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19세기 정원 예술에서 현대적 시각성의 등장과 반영 -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 렙턴의 시각 매체를 중심으로 -
Modern Vision in the 18~19th Century Garden Arts - The Picturesque Aesthetics and Humphry Repton's Visual Representation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2, 2015년, pp.30 - 39  

이명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픽처레스크 미학과 풍경화식 정원은 자연을 그림과 같이 정태적으로 감상하게 만드는 이른바 회화적 자연관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해석은 당시의 시각 문화를 선원근법에 의존하여 설명한 데에서 연유한다. 실상 당시는 새로운 시각 매체의 발명에 따라 종래의 원근법에 기반했던 시각성이 '유동적인 시각'과 '시점의 상대성'으로 요약되는 '움직이는 시각성'으로 변모해가는 바로 직전의 시기였다. 이 연구는 그러한 시각 문화의 변동에 주목하여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렙턴의 시각 매체에서 나타나는 '움직이는 시각성'의 징후를 읽어내고자 한다. 18세기 독일의 정원 이론가 히르시펠트는 풍경화식 정원은 구불구불한 선을 이용하여 움직임의 환영을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다른 예술 형식보다 우월하다고 분석했다. 18세기 말 야기된 픽처레스크 논쟁에서 아마추어 이론가들은 회화에서 복잡하고 다채로운 시각의 변주를 중요하게 여기고, 정원도 그러한 시각적 자극이 만들어지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렙턴의 "레드북"에 수록된 스케치에서는 움직이는 시각성이 반영된 다양한 재현 전략들이 발견된다. 렙턴은 속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의 길을 체계적으로 설계했고, 인간의 시각장을 표현하기 위해 회화적 프레임이 아닌 파노라믹 뷰를 활용하였으며, 현실에서의 움직임과 유사한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스케치들을 전략적으로 배열하였다. 이와 같이 픽처레스크 미학과 렙턴의 시각 매체는 당대 시각 문화에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움직이는 시각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glish Landscape garden and picturesque aesthetics, which was in fashion during the 18th to early 19th century in England, has been accused of making people see the actual garden in terms of a static landscape painting without a synesthetic engagement in nature. As new optic devices such as d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그러한 현대적 시각성을 18세기 전반에 유행한 풍경화식 정원과 그 이전의 지배적 양식인 프랑스 정형식 정원과의 대조를 통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18세기 후반에 일어난 픽처레스크 논쟁에서 시각성 변화의 징후를 발견한다. 다음으로는 구체적 사례로 렙턴이 설계할 때 활용한 시각 매체에서 현대적 시각성의 징후를 읽어내고자 한다. 픽처레스크 이론가들은 브라운과 렙턴의 정원이 단조롭다고 비난했으나, 이는 정원 양식의 문제이지, 미적 경험의 차원에서는 양자 모두에게서 현대성이 발견된다.
  • 당시는 정원 예술이 귀족 계층이 누리던 고급 취미(taste)에서 보다 많은 사회 계층이 향유할 수 있는 상품으로 변모해가고 있었다. 렙턴은 영국 정원계의유명인사였던 브라운의 후계자라고 자청했고, 한편으로는 브라운의 제자들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그는 『레드북(RedBooks)』이라는 독창적 스케치북을 고안하여 설계 이전(before)과 이후(after)의 경관을 스케치해 고객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홍보하는 수단으로 시각 매체를 활용했고, 이 스케치북으로 막대한 성공을 거두었다.
  • 이러한 비판은 일견 옳다. 렙턴은 조망(view)을 범주화하고, 조망점에 위계를 부여하는 등(Repton, 1816; Phibbs,2008: 216-217) 여러 사유지의 개선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있는 설계 원칙을 확립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의 설계 원리의 기저에는 조망점을 다양화하고, 이것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감상자에게 여러 조망점들을 이동하면서 다채로운 경관의 미적 경험을 주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 있다.
  • 특히 렙턴의 『레드북(Red Books)』의 스케치들은 당대에 출현하기 시작한 새로운 시각 문화를 반영하고 있었다4).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픽처레스크 미학이 현대 조경 설계에서 여전히 유효한 이유를 쟁점화하고자 한다.
  • 히르시펠트에 따르면, 정원 예술은 움직임(motion)을 통해 그것의 미학적 상관물인 감정(e-motion)을 체험하게 하는 다감각적 예술이고, 바로 이러한 특수성이 정원 예술을 회화, 건축, 시 등 여타의 순수 예술보다 우월한 예술로 만든다(Hirschfeld,2001: 137-146). 먼저 정원 예술이 움직임과 감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보자. 첫째, 정원에는 자연 요소의 실제적이고 명시적인 움직임, 예를 들어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배와 어부에 의해 약동하는 물 등이 있다.
  • . 우선, 당대의 정원 예술론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당시에는 풍경화식 정원이 회화나 건축과 같은 순수예술(fine art)로 격상되었고, 때로는 여타의 예술보다 우월한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시론적 논의인 이 연구는 시각 문화의 변동의 관점에서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 렙턴(Humphry Repton; 1752~1818)의 정원 미학을 재조명하여, 당시 정원 예술에서 나타났던 현대적 시각성의 징후를 발견하고자 한다3). 우선, 당대의 정원 예술론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 특히 18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독일의정원 이론가인 히르시펠트(Christian Cay Lorenz Hirschfeld;1742~1792)의 이론은 18세기 전반의 풍경화식 정원과 픽처레스크 미학을 체계적으로 종합하고 있다(Hirschfeld, 2001; Zoh,2014). 이를 통해 정원 예술의 어떠한 특성이 당대 이론가들에게 그것을 우월한 것으로 판단하게 하였는가에 대한 단초를 시각성의 변동의 관점에서 찾아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7세기 유행한 프랑스의 정형식 정원은 어떻게 설계되었는가? 17세기에 유행한 프랑스의 정형식 정원은 축선과 중심점이 정해져 있고, 조망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장 이상적이게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이 때 조망점은 상대적으로 부지의 높은 곳에 위치했는데, 이러한 시각은 당시에 유행한 ‘버드 아이 뷰(bird’s eye view)’ 스케치의 시선과 유사하다.
정원 예술은 언제부터 순수 예술에 범주에 포함되었는가? 18세기 이전까지 정원 예술은 순수 예술의 범주에 포섭되지 않았으나, 풍경화식 정원이 전 유럽에서 유행한 18세기 중엽이후부터 지성사에서는 정원 예술을 순수 예술의 한 형식으로 격상시켜 논의하기 시작한다. 특히 독일의 정원 이론가 히르시펠트는 1779년에서 1785년에 걸쳐 독일과 프랑스에서 출판된 그의 저서 『정원 예술론(Theory of Garden Art)』에서 정원 예술이 움직임과 감정을 만들어내는 활동이고, 이러한 점에서 여타의 순수 예술 형식들보다 우월하다고 판단한다5).
픽처레스크 미학과 풍경화식 정원이 회화적 자연관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픽처레스크 미학과 풍경화식 정원은 자연을 그림과 같이 정태적으로 감상하게 만드는 이른바 회화적 자연관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해석은 당시의 시각 문화를 선원근법에 의존하여 설명한 데에서 연유한다. 실상 당시는 새로운 시각 매체의 발명에 따라 종래의 원근법에 기반했던 시각성이 '유동적인 시각'과 '시점의 상대성'으로 요약되는 '움직이는 시각성'으로 변모해가는 바로 직전의 시기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zai, S.(2000) Igirisu Fuukeishiki Teien No Bigaku: Hirakareta Niwa No Paradokkusu. Kim, Y. and Choi, J. trans., Garden of God, Politics of Eden: Aesthetics of English Landscape Garden. Seoul: Sung kyunkwan Publising Department, 2005. 

  2. Bruno, G.(2002) Atlas of Emotion: Journeys in Art, Architecture, and Film. New York: Verso. 

  3. Conan, M.(2003) Mouvement et metaphore du temps. In Philippe Pulaouec Gonidec, Les temps du paysage, Parametres. Montreal: Les Presses de l'Universite de Montreal. pp. 23-35. 

  4. Corner, J.(1999) Introduction: recovering landscape as a critical cultural practice.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6. 

  5. Crandell, G.(1993) Nature Pictorialized: "The View" in Landscape Histor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Crary, J.(1990) Techniques of the Observer: On Vision and Modern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MA: The MIT Press. 

  7. Daniels, S.(1996) On the road with Humphry Repton. The Journal of Garden History 16(3): 170-191. 

  8. Daniels, S.(1999) Humphry Repton: Landscape Gardening and the Geography of Georgian England.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9. Finch, J.(2013) Entangled landscapes and the 'Dead Silence'? Humphry Repton, Jane Austen and the Upchers of Sheringham Park, Norfolk. Landscape Research 39(1): 82-99. 

  10. Girot, C.(2006) Vision in motion: representing landscape in time. In C. Waldheim, ed.,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87-103. 

  11. Herrington, S.(2006) Framed again: the picturesque aesthetics of contemporary landscapes. Landscape Journal 25(1): 22-37. 

  12. Hirschfeld, C. C. L.(2001) L. Parshall, ed., Theory of Garden Ar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3. Hunt, J. D.(1992) Gardens and the Picturesque: Studies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Cambridge, MA: The MIT Press. 

  14. Hunt, J. D.(1996) Humphry Repton and garden history. The Journal of Garden History 16(3): 215-224. 

  15.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6. Hunt, J. D.(2013) Picturesque & the America of William Birch 'The singular excellence of Britain for picture scenes'.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and Designed Landscape 32(1): 3-14. 

  17. Hwang, J.(2006) A Study on English Landscape Garden's Pictorial Property in the Eighteenth Centur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8. Joeng, Y.(2003) History of Wester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urie. 

  19. Joo, E.(2003) Vision and Modernity. Seoul: Hannarae. 

  20. Kim, J.(1995) An Inquiry into the Beauty of the English Landscape Garden 'the Picturesque' - Its Aesthetic Concept and Influence on the Garde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Klonk, C.(1996) Science and the Perception of Nature: British Landscape Art in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2. Laird, M.(1996) Corbeille, Parterre and Treillage: The case of Humphry Repton's penchant for the French style of planting. The Journal of Garden History 16(3): 153-169. 

  23. Lee, M. and J. Pae(2012)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4): 78-89. 

  24. Lessing, G. E.(1766) Laokoon. Yun, D., trans., Laokoon: On Boundary Between Art and Literature. Paju: Nanam, 2008. 

  25. Lubow, A.(2004) The anti-Olmsted. The New York Times Magazine 16 May: 46-53. 

  26. Ma, S.(1997) Picturesque taste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England. Arts and Culture Research Journal 7: 103-128. 

  27. Pae, J. and J. Cho(1999) Landscape design and pictorialized view on nature: A critical exa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3): 80-87. 

  28. Parshall, L.(2001) Introduction. In L. Parshall, ed., Theory of Garden Ar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 1-54. 

  29. Parshall, L.(2003) Motion and emotion in C.C.L. Hirschfeld's theory of garden art. In Michel Conan, ed., Landscape Design and the Experience of Motion.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p. 35-51. 

  30. Phibbs, J.(2008) The view-point. The Garden History 36(2): 215-228. 

  31. Price, U.(1796) An Essay on the Picturesque, as Compared with the Sublime and the Beautiful; and, on the Use of Studying Pictures,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Real Landscape. London: J. Robson. 

  32. Repton, H.(1805) Observations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andscape Gardening, Including Some Remarks on Grecian and Gothic Architecture, Collected from Various Manuscripts in the Possession of the Different Noblemen and Gentlemen for Whose Use They Were Originally Written; the Whole Tending to Establish Fixed Principles in the Respective Arts. London: T. Bensley, Bolt Court for J. Taylor at the Architectural Library. 

  33. Repton, H.(1816) Fragments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andscape Gardening, Including Some Remarks on Grecian and Gothic Architecture, Collected from Various Manuscripts in the Possession of the Different Noblemen and Gentlemen for Whose Use They Were Originally Written; the Whole Tending to Establish Fixed Principles in the Respective Arts. London: T. Bensley, Bolt Court for J. Taylor at the Architectural Library. 

  34. Repton, H.(2005) A. Gore, and G. Carter, eds., Humphry Repton's Memoirs. Michael Russell. 

  35. Rogger, A.(2007) Landscapes of Taste: The Art of Humphry Repton's Red Books. London: Routledge. 

  36. Williamson, T.(1995) Polite Landscapes: Gardens and Society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Stroud: Allan Sutton. 

  37. Zoh, K.(2014) Interpretation of C.C.L. Hirschfeld's theory of garden art in contemporary meaning and its significa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58-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