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픽처레스크 정원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 - 18세기 영국 픽처레스크 정원을 중심으로 -
Haptic Perception presented in Picturesque Gardens - With a Focus on Picturesque Garden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2, 2016년, pp.37 - 51  

김진섭 (청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김진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각중심주의에 편향된 근대의 광학적 메커니즘은 시각의 다채로운 기능을 간과하고 추상적이며, 이성적인 눈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공간을 조직함으로써 눈이 사물을 더듬는 기능에 대해서는 간과하였다. 최근에는 시각의 이분법적 지각체계를 넘어서 복합지각에 의해 다른 감각과의 소통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유도하고 있다. 촉지적 지각은 시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체로 하여금 신체를 동반한 체험을 유도하며, 물성이 가지고 있는 특질과 인간의 다양한 감각적 자극을 꾀하는 역동적인 시각이다. 본 논문은 주체의 능동적 체험을 유도하는 촉지적 지각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촉지적 지각의 주요한 특징을 도출하고 촉지적 지각의 특징이 픽처레스크 정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촉지적 지각의 주요한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철학과 미학사에서 아돌프 힐데브란트의 시각론이 알로이스 리글과 빌헬름 보링거, 발터 벤야민, 모르스 메를로 퐁티, 질 들뢰즈에 의해 각각 어떻게 발전, 확장, 재해석되는지를 탐구한다. 이로서 촉지적 지각과 시각적 지각 방식의 주요차이점을 분석하고 촉지적 지각이 가지는 특성을 도출한다. 이후, 촉지적 지각의 특성이 픽처레스크 정원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고찰하기 위해 고전적 정원을 시각적 지각으로 픽처레스크 정원을 촉지적 지각으로 각각 설정하여 분석하고 앞서 도출된 촉지적 지각의 특성을 픽처레스크 정원에 투영하여 고찰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픽처레스크 정원에 나타난 촉지적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각적 지각과 대별되는 촉지적 지각의 주요차이점은 경계의 모호함과 애매함, 동적시점의 생성, 불확정적 동선에 의한 운동성 유발, 지각 불가능성에 의한 낯설음과 숭고미로 요약할 수 있다. 픽처레스크 정원에서 경계의 모호함과 애매함은 평면의 불규칙함과 비대칭 요소, 단일시점의 거부로 나타나며, 동적시점의 생성은 서사적 구조의 도입과 회화의 장면구성기법을 재현하면서 기존 정원에 없는 전경, 중경, 원경 요소를 만들면서 공간을 중첩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불확정적 동선에 의한 운동성 유발은 분기하는 동선에 의해 형성되며, 지각 불가능성에 의한 낯설음과 숭고미는 정원에서 다양한 요소의 활용과 '거칠음'과 '불규칙함', '폐허'의 도입으로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optical mechanisms slanted toward Ocular-centrism have neglected diverse functions of vision, judged objects in abstract and binary perspectives, and organized spaces accordingly, there by neglecting the function of eyes groping objects. Recently, various experiences have been induced throug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의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공간적으로 특수한 정보들이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감각 체계보다 눈을 통해 훨씬 더 많이 입수된다. 시각의 큰 장점은 그것이 고도로 명료한 매체일 뿐만 아니라 세계가 외계의 물체와 사건들에 관해 무제한으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있다. 따라서 시각은 사고의 일차적 매체이다(Arnheim, 1969).
아돌프 힐데브란트는 시각을 통해 대상을 지각하는 방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시각을 통해 지각하는 방법을 두 종류로 구분한 사람은 아돌프 힐데브란트다. 그는 자신의 저서 조형미술의 형식 에서 시각을 통해 대상을 지각하는 방법을 근거리 시각(the near view/ image)과 원거리 시각(the distant view/image)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관찰자가 대상을 멀리에서 볼 경우 전체 형상을 받아들일 수 있으나 대상과 가까워질수록 대상을 한눈에 파악하지 못하고 눈의 운동을 필요로 한다고 한다.
다양한 시각적 전개를 통해 공간의 깊이를 체험하도록 하는 것은 어떤 체계를 요구하고 있는가? 단안적 시선으로 공간을 바라보는 추상화된 공간을 넘어서 다양한 시각적 전개를 통해 공간의 깊이를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근대의 획일성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의 도시 및 조경공간은 새로운 지각 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촉지적 지각은 시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체로 하여금 신체를 동반한 체험을 유도하며, 물성이 가지고 있는 특질과 인간의 다양한 감각적 자극을 꾀하는 역동적인 시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nzai Shin-ichi(2000) イギリス風景式庭園の美學-開かれた庭のパラドックス. 東京大學出版會. 김용기.최종희(역) 신의 정원 에덴의 정치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2. Arnheim, R.(1969) Visual Thin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Beardsley, J.(1982) Traditional aspects of new land art. Art Journal 42(3): 229. 

  4. Benjamin, W.(1968)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in Hannah Arendt ed., Illuminations, Schoken Books, NY. (Originally written in 1936-1939) 최성만(역), 기술복제시대의예술작품. 서울: 도서출판 길, 2007. 

  5. Buck-Morss, S.(1991) The Dialectics of Seeing: Walter Benjamin and the Arcades Project. MIT Press, 김정아(역),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파주: 문학동네, 2004. 

  6. Burke, E.(1757)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김동훈(역), 숭고와아름다움의 이념의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서울: 마티, 2006, pp. 197-204. 

  7. Cornelis van de ven(1987) Space in Architecture, Van Gorcum, pp. 86. 

  8. Deleuze, G.(1968) 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Paris: Les editions de Seuil, 하태환(역), 감각의 논리. 서울: 믿음사, 2008. 

  9. Deleuze, G. and F. Guattari(1980)Mille Plateaux: Capialisme et scbizophrerie,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 김재인(역), 천개의 고원. 서울: 새물결, 2003. pp. 907-953. 

  10. Deleuze, G.(1988) Le Pli, Leibniz et le Baroque. 이찬웅(역)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4. 

  11. Frankl. P.(1989) Principles of Architectural History. 김광현(역) 건축형태의 원리. 서울: 기문당, pp. 246-248. 

  12. Gilloch, G.(1996) Myth and Metropolis: Walter Benjamin and the City. Polity Press, 노명우(역), 발터벤야민과메트로폴리스. 파주: 효형출판사, 2005. 

  13. Hildebrand, A.(1918), Das Ploblem der Form in der Bildenden Kunst. Strassburg: Heitz, 조창섭(역), 조형미술의 형식. 서울: 믿음사, 1989. 

  14. Hussey, C.(1927) The Picturesque. London: Chiswick Press. pp. 66. 

  15. Hussey, C.(1967) English Gardens and Landscape. 1700-1750. NY: Funk & Wagnalls. pp. 158. 

  16. Hwang, J. Y.(2006) A study on the aspects of landscape painting in the landscape gardens by William Kent. Art History Forum 25: 225-251. 

  17. Jang, I. Y.(2006) A Study on the Hybrid Tendency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Ph.D.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Korea. 

  18. Jang, Y. T. and Y. M. Koo(1998) A study on the design strategy of english landscape garden emerged in 18th century: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Picturesque' and 'Narrativ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2): 443-448. 

  19. Kang, Y. J.(2003) 풍경에 다가서기. 파주: 효형출판, pp. 52-63. 

  20. Kim, H. B.(1999) Styles and Vocabularies in Landscape design. In KILA, Landscape Design Theory(pp. 85-112). Seoul: Munundang. 

  21. Kim, H. B.(2005a)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y of Western: Landscape Architecture of Modern.Contemporary, Chapter 1 Landscape Garden of the British. Seoul, Korea: Munundang, pp. 266-274. 

  22. Kim, H. H.(2010a) 철학 나그네. 고양시: 소나무, pp. 177. 

  23. Kim, H. J.(2009) The modern spatial cognition of the landscape garde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4): 846-851. 

  24. Kim, J. S.(2010b) Realization of Relation-Oriented Architecture through Infrastructure Renewal. MS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Korea. 

  25. Kim, J. H. and J. S. Cho(1996) An essay on the picturesque and the landscape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4(2): 117-113. 

  26. Kim, J. J.(2005b) A study on the concept and spatial organization of bifur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4(1): 20-27. 

  27. Kim, J. S.(2015) The haptic perception aspect show in landscape architecture before modernis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4): 1-14. 

  28. Kim, K. H.(2000, Sep) Architecture and Movement. ideal Architecture. pp. 156. 

  29. Klonk, C.(1996) Science and the Perception of Nature: British Landscape Art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30. Lee, M. J. and J. H. Pae(2012)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4): 78-89. 

  31. Lee, T. H.(2009) A study of 'Raumplan' and 'Plan Libre' through the modern theories of tactile/haptic percep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2): 221-230. 

  32. Meyer, C. K.(1997) The Expanded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Ecoligical Design and Planning. 

  33. Meyer, E.(1990) A convergence of 'Isms'. Landscape Architecture 80(9): 56. 

  34. Pallasmaa, J.(2000) Hapticity and time: Note on fragile architecture. Architectural Review (1239): 79. 

  35. Pallasmaa, J.(2012) The Eyes of the Skin:Architecture and the Senses, the third edition, England: John Wiley & Sons Ltd, 김훈(역), 건축과 감각. 서울: Spacetime, 2013. 

  36. Park, S. R.(2013) A Study on the Haptic-Visual Phenomena in Peter Zumthor's Architecture.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7. Ponty, M. M.(1964a) Le Visible et L' Invisible, texte etabli par Claude LEFORT, Paris, Gallimard. 

  38. Ponty, M. M.(1964b) "The Film and the New Psychology" in Sene and Non-Sense, tran. by Hubert L. Dreyfus & Patricia Allen Dreyfus,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pp. 48. 

  39. Psarra, S.(2008) Architecture and Narrative: The Structure of Space and Cultural Meaning in Buildings. 조순익(역) 건축과 내러티브. 서울: 시공문화사, 2010. pp. 25-56. 

  40. Quincy, Q.(1823) I'Essai sur lq natrure, le but et les moyens de l'imitation dans les beaux arts 1823, Jean-Claude Lebensztejn, De l'imiation dens les beaux arts, pp. 23. Re-quotes. 

  41. Reimer, M. H.(2010) Unsettlingeco-scapes: Aesthetic performances for sustainable futur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0(Spring): 24-37. 

  42. Riegl, A.(1901) Late Roman Art Industry, trans. Rolf Winkes, Giorgio Bretschneider Editore, Italy, Rome, 1985(Originally published as Spatromische Kunstindustrie, Vienna, 1901). 

  43. Strickland, C.(2001) The Annotated: A Crash Cours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양상현 등(역) 클릭, 서양건축사. 예경, 2001, pp. 144. 

  44. Sullivan, M.(1996) The Arts of China. 김기주, 김경자(역), 중국미술사. 서울: 지식산업사, 1996. pp. 155. 

  45. Tafuri, M.(1968) Teorie e storia dell' architettura. 김일현(역), 건축의 이론과 역사. 파주: 동녘, 2009. pp. 165-168. 

  46. Tuan, Y. F.(1974) Topophilia.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47. Tuan, Y. F.(1977) Space and Place. Minneapolis, Lond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6. 

  48. Wolfflin, H.(1915) Kunstgeschichtliche Grundbegriffe. Das Problem der Stilentwicklung in derneueren Kunst. Basel/Stuttgart: Schwabe & Co. 1979. 박지형(역) 미술사의 기초개념. 서울: 시공아트, 2009. pp. 308-315. 

  49. Worringer, W.(1910) Abstraktion und Einfulung. 권원순(역), 추상과 감정이입.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50. Worringer, W.(1927) L'art gothique. Gallimard, pp. 61-115. 

  51. Walpole, H.(1771) The History of the Modern Taste in Gardening, in Anecdotes of Painting in England. New York: Garland, 1982. 

  52. Yu, M. H.(2004) A study on the embodiment of 'Active User' concept based on the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1): 59-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