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 탈영역의 세가지 기제: 미학, 협업, 자연관
Three Agencies of Trans-disciplinary Landscape Architecture: Aesthetics, Collaboration and The Ideas of Natur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1 = no.114, 2006년, pp.48 - 58  

박윤진 (와헤닌헨 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design disciplines expects new theoretical contribution to re-examine the territory of their own practice. The ambition of this paper is to theorize the possibilities of trans-disciplinary landscape architecture with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it trace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는다면, 중간자적 조경의 위치는 점점 좁아질 수 밖에 없는 수동적인 개념이 된다. 이에 필자는 자연의 개념을 "프리즘"(황기원, 1995 : 23)처럼 '다의화' 하여, 조경의 위치를 자유롭게 하고 이미 복잡해지고 넓어진 조경문화 생산의 중심성과 그 외연적 확장성을 가설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조경의 전통적 진화수단이었던, '협업 혹은 '관계 짓기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조경의 전통적 협업은 여전히 유효한가? 주어진 협업구도와 주도적 협업은 어떠한 각각의 가능성을 내포하는가? 주도적 협업은 어떻게 조경을 새로운 영역 혹은 탈영역으로 안내하는가?2) 궁극적으로 이러한 탈영역의 가능성을 지시할 수 있는 기제와 이론적 메카니즘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탈영역'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은 3가지 관점으로 모색함으로써 상기 질문의 해답에 가깝게 접근하려 한다.3)첫 번째, 픽처레스크라는 절대미학이 풍미하던 옴스테드 전후의 조경 행위를 되집어 봄으로써, 어떻게 '미학이 탈영역의 '기제'로 작동되었는가를 살펴본다.
  • 두 번째, 동시대 네덜란드 조경가의 탈영역을 지목하여 협업과의 관계로 분석한다. 이는 협업해야만 하는 네덜란드의 지역적 문맥을 바탕으로 하여 탈영역의 '작인'과 조건'을 이해하려 하는 것이다 세 번째, 근대 조경가의 '첫 번째 자연관'- 이념, 픽춰레스크로서의 자연-과 '두 번째 자연관'- 시스템으로의 자연 -을 문화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세번째 자연관'- 문화로 재현되는 자연 -의 기존 이론을 확인하고 이러한 동시대의 자연관이 설정한 '조경의 위치'와 '자연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탈영역을 가설할 수 있는 이론적 보정을 시도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5) 뉴톤적 자연관의 등장 이후 시인과 문학적 혹은 기행문적 사고의 지식인들에 의해 제기된 낭만적 자연(관)은 픽처레스크라는 이념으로 지금까지 조경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미 2장에서 언급한 바, 픽처레스크라는 첫 번째 자연관의 미학적 외연화는 조경을 탈영역으로 안내하였다
  • 우선, 자연의 개념을 해체 가능한 것으로 전제한다 이는 본고에서 언급한 케이트 소퍼의 자연과 문화사이의 해체가 아닌, 자연 그 자체를 해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이미 동시대의 자연은 더 이상 '실체'만이 아닌 현상이자, 관념이며, 신화이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배정한, 조정송(1999) 조경설계와 회화적 자연관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27(3): 80-87 

  2. 배정한(2005) 조경의 건축화. 환경과 조경 8: 106-111 

  3. 조경진(1999) 조경드로잉의 변천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140-151 

  4. 조경진(2003)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도시공원관에 대한 재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26-37 

  5. 황기원(1986) 19세기 구미의 환경설계사 개관, 환경논총 18: 81-95 

  6. 황기원(1995) 책같은 '도시, 도시같은 책, 서울: 열화당 

  7. 황기원(2004) 한국 조경의 문화적 전통 시론. 환경논총 42: 55-81 

  8. Andersson, T. (2004) A critical view of landscape architecture. Proceedings of ECLAS Conference 2004, A Critical Light on Landscape Architecture. Oslo: European Council of Landscape Architecture Schools 

  9. Anthony, J. (1985) Joseph Paxton 1803-1865. Buckingham-shire: Shire Publication 

  10. Baird, G. (2004) Criticality and its discontents. Harvard Design Magazine 21: 16-21 

  11. Beardsley, J.(2000) A word for landscape architecture. Harvard Design Magazine 12: 56-63 

  12. Bhabha, H. K.(1994) The location of Culture. London & New York: Routledge 

  13. Breen, J. (2002) Design driven research. In T. M. de Jong, D. J. M., and der Voordt, eds., Ways to Study and Research Urban Architectural and Technical Design. Delft: Delft University Press 

  14. Corner, J.(1991) A discourse on theory II: three tyannies of contemporary theory and the alternative of herrnaneutics. Landscape Journal 10(2): 115-133 

  15. Coupe, L.(2000) Romantic ecology and its legacy. In L. Coupe, ed., The Green Studies Reader. London & New York: Routledge. pp. 3-22 

  16. Deleuze, G. (1986) Foucaul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7. Deleuze, G. and F. Guattari(1987)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8. Dunn, P. and L. Leeson (1997) The aesthetics of collaboration: Aesthetics and the body politics. Art Journal 17(1) 

  19. Frampton, K. (1992)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New York: Thames and Hudson 

  20. Frampton, K. (2006) The work of architecture in the age of commodification. Harvard Design Magazine 23: 20-30 

  21. Gibbons, M., C. Limoges, H. Nowonthy, S. Schwartzman, P. Scott, and M. Trow(1994)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Stockholm: Forskningsrafdamnden 

  22. Giedion, S.(1980) Space, Time and Architecture. Cambidge: Harvard College 

  23. Gomart, E.(2005) Political aesthetics. In L. Bruno, P. Weibel, eds., Making Thing Public. Cambridge: MIT Press. pp. 726-733 

  24. Gropius, W.(1965) The New Architecture and the Bauhaus. Cambridge: MIT Press 

  25. Hagenberg, R.(2004) 14 Japanese Architects. Tokyo: Geseobang 

  26. Hasper, A.(1996) Foreword of First Yearbook, Landscape Architecture and Town Planning in the Netherlands 1993-1995. Brussel: Thoth 

  27. Hohmann, H. and J. Langhorst(2005) A terminal case? an apocalyptic manifesto.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4: 26-34 

  28. Horst. H. V. D.(1996) The Low Sky. Schiedam/Nuffic, Den Haag: Scriptum Books 

  29.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0. Johansson, F.(2004) The Medici Effect. Cambri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31. Latour, B.(1993) We Have Never Been Moder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2. Le Gates, R. T. and F. Stout(1996) Urban planning history and visions. In R. T. Le Gates and F. Stout, eds., The City Reader(3rd ed.), London & New York: Routledge. pp. 299-353 

  33. Lootsma, B.(1995) West8 Landscape Architecture. Rotterdam: 010 Publishers 

  34. Klaus, S. L.(2002) A Modern Arcadia: Frederick Law Olmsted Jr. and the Plan for Forest Hills Gardens. Amherst & Bost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35. Koh, J.(1978) An Ecological Theory of Architectur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36. Koh, J. (1987) Bridging the Gap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roceeding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CELA at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Providence: Council of Educators in Landscape Architecture. 10-20 

  37. Kruft, H. (1994) A History of Architectural Theory from Vitruvius to The Present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8. Marx, L.(1964) The Machine in the Garde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9. McInniss, J.(1984) Birkenhead Park. Merseyside: Birkenhead Press Limited 

  40. Meyer, E.(1997) The expanded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G. Thompson and F. Steiner, 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45-79 

  41. Newton, T. N. (1971) Design on the Land. Cambridg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2. Nicolescu, B. (2001) Manifesto of Transdisciplinarit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43. Riley, T.(2000) Book reviews: future natural. harvard Design Magazine 10: 83 

  44. Ridderstrale, J. and K. Nordstrom(2000) Funky Business. London: Ft. com 

  45. Ruskin, J.(1851) Reprinted in 1960, The Stone of Venice. New York: Da Capo Press 

  46. Schulze, F.(1985) Mies van der Rohe, A Critical Biograph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47. Schuyler, D.(1996) Apostle of Taste. Baltimore: The John Hopkins University 

  48. Simo, M.(2001) The Offices of Hideo Sasaki. Berkeley: Spacemaker Press 

  49. Smithson, A. (1974) Without Rhetorics: an Architectural Aesthetic 1955-1972. Cambridge: MlT press 

  50. Soja, E. W.(1996) Third Space. Malden: Blackwell Publishers Inc 

  51. Somol, R. and S. Whiting(2002) Notes around the doppler effect and other moods of modernism. Perspecta 33: 72-90 

  52. Somol, R.(2005) Easer than Said. Berlage-Institute Lecture Series, Rethinking Representation 

  53. Soper, K.(1995) What is Nature? Oxford: Blackwell Publishers Inc 

  54. Spirn, A. W.(1984) The Granite Garden, Boston: Basic Books 

  55. Speaks, M.(2003) Design Intelligence. Hunch Report #6/7 PP. 416-417 

  56. Sijmond, D.(2002) Architecture+NatureLandscape. Amsterdam: Colophon 

  57. Tschumi, B.(1998) Architecture and Disjunction, Cambridge: MlT Press 

  58. Tuan, Y. F.(1998) Escapism, Baltimore &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9. Walker, P. and M. Simo(1994) Invisible Gardens. Cambridge: MlT Press 

  60. Wesemael, P. V.(2001) Architecture of Instruction and Delight. Rotterdam: 010 Publisher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