  4. 김정옥, 류도희(1997). 부부폭력과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학대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5(3), 205-219 

  5. 노치영, 박성연(1992). 가족 폭력의 세대간 전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폭력 행동과 아동의 공격성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0(4), 219-230 

  6. 신성자(2001). 부부의 자녀폭력 및 부부폭력과 자녀양육수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39-174 

  7. Alexander, P. C., Moore, S., & Alexander, E. R., III. (1991). What is transmitted i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violence?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657-668 

  8.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9. Bandura, A., Ross, R., & Ross, S. (1962). Transmission of aggression through imitation of aggressive models. J.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3, 575-582 

  10. Cappell, C., & Heiner, R. B. (1990).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family aggression. J. of Family Violence, 5, 135-152 

  11. Carter, I., Stacey, W. A, & Shupe, A. W. (1988). Male violence against women: Assessment of the generation transfer hypothesis. Deviant Behavior, 9, 259-273 

  12. Curtis (1963). Violence breeds violence perhaps? American J. of Psychiatry, 120, 386-387 

  13. DeMaris, A. (1987). The efficacy of a spouse abuse model in accounting for courship violence. J. of Family Issues, 8, 291-305 

  14. DeMaris, A (1993). When disagreements lead to violence in marriag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56-760 

  15. Gelles, R. (1976). Family Violence. Beverly Hills, CA: Sage 

  16. Heyman, R. E., & Smith Slep, A. M. (2002). Do child abuse and interparental violence lead to adulthood family violence? J. of Marriage and Family, 64, 864-870 

  17. Kalmuss, D. (1984).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aggression.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 11-19 

  18. Kashani, J. H, Shekim, W. O., Burk, J. P., & Beck, N. C. (1987). Abuse as a predictor of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6, 43-50 

  19. Kaufman, J., & Zigler, E. (1993).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buse is overstated. In R. J. Gelles & D. R. Loseke (Eds.),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pp. 209-221). Newbury Park, CA: Sage 

  20. Langhrichsen-Rohling, J., Neidig, P., & Thorn, G. (1995). Violent marriage: Gender differences in levels of current violence and past abuse. J. of Family Violence, 10, 159-176 

  21. Margolin, G, John, R. S., & Foo, L. (1998). Interactive and unique risk factors for husband's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of their wives. J. of Family Violence, 13(4), 315-344 

  22. Mihalic, S. W., & Elliott, D. (1997). A social learning theory model of marital violence. J. of Family Violence, 12, 21-47 

  23. Morse, B. J. (1995). Beyond the Conflict Tactics Scale: Assessing gender difference in partner violence. Violence abd Victims, 10, 251-272 

  24. O'Leary, K. D., Malone, J., & Tyree, A. (1994). Physical aggression in early marriage: Prerelationship and relationalship effects. J.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3), 594-602 

  25. Pagelow, M. D. (1981). Woman battering: Victims and their experience. Beverly Hills, CA:Sage 

  26. Saunders, D. G. (1986). When battered women use violence: Husband abuse or self-defense. Violence and Victims, 1, 47-60 

  27. Sigelman, C. K., Berry, C. J., & Wiles, K. A. (1984). Violence in college students' dating relationships. J. of Applied Socail Psychology, 14, 530-548 

  28. Simons, R. L., Johnson, C., Beaman, J., & Conger, R. D. (1993). Explaining women's double jeopardy: Factors that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harsh treatment as a child and violence by a husband.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713-723 

  29. Simons, R. L., Lin, K. H., & Gordon, L. C. (1998). Socialization in the family of origin and male dating violence: A prospective study.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467-478 

  30. Straus, M. A. (1993). Physical assaults by wives: A major social problem. In R. J. Gelles & D. R. Loseke (Eds.),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67-87. Newbury Park, CA: Sage 

  31. Straus, M. A, & Gelles, R. J. (1986). Societal change and change in family violence from 1975 to 1985 as revealed by two national surveys.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465-479 

  32. Straus, M. A, Gelles, R. J., & Steinmetz, S. K. (1980).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New York: Doubleday/Anchor 

  33. Straus, M. A, & Yodanis, C. L. (1996). Corporal punishment in adolescence and physical assaults on spouses in later life: What accounts for the link?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825-841 

  34. Sugarman, D. B., Aldarondo, E., & Boney-McCoy, S. (1996). Risk marker analysis of husband-towife violence: A continuum of aggression. J.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6, 313-337 

  35. Ulbrich, P., & Huber, J. (1981). Observing parental violence: Distribution and effects.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623-631 

  36. Walker, L. E. (1979). The battered woman. New York: Harper & Row 

  37. Widom, C. S. (1989). Does violence beget violence?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106, 3-28 

  38. Woffordt, S., Mihalic, D. E., & Menard, S. (1994). Continuities in marital violence. J. of Family Violence, 9, 195-2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