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0, 2020년, pp.212 - 221  

백다인 (이대서울병원)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전문직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간호사 176명으로, 2020년 3월 3일에서 16일까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 분석SPSS WIN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501, p<.001)이었고, 설명력은 24.8%였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35, p<.001),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27, p<.001), 학력(학사)(β=.188, p=.046)이었으며, 설명력은 36.8%였다.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502,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24.4%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습득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덜 사용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76 staff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전문직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적응적인 전략과 부적응적인 전략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전략들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Garnefski 등[19]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적응적인 전략과 부적응적인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적응적인 전략은 긍정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본인의 인지를 변화시켜서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전략이다[20]. 부적응적인 전략은 문제를 직접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 보다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회피하고자 하는 행동과 연관된다[19].
정서조절은 무엇인가? 정서조절은 외적인 사건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직면한 개인이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탐색, 평가, 수정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 외적인 과정을 말한다[17]. 개인은 거의 동일한 정서 조절 패턴을 사용하지만 몇 가지 패턴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패턴을 정서조절전략이라고 한다[18].
이중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무엇인가? 개인은 거의 동일한 정서 조절 패턴을 사용하지만 몇 가지 패턴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패턴을 정서조절전략이라고 한다[18]. 정서조절전략은 행동적 차원과 인지적 차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할 때 생기는 부정적인 정서를 다루는 개인 스스로의 인지적인 대처 전략이다[19]. Garnefski 등[19]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적응적인 전략과 부적응적인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atabase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19, p.65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p.186.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578012295548_20200103094456.pdf&rs/upload/viewer/result/202010/ 

  2. S. N. Lee, J. A. Kim, "Analysis of research on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 Vol.17, No.9, pp.599-609,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9.599 

  3. J. S. Kang, J. Y. Lim,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5, No.11, pp.263-273,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63 

  4. E. Y. Lee, K. H. Shon,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job stress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6, No.3, pp.87-95, 2015.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5.6.3.087 

  5. Y. H. Bae, T. W. Lee, "Relationship of experience of viol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 No.5, pp.489-500,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489 

  6. O. Arrogante, E. Aparicio-Zaldivar, "Burnout and health among critical care professionals: The mediational role of resilienc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42, pp.110-115, 2017. DOI: https://doi.org/10.1016/j.iccn.2017.04.010 

  7. H. G. Lee, J. S. Kim, "Influence of Secondary Trauma Stress, and Vocation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Regional Trauma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6, No.1, pp. 65-72, 2020.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65 

  8. B. Perry, "Why exemplary oncology nurses seem to avoid compassion fatigue", Canadian Oncology Nursing Journal/Revue canadienne de soins infirmiers en oncologie, Vol.18, No.2, pp.87-92, 2008. 

  9. B. H. Stamm,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p.1-78, US: Pocatello, 2010. pp. 8-34. 

  10. D. B. Yoo, H. J. Park, P. J. Kim, "Impact of Traumatic Events and Resilience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22m No.1, pp.27-37, 2019. DOI: https://doi.org/10.7587/kjrehn.2019.27 

  11. H. L. Jeong, K. H. Lim, "Effect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1, pp.491-506,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11.491 

  12. Y. B. Lee, H. K. Lee, "The convergence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9, No.11, pp.491-500, 2018.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491 

  13. J. M. Lim, J.K. Kim, "The Influence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20, No.2, pp.487-498, 2018. DOI: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487 

  14. N. K. Ibrahim, N. A. Alzahrani, A. A. Batwie, R. A. Abushal, G. G. Almogati, M. A. Sattam, K. H. Bodour,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ed factors among nurses working in king Abdulaziz University Hospital, Jeddah, Saudi Arabia", Contemporary Nurse, Vol.52, No.4, pp.486-498, 2016. DOI: https://doi.org/10.1080/10376178.2016.1224123 

  15. I. S. Jang, Y. N. Kim, H. H. Kim,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oncology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5, No.19-20, pp.2835-2845, 2016. DOI: https://doi.org/10.1111/jocn.13330 

  16. T. L. Sacco, S. M. Ciurzynski, M. E. Harvey, G. L. Ingersoll,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critical care nurses", Critical Care Nurse, Vol.35, No.4, pp.32-42, 2015. DOI: https://doi.org/10.4037/ccn2015392 

  17. R.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59, pp.25-52, 1994. 

  18. A. M. Kring, D. M. Sloan,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A transdiagnostic approach to etiology and treatment, p.468, NY: Guilford Press; 2009, p.468. 

  19. N. Garnefski, V. Kraaij,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DOI: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13-6 

  20. D. R. Kwon, N. N. Shin,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9, No.3, pp.113-125, 2018. DOI: https://doi.org/10.5723/kjcs.2018.39.3.113 

  21. H. J. I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burnout", Catholic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33, pp.145-180, 2017. 

  22. H. Kharatzadeh, M. Alavi, A. Mohammadi, D. Visentin, M. Cleary, "Emotional regulation training for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es", Nursing & Health Sciences. Vol.22, No.2, pp.445-453, 2020. DOI: https://doi.org/10.1111/nhs.12679 

  23. S. H. Kim,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stressful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p.1-29. 

  24. S. H. Choi, "Effects of Ego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11, pp.148-156,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148 

  25. H. J. Kim, Y. H. Y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 No.3, pp.259-269, 2014. DOI: https://doi.org/10.4040/jkan.2014.44.3.259 

  26. S. Lee, M. G. Gwon, Y.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trauma experie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nurse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26, No.1, pp.31-37, 2018.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31 

  27. V. Salvarani, G. Rampoldi, S. Ardenghi, M. Bani, P. Blasi, D. Ausili, S. D. Mauro, M. G. Strepparava, "Protecting emergency room nurses from burnout: The role of dispositional mindfulness, emotion regulation and empath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27, No.4, pp.765-774, 2019. DOI: https://doi.org/10.1111/jonm.12771 

  28. C, Mairea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healthcare providers",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50, No.8, pp.961-975, 2016. DOI: https://doi.org/10.1080/00223980.2016.1225659 

  29. L. H. Hall, J. Johnson, I. Watt, A. Tsipa, D. B. O'Connor, "Healthcare staff wellbeing, burnout, and patient safety: a systematic review", PL oS ONE, Vol.11, No.7, e0159015, 2016.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9015 

  30. T. A. Lapa, F. M. Madeira, J. S. Viana, J. Pinto-Gouveia, "Burnout syndrome and wellbeing in anesthesiologists: the importanc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inerva Anestesiologica. Vol.83, No.2, pp.191-199, 2017. DOI: https://doi.org/10.23736/S0375-9393.16.11379-3 

  31. S. L. Lee, "The effects of traumatic ev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J of Humanities, Vol.39, pp.93-12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