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정서반응 유형,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 탐색: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motion Regulation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Emotion Regulation Effe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7 = no.221, 2006년, pp.99 - 111  

이혜련 (부산대학교 아동 주거학과) ,  김경연 (부산대학교 아동 가족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motion regulation effect (regulation effect of strategie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 regulation strategy, emotion regulation effect an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목적은 직접적 응답을 기초로 분노, 두려움, 실망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학령기 아동들이 어떤 정서조절 하위행동을 사용하는지 탐색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이들 정서조절 하위행동들이 어떻게 범주화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정서유형별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과 효과를 탐색하여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실증적인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정서조절 전략과 정서조절 효과의 주 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여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관련하여 정서조절 교육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직접적 응답을 기초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행동과 범주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학령기 아동이 많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 어떠한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직접적 응답을 기초로 분노, 두려움, 실망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학령기 아동들이 어떤 정서조절 하위행동을 사용하는지 탐색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이들 정서조절 하위행동들이 어떻게 범주화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정서유형별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과 효과를 탐색하여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실증적인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 요약하면 기존의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정서조절 효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아동의 경우에 정서조절 전략과 정서조절 효과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여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서조절 전략을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정서조절 행동으로보다 명확히 제안하고 이에 대한 학령기 아동의 직접적 응답을 기초로 다양한 정서조절 행동을 탐색하고 정서조절 전략의 범주를 파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분노, 두려움, 실망 등의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서 학령기 아동이 사용하는 정서조절 전략은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문제를 친구나 부모님께 의논하거나 하소연하여 친구나 부모님의 도움이나 위로를 구하는 지지추구 전략,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문제를 실제로 피해버리거나 혹은 현실이 아니며 없었던 일이라고 생각하거나 막연히 어떻게 되겠지라고생각하는 회피 전략, 문제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해야 할 일을 계획하거나 혹은 실제로 그것을 실천하는 문제해결 전략, 혼자서 혹은 친구와 함께 그 문제나 상황과는 상관이 없는 다른 일 즉 책 읽기나 음악듣기와 같은 일을 하거나 다른 즐거운 이야기를 하는 주의전환 전략으로 구성되고 범주화됨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분노 두려움 실망을 유발하는 일상적 인 부정적 사건과 각 부정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정서반응 유형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정서유형별로 아동이 많이 사용하는 정서조절 전략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여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효과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아동의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키는 일상적 사건이 무엇이며 각 사건에 대한 아동의 정서 반응유형은 어떠한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직접적 응답을 기초로 분노, 두려움, 실망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학령기 아동들이 어떤 정서조절 하위행동을 사용하는지 탐색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이들 정서조절 하위행동들이 어떻게 범주화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 그리고 이를 기초로 정서유형별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과 효과를 탐색하여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실증적인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정서조절 전략과 정서조절 효과의 주 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여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조절 전략 및 효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과 관련하여 정서조절 교육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 10 세 이후의 아동은 인지능력의 발달로 의도적인 전략사용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Carroll & Steward, 1984; Underwood, Coie & Herbsman, 1992)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에 대한 직접적 질문을 통해 정서조절 전략을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직접적 응답을 기초로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행동과 범주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학령기 아동이 많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강지흔, 박성연(2005). 남. 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3 

  2. 김경희(1997). 한국아동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발달, 10(1), 43-56 

  3. 김소희(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남궁선(1998). 부정적 정서의 조절전략 발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민경환, 김지현, 윤석빈, 장승민(2000). 부정적 정서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정서종류와 개인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16 

  7. 박서정(2005).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성균관대 학교박사학위논문 

  8. 박수현(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유능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윤석빈(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귀선(2002).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과 효과성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옥임(1997). 아동의 화 정서 이해 및 화 정서조절 방안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지선, 유안진(1999). 분노 및 슬픔 상황에서 아동의 정서 조절 동기와 정서조절 전략. 아동학회지, 20(3), 123-137 

  13. 이지연, 김정미(1998). 대인관계 맥락내에서 분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수원여자대학논문집, 24, 297-314 

  14. 임연진(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15. 임희수, 박성연(2001).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16. 정미라, 박경자, 배소연 역(1998). 유아를 위한 정서교육정서 중심 교육과 정의 구성.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17. 조한익(1998). 감성조절 프로그램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한유진(2004).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42(3), 65-77 

  19. 한정원(1997). 정서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Barett, L. F., & Gross, J. J. (2001). Emotional intelligence. In T. J. Mayne & G. A. Bonanno (Eds). Emotion. New York: The Gilford Press 

  21. Barrett, K., & Campos, J. (1987). Perspectives on emotional development II: A functionlist approach to emotions. In Osofsky.(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2nd), 555-578. New york: Wiley 

  22.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Hill 

  23.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4. Campos, J. J., Campos, R. G., & Barrett, K. C. (1989). Emergent themes in the study of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94-402 

  25. Cassidy, J., Parke, R. D., Butkovsky, I., & Braungart, J. M.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Cassidy, J., Parke, R, D., Butkovsky, I. & Braungart, J. M.(1992). Farnilypeer 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 603-618 

  26. Carroll, J. J., & Steward, M. S. (1984). The role of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s understandings of their own feelings. Child Development, 55, 1486-1492 

  27. Cicchetti, D., Ackerman, B, P., & Izard, C. E. (1995).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 1-10 

  28. Compos, B. E., Malcarne, V. L., & Fondacaro, K M. (1988). Coping with stressful evente in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405-411 

  29.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g, J., Karbon, M., Poulin, R. A,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30.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 Reiser, M. (2000). Dispositional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heir role in predicting quality of soci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136-157 

  31. Eisenberg, N., Fabes, R. A, Murphy, B., Muszk, Pat., Smith, M., & Karbon, M. (1995). The role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i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6, 1360-1384 

  32. Eisenberg, N., Fabes, R. A, Nyman, M., Bernzweig, J., & Pinuelas, A (1994).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young children's anger-related reactions. Child Development, 65, 109-128 

  33. Eisenberg, N., Guthrie, I. K, Fabes, R, A, Reiser, M., Murphy, B. c., Holgren, R., Maszk, P., & Losoya, S. (1997).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resiliency and competent social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68, 295-311 

  34. Fabes, R. A, & Eisenberg, N. (1992). Young children's coping with interperson anger. Child Development, 63, 116-128 

  35. Fabes, R. A., Leonard, S. A., Kupanoff, K., & Martin, Carol, L. (2001). Parental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responding. Child Development, 72, 907-920 

  36. Fisher, K. W. (1980). A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control and construction of hierarchies of skills. Psychological Review, 87, 477-531 

  37. Frick, P, J., & Lahey, B. B. (1991)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hool Psychology Review, 20, 163-273 

  38. Frijda, N. (1986). The emo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ty Press 

  39.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40. Gottman, J., & Mettetal, G. (1986). Speculations about social and affective development: Friendship and acquitanceship through adolescence. In J. M. Gottman & J. G. Parker (Eds.), Conversations of friends: Speculations on affective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271-299 

  42.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43. Harris, P. L. (1983).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situation and emo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6, 490-509 

  44. Harris, P. L., & Lipian, M. S. (1989). Understanding emotion and experiencing emotion. In C. Saarni & P. I. Harris (E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Harter, S., & Buddin, B. J. (1987).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simultaneity two emotion: A five-stage developmental acquisition sequ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3(3), 338-399 

  46. Hurbbard, J, A., & Coie, J, D. (1994). Emotional correlaters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Merrill Palmer Quarterty, 40(1), 1-20 

  47. Izard, C. E. (977).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Press 

  48. Izard, C. E., & Malatesta, C. Z. (1987). Perspectives on emotional development differential emotions theory of early emotional development. In J. D. Osofsky(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2nd ed.). New York: John Wiley 

  49. Kopp, C. B. (987). The growth of self-regulation: Caregivers and children. In N. Eisenberg(Ed), Contemporary topic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50. Kring, A. M. (2001). Emotion and psychopathology. In J. J. Mayne, & G. A. Bonanno. (Eds.). Emotions: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New York: Guilford 

  51. Landau,S., & Moore, L. A. (1991). Social skill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hool Psychology Reoieto, 20, 235-251 

  52. Lewis, M., & Haviland, J, M. (Eds). (1993). Handbook of emotion. New York: Guilford Press 

  53. Malatesta, C, Z., & Haviland, J, M. (1982). Learning display rules: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expression in infancy, Child Development, 53, 991-1003 

  54. Mishcel, H. N., & Mishcel, E. W. (1983).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of selfcontrol strategies. Child Development, 54, 603-619 

  55. Parkinson, B., & Totterdell, P. (1999). Classifying affect-regulation strategies. Cognition and Emotion, 13(3), 277-303 

  56. Parkinson, B., Totterdell, P., Briner, R. B., & Reynolds, S. (1996). Changing Mood: The psychology of mood and mood regulation. London: Long-man 

  57. Saarni, C. (1990). Emotional competence: How emotions and relationships become integrated. in R. A Thompson (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8. Schwartz, D., Dodge, K A, Coie, J. D., Hubbard, J. A, Cillessen, A. H. N., Kemerise, E. A, & Bateman, H. (1998). Social-cognitive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in boy's play group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6, 431-440 

  59. Shield,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The contribution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 381-395 

  60. Stanton, A. L., Kirk, S. B., Cameron, C. L., & Danoff-Burg, S. (2000). Coping through emotional approac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1150-1169 

  61. Thompson, R. A. (1991).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3(4), 269-307 

  62. Thompson, R. A (1994).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4, 269-307 

  63. Underwood, M. K, Coie, J. D., & Herbsman, C. R. (1992). Display rules for anger and aggression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366-380 

  64. Yates, B. T., & Mischel, W. (1979). Young children's preferred attentional strategies for delaying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286-3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